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ss in college life

검색결과 1,778건 처리시간 0.028초

뇌졸중 재활 환자의 기능적 의존도와 스트레스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ctional Dependency and Stre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 조옥희;최수영;송지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9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after strok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Ninety-two stroke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from 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on March and April, 2013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ype of impairment.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ge, functional dependency, and stress.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were stress, functional dependency, type of impairment, and age, which explained about 34.5% of total variance. Conclusion: To promot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stroke patients under rehabilitation, stress and functional dependency should be managed in this population, especially for older adults. Also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helping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uld als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대학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예측요인으로 선정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위치한 D대학교 1,2학년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B= -.351, p< .01), 사회적지지(B= .210, p< .05) 회복탄력성(B= .355, p< .01)이며 30.6%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복탄력성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으로는 생활만족도와 원인분석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스트레스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일 의료기관 직원들의 지각된 스트레스,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지표 (Perceived Stress, Life Style, Health Status Indicatiors in Medical Center Employees)

  • 김수현;이원희;강덕희;박진휘;민성길;노재훈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7-418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dicator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in medical center employees. Metho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Cohen's Perceived Stress Scale, health survey develop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laboratory tests (such as liver enzyme or lipid profile) on 873 medical center employe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independent t-test, ANOVA and ANCOVA. Results: Perceived stress was relatively high, but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dicators were good. Age, gender, and job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stres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indicators: younger employees, men, nurses reported higher stress; older employees, men and medical technicians reported worse life style; older employees, men and doctors showed more abnormal health status indicator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life style: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 was, the more drinking or the more smoking they had. However,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ealth status indicators. Conclusion: Although the subject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dicators were relatively good, their perceived stress was seriously high. Therefore, programs for reducing stress are necessary for medical center employees.

  • PDF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 최윤숙;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09-11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B시와 K시에 소재한 6개 대학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 352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학교생활 만족도(F=9.18, p<.001), 행복 점수(F=20.64, p<.001), 건강 상태(F=12.40, p<.001), 아침식사 유무(t=3.31, p=.001), 편식 유무(t=-4.20, p<.001), 수면 시간(F=2.64, p=.049), 운동 유무(t=5.20,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는 생활 스트레스(r=-.289, p<.001)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대처(r=.539, p<.001)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대처(β=.439, p<.001)이었으며, 다음으로 행복 점수(β=.251, p<.001), 운동 여부(β=.172, p<.001), 편식 여부(β=.125, p=.002), 생활 스트레스(β=-.121, p=.005), 아침식사 여부(β=.083, p=.046) 순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6.0%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 정도를 증진시키고,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을 높이며, 생활 스트레스는 줄이고, 운동과 좋은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적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hysiological and transcriptome analysis of acclimatory response to cold stress in marine red alga Pyropia yezoensis

  • Li-Hong Ma;Lin Tian;Yu-Qing Wang;Cong-Ying Xie;Guo-Ying Du
    • ALGAE
    • /
    • 제39권1호
    • /
    • pp.17-30
    • /
    • 2024
  • Red macroalga Pyropia yezoensis is a high valuable cultivated marine crop. Its acclimation to cold stres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long cultivation period across winter in coasts of warm temperate zone in East Asia.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P. yezoensis thalli to low temperature was analyzed on physiology and transcriptome level, to explore its acclimation mechanism to cold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actical photosynthesis activity (indicated by ΦPSII and qP) was depressed and pigment allophycocyanin content was decreased during the cold stress of 48 h. However, the Fv/Fm and non-photochemical quench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4 h, and the average growth rate of thalli also rebounded from 24 to 48 h, indicating a certain extent of acclimation to cold stress. On transcriptionally, the low temperature promoted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related to carbohydrate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while genes related to photosynthetic system were depress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DEGs involved in ribosomal bi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hich could accelerate protein synthesis and enhance the degree of fatty acid unsaturation, might help P. yezoensis thallus cells to cope with cold stress. Further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revealed differential expression trends along with stress time, and corresponding hub gen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ystemic acquired acclimation to cold stress. This study provides basic mechanisms of P. yezoensis acclimation to cold temperature and may aid in exploration of functional genes for genetic breeding of economic macroalgae.

미용관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tress of College Life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among Students from Beauty-related Colleges)

  • 유은주;김순구;정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79-287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소재하는 미용관련대학 재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미용관련 대학생의 학교생활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학교생활스트레스 수준은 M=2.40으로 중간수준 이하였으나, 하위요인 중 학업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장래문제, 경제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M=3.21로 중간수준 이상으로 자기효능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력이 가장 높았으며, 과제난이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학교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는 부적상관이, 우울과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스트레스 중 학업문제와 가치관문제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학업문제와 가치관문제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신감과, 자기조절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 상황에서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매개 효과 (The effect of ego-resiliency on the quality of life under CO VID-19 situations: stress-mediating effect)

  • 김선미;최정명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03-21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불안, 우울,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대한 인과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 후,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불안, 우울, 스트레스, 삶의 질 및 자아탄력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대한 인과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코로나 상황에서의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Ego Resilience, Impulsivity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92-20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3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t-test로 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중요변수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성별, 대학생활 만족도, 스마트폰 사용시간, SNS 사용시간,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에서 여학생이,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 군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SNS 사용시간이 많은 군에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 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음의 상관관계를, 충동성,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성별, 자아 탄력성, 생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6%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을 개선하여 스트레스 환경을 최소화 하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Protective Effects of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IDCC3201 on Motor Functions and Anxiety Levels in a Chronic Stress Mouse Model

  • Jae Gwang Song;Daye Mun;Bomi Lee;Minho Song;Sangnam Oh;Jun-Mo Kim;Jungwoo Yang;Younghoon Kim;Hyung Wook K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44-1054
    • /
    • 2023
  • Growing evidence indicates a crucial role of the gut microbiota in physiological functions. Gut-brain axis imbalance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neuropsychiatric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probiotics regulate the stress response and alleviate mood-related sympto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biotic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IDCC3201 (L3201) on the behavioral response and fecal metabolite content in an unpredictable chronic mild stress (UCMS) mouse model. Our study shows that chronic stress in mice for three weeks resulted in significant changes in behavior, including lower locomotor activity,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ve-like sympto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etabolom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disrupted fecal metabolites associated with aminoacyl-tRNA biosynthesis and valine, leucine, and isoleucine biosynthesis by UCMS were restor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L3201. Oral administration of the L3201 ameliorated the observed changes and improved the behavioral alterations along with fecal metabolites, suggesting that probiotics play a neuroprotective role.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heat stress responsiveness between two contrasting ginseng cultivars

  • Jayakodi, Murukarthick;Lee, Sang-Choon;Yang, Tae-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72-579
    • /
    • 2019
  • Background: Panax ginseng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strengthen the body and mental well-being of humans for thousands of years. Many elite ginseng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and ginseng cultivation has become well established during the last century. However, heat stress poses an important threat to the growth and sustainable production of ginseng.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ginseng physiology, but knowledge of the molecular responses to heat stress is still limited. Methods: We sequenced the transcriptomes (RNA-Seq) of two ginseng cultivars, Chunpoong (CP) and Yunpoong (YP), which are sensitive and resistant to heat stress, respectively, after 1- and 3-week heat treatments.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and gene ontology enrichment along with profiled chlorophyll contents were performed. Results: CP is more sensitive to heat stress than YP and exhibited a lower chlorophyll content than YP. Moreover, heat stress reduced the chlorophyll content more rapidly in CP than in YP. A total of 329 heat-responsive genes were identified. Intriguingly, genes encoding chlorophyll a/b-binding proteins, WRKY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desaturase were predominantly responsive during heat stress and appeared to regulate photosynthesis. In addition, a genome-wide scan of photosynthetic and sugar metabolic genes revealed reduced transcription levels for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under heat stress, especially in CP, possibly attributable to elevated levels of soluble sugars. Conclusion: Our comprehensive genomic analysis reveals candidate loci/gene targets for breeding and functional studies related to developing high temperature-tolerant ginseng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