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movement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2초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싱크홀의 위험요인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of Sinkholes with Geospatial Information)

  • 김동문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7-43
    • /
    • 2016
  • 최근 사회기반시설이 밀집한 도심지에서 싱크홀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싱크홀이 시민의 생활영역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어, 싱크홀의 주요 발생요인인 도시개발과 지하수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싱크홀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성이 깊은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에서 발생한 싱크홀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지형공간정보는 싱크홀의 발생원인을 지형학적 관점에서 구축한 정보이며, 정보의 처리와 분석은 GIS를 기초로 한 다양한 공간분석도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지형학적 요인이 싱크홀의 발생원인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지하에 설치된 각종 관망과 지하수위의의 이동특성, 기타 지형학적 특성의 관리가 필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방재분야의 의사결정지원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수문지형학 및 공간모델링분야를 접목한 확장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내러티브 공간에 의한 이북(e-book)의 시각화 유형 (The Type of e-book's Visualization by the Narrative Space)

  • 신승윤;정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03-114
    • /
    • 2014
  • 본 연구는 이북(e-book)의 내러티브 시각화 연구를 독자적인 영역으로 구축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연출분류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북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북의 영상 공간 구조와 관점적 지각원리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운동을 일으키는 주체를 찾고, 운동 단서에 의해 현존감 높은 공간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연출 요소들을 관찰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등장 요소와 매체, 카메라와 독자의 운동단서를 13개로 분류하고 코드로 정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의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46개의 결합 운동으로 분류하고 4가지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실제 공간 경험, 내러티브 공간 경험, 캐릭터성 경험으로 분류하여 운동 단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북의 내러티브 시각화 유형 분류하여, 이북을 영상언어로 확장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기조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광주폴리의 입지 및 공간적 특성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Gwangju Folly)

  • 박용관;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1-60
    • /
    • 2012
  • Gwangju Metropolitan City has implemented a creative regeneration project of Gwangju Folly in the site of Gwangju-eup Fortress as part of the Gwangju Design Biennale by inviting well-known international architects.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place, and space through actual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wangju Folly were mainly located at the four gates and corners of Gwangju-eup Fortress, main entrances of Asia Culture Complex, and historical places where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occurred. The common place of Gwangju Folly was a footpath and common location types were the full location of footpath width and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width. For the spatial types of Gwangju Folly, the practical type which people can stay was the most common(2/3). In the partial location of footpath width, the type which people take a rest and look out over the surroundings accounted for a half. In the full location of footpath width, the gate type which people pass accounted for 2/5. However, as footpath width was minimum for walking, both partial and full occupation types were narrow in place. It influenced the image of Gwangju Folly. Gwangju Folly did not play as a figure and show architects' intentions clearly because of their narrow location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make a plan to maintain places so that Gwangju Folly do not have a cramped image and architects' intentions become clear with citizens' cultural competence. Also, urban property which creates the identity and attraction of Gwangju continuously should be settled down through helping citizens recognize the intention and value of artistic works.

In-situ and remote observ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off the Korean coast

  • Ahn Yu-Hwan;Shanmugam P.;Ryu Joo-H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53-556
    • /
    • 2004
  •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in complex coastal ecosystems, off the southern Korean coast,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data obtained from SeaWiFS and AVHRR as well as in-situ observations. Hydrographic parameters measured using CTD sensors were used to elucidate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chlodinium.p blooms. The results show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hlorophyll-a (Chl-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reveal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Cochlodinium.p blooms and process underlying their evolution. Satellitederived Chl-a estimates appear to be potential in explicating the evolution,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the enclosed bays of the South Sea. The existence of thromohaline waters offshore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apid growth and subsequent southward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that are influenced to flow on the offshore branch (OB) during September.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un-induced chlorophyll-a fluorescence signal in the remote sensing fluorescence spectra and its high-intensity was recognized during the period of exponential growth and physical transport. Satellite-derived Chl-a concentration during September 1999 ranged between $3­60mg/m^3$ inside the Jin-hae and adjacent Bays and $1-6mg/m^3$ in offshore waters, with varying Cochlodinium.p abundances 1500 to 26000 cells $ml^{-1}.$ The closely spaced CTD surveys and satellite-derived SST give a complete overview on the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hydrodynamically active regions of the offshore southern East Sea by the influence of Tsushima Warm Current (TWC).

  • PDF

GMS 상층운량의 40~50일 계절만 진동 (The 40~50Day Intraseasonal Oscillation of the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High Cloud Amount)

  • 하경자;서애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19-633
    • /
    • 1996
  • 인도양 및 서태평양 부근의 적도 대류의 계절안 변동을 GMS 상층운량을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이 연구는 90E-l7IW와 495-5ON 영역에서의 여름 몬순의 계절안 및 경년 변동 주기내의 열대-중위도 상호 관계를 찾는데 방향이 맞추어져 있다. 특히 상층운량에서 적도 대류와 연관된 동아시아 몬순의 계절안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대규모 대류의 이동과 진화에 대한 공간 및 시간 구조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간과 시간 발전을 동시에 보기 위해 연장 경험적 직교함수 분석이 적용되었다. 그 첫째는 정규 구조로 간주될 수 있는, 90E-l2OE의 강한 대류의 동쪽 확장이 뚜렷한 모드이나 우리나라와 일본 부근에서는 해마다 변동하는 모드이다. 둘째, 세째 및 네째 모드들은 여름 몬순 동안 계절안 변동성을 가지고 증폭되는 모드들이다. 적도 대류에서 가장 강력한 계절안 모드가 바로 40~50일 부근에 탁월 주기를 갖고 있는 공간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우리 나라산업입지 변화요인 분석: 구조적 접근 (The Changing Industrial Location Factors in Korea: A Review on Structural Approach)

  • 김재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권1_2호
    • /
    • pp.27-45
    • /
    • 1999
  • 최근 제조업의 수도권의 집중, 서울에서 경기지역으로 분산과 경기직역의 성장, 수도권질서 첨단산업으로의 구조재편과 중소기업의 집적, 그리고 농촌지역에서의 대기업 분공장 입지 등의 현상에 대해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역사과정의 맥락에서 구조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본의 국제적 이동과정질서 신국제분업과 경제성장은 한국의 공간구조를 불균등하게 조직하였고, 그리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자본축적은 지가상승, 임금상승 그리고 노동재생산기반의 지리적 차이와 산업의 공간분업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변화된 요인에 의해서 오늘날 제조업 입지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지식기반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구조와 지가와 관련된 토지이용구조의 입지요인들이 더욱 구조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휴시설 활용을 통한 학습도시형 커뮤니티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Community Vitality of Learning City through the use of Unused Facil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Busan -)

  • 박종민;김종구;강윤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41-148
    • /
    • 2018
  • 최근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고 삶의 질을 높여 도시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도시와 도시 주민이 함께 성장 발전 할 수 있도록,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원하는 것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학습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 지고 있다. 세계 많은 선진국들은 학교와 공공시설을 활용하여 학습도시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학교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역 공동체와의 파트너쉽에 의한 학습 프로그램 제공이 부족한 실정이다. 성공적인 학습도시 구현을 위해 공간적 소프트웨어적 전략이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학습 가능한 시설의 공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도시를 구현하고자 한다.

Effect of hanging-type sand fence on characteristics of wind-sand flow fields

  • Cheng, Jian-jun;Lei, Jia-qiang;Li, Sheng-yu;Wang, Hai-feng
    • Wind and Structures
    • /
    • 제22권5호
    • /
    • pp.555-571
    • /
    • 2016
  • A hanging-type sand-retaining wall is a very common sand-blocking fence structure used to prevent sand movement. This type of wall is widely used along the Qinghai-Tibet and Gobi desert railways in Xinjiang, Western Chin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ind-sand flow fields under the effect of such a sand fence structure, a wind tunnel test and a field test were carried out. The wind tunnel test showed the zoning characteristics of the flow fields under the effect of the hanging-type sand-retaining wall, and the field test provided the sediment transport data for effective wind-proof interval and the sand resistance data in the front and behind the sand-retaining wall. The consistency of the wind-sand flow fields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wind-carried sand motion was verified by the correspondences of the acceleration zone in the flow field and the negative elevation points of the percentage variations of the sand collection rate.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field sand collection data further showed the spatial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e sandy air currents under the action of the hanging-type sand-retaining wall and the sand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sand-retaining wall. This systematic study on the wind-sand flow fields under the control of the hanging-type sand-retaining wall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rational layout of sand control engineering systems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a hanging-type sand-retaining wall.

고정된 공간 축 샘플링 간격을 적용한 뜯는 현악기의 현에 관한 물리적 모델링 (Physical Modeling of Plucked String Based on Fixed Spatial Sampling Interval)

  • 강명수;김규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2
    • /
    • 2001
  • 뜯는 현악기의 물리적 모델에서는 선형 시스템에 의해 현을 따라 이동하는 파동이 모델링 된다. 현재 양질의 악기 음 합성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모델링 방법은 J.O. Smith가 제안한 디지털 도파관[1] 이론을 기초로 한다. J.O. Smith는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유도하기 위해 파동 방정식의 해를 이용했으며, 시간 변수를 기준으로 한 모델을 유도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론에 파동 방정식의 공간 변수도 고려해 악기를 모델링 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 도파관 모델을 변형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악기 모델에서는 파동의 속도에 관계없이 공간 변수의 샘플링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시간 변수의 변화에 따른 파동의 이동을 묘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악기 모델은 악기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더 정확히 묘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 좋은 음질의 뜯는 현악기 음을 합성할 수 있다.

  • PDF

수도권의 사업체 규모에 따른 화물발생 예측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Freight Gener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Company Siz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상철;최창호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31-437
    • /
    • 2005
  • 화물발생 예측을 위해 주로 이용된 방법은 교통존을 중심으로 한 공간단위의 접근기법이다. 또한 연구사례에 따라 물동량 전수화 방법에 차이가 있고 모형에 포함된 변수가 다른 경우가 많아 일관된 화물발생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물동량 단위 예측기법은 개별 사업체를 대상으로 유출${\cdot}$입하는 화물 물동량과 종업원수, 매출액, 연면적, 부지면적 등 사업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업체 단위로 화물발생을 예측하는 것으로 공간단위 접근기법보다 간편하고 다른 지역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사업체이며 매출액을 설명변수로 선정하여 회귀식을 추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회귀모형의 형태는 지수형으로 매출액이 증가함에 따라 화물발생의 규모도 커지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교통 존 단위가 아닌 사업체 단위로 화물발생을 예측하는 보다 미시적인 연구방법을 개발함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