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155초

정보기술(IT)교육과정 모형의 분석 및 설계 (Desig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Technology Curriculum Model)

  • 이명호;한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315-320
    • /
    • 2004
  • 디지털의 기술은 그동안 산업사회에서 두텁게 형성되었던 시ㆍ공간의 패러다임을 무너뜨림으로써 사회관계를 근본부터 변화시키는 혁명적인 대전환을 가져오고 있다. 또한 지식과 정보기술의 가치는 모든 사회 가치를 결정하는 지표가 되고, 사회 중심의 결정 인자이며, 지식과 정보기술의 기반은 교육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가오는 교육개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정보기술 교육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업교육의 강화 및 현장기술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정보기술의 특성화된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산업체에 취업 후 별도의 재교육 없이도 정보기술관련 해당분야의 현장업무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화된 전문 인력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각 대학에서 적합한 분야로 집중적으로 교육하는 모듈식 형태의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에 그 목표가 있다.

  • PDF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와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Principles for Practice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 임성민;김성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학교교육 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실천 원리와 전제들을 언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교육 상황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로서 국가 수준 과학 교육 과정 구성에서의 장애 학생에 대한 고려, 교실 단위 과학 학습지도 상황에서 교육과정 조절, 수업 설계에서 다양성을 안정한 개별화 접근, 공통의 학습경험을 공유하는 협력 기반의 과학학습지도 개인적 차이를 고려하는 수준별 과학학습평가 등을 논의하였다. 이에 대한 예시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광학교육 실천사례를 소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통합교육 실천의 의미를 논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다.

특수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에 관한 실태 및 인식 (Study on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 한동욱;강민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5호
    • /
    • pp.927-937
    • /
    • 2012
  •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에 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3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교사들의 ICT 활용 현황과 수업에서 ICT 활용에 대한 태도와 시각, ICT 활용과 관련된 교원 연수의 필요성과 연수에 필요한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ICT의 활용 교과목이 대학의 특수교육과에 반영된 시점을 기준으로 교직경력을 구분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두 집단에 대한 ICT 활용 현황과 수준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섬유선진국의 텍스타일 산업을 위한 텍스타일 교육 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ile Education for Textile industry in Advanced Textile Countries)

  • 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1-172
    • /
    • 2001
  • Textile education in advanced textile countries focused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opportunities for the gradu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ndency of education in advanced textile countries as German, UK and Italy and apply it to the education of our country. The method is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and literatures. The results of tendency on textile education is as follows. 1. Education to encourage the self-confidence on the textile related jobs 2. To introduce and develop new textile curriculum and contents of subjects. 3. Important curriculum ① IT(information technology) skill ② Business Merchandising ③ Extensive use of CAD/CAM ④ English education 4. To emphasize the multi-disciplinary working and special skill 5. Equipment of new and up-to-date machines to enhance for technical and production skills 6. Close touch with textile industry through the block-release based technical education. 7. Utilize the certificates 8. Further professional education to designers, managers on a part-time day. 9. Making an effort to secure excellent students No tuition-fees and state maintenance grants are available for excellent students from low income backgrounds.

  • PDF

화재조사자의 교육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Education Condition and Improvement Program of Fire Investigator)

  • 최돈묵;박창우;인세진;이창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2-80
    • /
    • 2007
  • 화재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화재조사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반복적인 재교육이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는 화재조사교육과정의 운영상 문제점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고 국내 외 화재조사 전문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등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생 선발 방법 및 효과적인 활용방안 등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미래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시설의 실내 바닥재 및 창호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ner Window & Floor Materials of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of Future Education)

  • 유택동;조진일;이호진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3권1호
    • /
    • pp.46-59
    • /
    • 2003
  • In this study, analyzing class method, curriculum and demand performance of materials and user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t is surveyed that materials design performance standards of floor and window suitable to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It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special materials suitable educational facilities, making standards fitting demand, study of variable and special field for educational facilities, study for security of objective data of materials, study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subdivided, and desirable positive use of intimate environmental materials.

  • PDF

중등학교 환경과 교사 임용고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Current Status and Ways for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 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1호
    • /
    • pp.66-80
    • /
    • 2001
  •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sirable ways for improvement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were investigated. For the study, first, problems and reasons, and the counterplan of policy on the teacher connected directly with the examination employ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exploration of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essential quality which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should have ready; third, the curriculum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and the seventh environmental curriculum were examined to provide a basis of discussion on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number of recruitment, the number of examinee,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the composition of ques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scores of the examination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school year 2000 and 2001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recommendations to consider the examination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eam managing the examination for the employment should reflect the aims and special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discuss and decide the principle of setting questions on the environmental course; second, the proportion of subject matter education in the examin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increased; third, the validity of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questions should be low.

  • PDF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Kern의 교육과정개발 모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view of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Kern'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 이이레;안신기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3호
    • /
    • pp.173-188
    • /
    • 2020
  •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MHE) is as essential as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al medicine educ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MHE, MHE curriculum development (CD) has proven to be challenging. This critical review examines the MHE CD at one medical school. The critical review methodology was developed based on Kern's six step CD model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D of "Doctoring and Medical Humanities (DMH)" at th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ive re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related to (1) necessity, (2) direction and purpose, (3) design, (4) operation, and (5) evaluation of CD based on Kern's model. The review showed that the process of DMH CD mapped to components of Kern's model. The DMH curriculum content selected was closely related to medical practice and aimed to combine the acquisition of understanding and skills by designing a student-participatory curriculum based on clinical cases. Assessment methods that emphasized students' reflections were actively introduced in the evaluation section. Since the regular committee for DMH continued the work of the special ad hoc committees for DMH CD, the CD was effectively completed. However, the planning and evaluation func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DMH committee need to be strengthened. Despite the apparent limitations, the fact that studen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rate and preferred small group discussions based on clinical case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MHE, where changes in self-awareness and attitude are more important tha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study students' reflection results produced by the changed assessment methods and to develop assessment indicators for MHE that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MHE competencies of students.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로봇교육과정의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alidation of Robot Curriculum in Education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 이재호;남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669-695
    • /
    • 2009
  • 21세기는 과히 로봇 혁명의 시대이다. 불과 몇 해 전만 하더라도 로봇 시장에서의 주류는 산업용 로봇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유형의 로봇이 여러 가지 목적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는 인간과 유사하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로봇이 등장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로봇 혁명은 인류의 생활양식을 통째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래 로봇사회에 적응할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로봇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로봇의 움직임을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기회는 초등정보과학영재에게 논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교육의 가장 큰 특징인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강화하여 일반학생이 아닌 초등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로봇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로봇교육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으로 본 논문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로봇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기적성 로봇교육과정을 분석하며 그 시사점을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로봇교육과정 설계 시에 적용하였다. 또한 설계된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선정한 후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통합교육환경에서의 사서교사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5
    • /
    • 2012
  • 통합교육 이념이 법제화되어 일반학교의 특수교육대상자 비중이 확대되었으나 이러한 변화가 학교도서관 및 사서교사 정책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이 그 역할을 다하고 학교도서관에 의한 교육적 지원이 학교전체의 특수교육서비스시스템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 실무를 담당하는 사서교사가 특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능력을 갖추어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에서 장애 관련 교과목은 거의 배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의 의의, 통합교육환경에서의 학교도서관의 역할 및 사서교사 교육의 필요성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사서교사 교육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사서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대학에서 교육하여야 할 내용을 추출하여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