• 제목/요약/키워드: Stretchers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압밀주입에 의한 지반개량 특성고찰 (The Evaluation on Behavior of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by Model Test)

  • 김상수;배우석;이종규
    • 기술발표회
    • /
    • 통권2006호
    • /
    • pp.162-171
    • /
    • 2006
  •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is one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s using headers and stretchers to establish the framework of the wall In this method, grids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headers and stretchers are generally filled with the gravel to maintain the weight of the wall Therefore,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with higher speed and much economically when compared with the concrete retaining wall Furthermore, it has high drain capacit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spects also have been pointed out because the possibility of the planting at the front of the wall However, in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metho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individual headers and stretchers was generally recognized, and stress redistribution in the gravel filling was also observed when subjected to the external loading and self-weight of filling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in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system differ from that of the concrete retaining wall In this study, the surcharge tests using the scaled model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in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The earth pressure was measured in the six specified height of wall,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was analyzed. Furthermore, the earth pressure by computation or by the test using the concrete retaining wall was also considered to make comparison

  • PDF

의자 다리와 스트레쳐를 중심으로 한 형상 최적화 설계 (Optimal Shape Design of Legs and Stretcher Parts of Chair)

  • 이영민;정훈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256-261
    • /
    • 2016
  • In this paper, Shape optimal design for a chair with 4 legs and 2 stretchers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was conducted. The shape was transformed by identifying stress and deformation for the part of leg and stretcher. In addition, load condition and mesh was designed using Hypermesh. The stress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SD_Elast that is one of EDISON program. In seat test,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showed at the contact part between seat and legs. As a result, a leg cross-section with rectangular and arch was designed. And optimal height of stretcher was found to reduce a deformation. Also, maximum deformation was reduced by designing a stretcher with ellipse cross-section. So, Optimal chair having 4 legs with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2 stretchers with ellipse cross section was shown to satisfy the safety ratio.

  • PDF

쏘일네일의 토압분담효과를 고려한 그린월 시스템의 설계 및 시공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Green Wall System considering Distribution Effect of Earth Pressure by Soil Nail)

  • 박시삼;조성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7
    • /
    • 2006
  • 1960년대 초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그린월(green wall)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국내의 경우, 옹벽 전면 가로보 사이의 공간에 식생이 가능한 친환경적 장점이 있어, 1999년 이후 국내실정을 고려 원지반의 토공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쏘일네일 등으로 보강하여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린월 옹벽과 배면에 보강된 쏘일네일이 합벽시공될 경우, 네일에서의 토압분담효과 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Rankine 토압으로 설계, 시공하여 이중으로 보강공사비용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ddot{a}$ssler(1988)가 제안한 'Two-Body Translation Mechanism(TBTM)'을 이용한 안정해석기법을 수정하여, 네일의 토압 분담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계기법을 적용하여 그린월의 보수, 보강공사 비용을 상당부분 감소한 현장설계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계기법을 토대로 계산된 토압을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 PDF

Crib Wall의 토압분포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of Crib Wall)

  • 오세욱;권영철;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41-48
    • /
    • 2006
  • Crib wall은 헤더와 스트레처를 사용하여 옹벽의 골조를 축조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공법의 일종이다. 이 공법에서는 부재의 교차에 의해 생긴 격자 안에 자갈로 채움을 실시하여 옹벽의 중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옹벽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며 경제적이다. 더불어, 옹벽의 배수 능력이 뛰어나며,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Crib wall 시스템에서는 개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며 채움재의 자중이나 외부하중에 의해 채움재에 응력 재분포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 옹벽과 같은 일체식 옹벽과는 토압의 분포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ib wall의 토압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축소된 모형을 이용한 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토압 특성은 6개의 특정한 높이에서 계측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위치별 토압의 분포 형태를 예측하였다. 시험결과는 기존의 이론식 및 일체식 옹벽과 비교되었으며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리기다 소나무 정각재를 사용한 목재옹벽의 직결나사못 접합부 내력 성능 평가 (Strength Performance Evaluation of Threaded Nail Joints of Wooden Retaining Wall Using Pitch Pine (Pinus rigida Miller) Square Timber)

  • 송요진;김건호;이동흡;황원중;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53-59
    • /
    • 2011
  • 시험 시편은 1개의 횡목과 2개의 종목이 직결나사못 2개로 연결된 접합부(Type-A)와 2개의 횡목과 2개의 종목이 4개의 직결나사못으로 연결된 접합부(Type-B)를 제작하였다. Type-B를 보강하기 위하여 횡목간의 연결부를 끝면거리 5D로 반턱이음하여 2개의 직결나사를 사용한 접합부(Type-C), 끝면거리 10D로 반턱이음한 접합부(Type-C1)와 끝면거리 10D, 직결나사 3개를 사용한 접합부(Type-C2)를 제작하였다. 압축형 전단 내력 시험결과 Type-B의 내력을 기준으로 Type-B를 보완한 Type-C는 약 30% 감소하였고, Type-C에서 끝면거리를 증가시킨 Type-C1은 Type-B와 비슷한 내력을 보였으며, Type-C1에서 직결나사못의 개수를 3개로 증가시킨 Type-C2는 Type-C1과 비교하여 1.28배 내력을 나타냈다. 기존 정각재를 이용한 옹벽의 접합부 중 긴 횡목과 짧은 횡목이 2개의 종목과 연결되는 접합부는 내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Type-B를 Type-C2로 대체한다면 옹벽 시공시 직결나사못에 의한 목재의 할렬, 파단과 시공시간이 줄어들고 접합 내력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재 Crib wall의 파괴유형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Fracture Type of Wooden Crib Wall)

  • 신창건;백문열;홍철화;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39-50
    • /
    • 2013
  • Crib wall은 헤더와 스트레처를 사용하여 옹벽의 골조를 축조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공법의 일종이다. 이 공법에서는 부재의 교차에 의해 생긴 격자 안에 자갈로 채움을 실시하여 옹벽의 중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옹벽에 비해 시공속도가 빠르며 경제적이다. 더불어, 옹벽의 배수 능력이 뛰어나며 전면에 식생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환경친화적인 장점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목재 Crib wall 시스템에서는 개별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며 채움재의 자중이나 외부하중에 의해 채움재에 응력 재분포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목재옹벽 시공현장에 대한 세부조사와 해석을 통하여 목재 crib wall의 파괴유형과 파괴원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부재의 5.7%인 총 2,315개소에서 손상이 발생되었으며, 파손된 부재 중 80.2%가 헤더에서 발생하였고 파손된 헤더 중 65.7%가 하단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재의 종류나 설치 위치에 따라 파괴유형 및 원인이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근본적으로 부재의 뒤틀림과 나뭇결이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119구급대 주들것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Solutions for the Ambulance Stretcher)

  • 함승희;송우승;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72-79
    • /
    • 2014
  • 본 연구는 119구급대에서 사용하는 주들것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들것의 문제점 도출을 위하여 문헌분석,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였고, 개선지표의 도출을 위해 KJ법(가와기타 지로법, 친화도법), 그래프기법, 우선순위 행렬법을 활용하였다. 주들것의 문제점은 현재 구급자동차의 부품으로서 인식되는 점, 성능확인 기준이 미비한 점, 조작 중 구급대원 부상 및 환자사고가 발생하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개선지표로는 조작편리성, 고성능, 다기능, 주행성, 내구성, 경량화가 도출되었다. 이 지표에 대한 상호연관성 분석 및 우선순위행렬법 적용 결과는 조작편리성 ${\rightarrow}$ 다기능 ${\rightarrow}$ 주행성 ${\rightarrow}$ 고성능 ${\rightarrow}$ 내구성 경량화 순으로 나타났다.

전면벽체 강성에 따른 그린월 시스템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Green Wall System due to Facing Rigidity)

  • 박시삼;김홍택;김승욱;김용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9-15
    • /
    • 2006
  • 그린월 공법은 독립식 콘크리트 보형식의 옹벽으로, 전, 후면 가로보와 세로 방향으로 버팀보를 연속적으로 쌓아 올려 내부에 다짐성토를 시행함으로써 구조체가 일체 거동하도록 강성벽체(rigid body)를 형성시키는 옹벽 구조물이다. 최근의 그린월공사는 원지반 절취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절토 공사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주로 앵커 및 쏘일네일 등과 함께 시공하는 추세이다. 이처럼 그린월과 함께 쏘일네일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전면벽체의 강성이 크기 때문에 연성전면벽체의 경우 보다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가 예상되나 실제 설계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쏘일네일만 설계하므로 비경제적인 요소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린월과 같은 강성전면벽체와 쏘일네일 공법이 함께 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강성전면벽체로 인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전면벽체의 강성변화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증대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한계평형해석을 시행하여 그린월과 같은 전면벽체의 강성이 전체 활동에 대한 안전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PDF

구급차 내부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interior design of ambulance)

  • 신동민;박시은;박신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20
    • /
    • 2013
  • Purpose: This research project addressed the need to designing more safe and efficient interior of the future ambulance in Korea. Methods: The study sample contained 760 paramedics in 4 district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a revised and complemented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sults: In relation to the efficacy and safety of work, answers related to storage closet showed to be the highest, and the most difficult part of paramedic work in an ambulance was lurching. CPR is the most frequently used emergency care inside an ambulance, but 66% of the paramedics responded that accurate CPR is not possible during vehicle transfer. Safety belts are not worn for 82.8% of the time, because of discomfort (51.3%). 13.8% of the paramedics responded that stretchers are unstable, 29.5% had an experience of having patients fall off the stretcher inside an ambulance. There were comments on installing equipments to prevent noise, and assist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suggested practical layout contains five main modifications 1. Developing specially designed belt is needed for paramedic safety & efficient work. 2. The seats are molded to be ergonomically friendly. 3. Equipments to secure the body and safety devices for CPR are needed. 4. System improve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r seat and paramedics is needed. 5. The stretchers are molded to be maximize efficiency and minimize injury.

이동 중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을 위해 개발된 보조발판(C-step)의 적용 효과 (The Effect of applying Subsidiary step developed for CPR on the main stretcher during movement)

  • 심규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50-5957
    • /
    • 2012
  • 흉부압박의 중단을 최소화하는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동 중 주들것에서 보조발판(C-step) 장착 여부에 따른 심폐소생술 정확도 및 오류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C도 10개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응급구조사 70명(대조군 35명, 실험군 35명)으로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 정확도가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C-step을 적용한 주들것에서 심폐소생술은 적절한 흉부압박 높이와 안정된 자세를 제공해 흉부압박 정확도를 높이고(t=65.104, p=.000), 인공호흡 시 적절한 환기량을 공급하여 인공호흡 정확도를 높이며(t=5.207, p=.000) 심폐소생술 자신감 또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t=-10.612, p=.000). 결론적으로 주들것에 C-step 장착은 고품질의 심폐소생술(high quality CPR)을 충실히 수행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