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ype of e-book's Visualization by the Narrative Space

내러티브 공간에 의한 이북(e-book)의 시각화 유형

  • 신승윤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
  • 정현선 (부산대학교 정보전산원)
  • Received : 2014.03.25
  • Accepted : 2014.06.23
  • Published : 2014.07.28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proposal the direction classification to develop the independent study of e-book's visualization. For this, we research into the e-book of Disney animation which achieved recognition in the literary value and amusement First of all, We grasp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e-book's aerial-image and perceptual principle. Next, We found the subject that starts the movement, and then observed the factor of the presentation to be possible to experience the actual spatial experience by the motion-produced cues. Through analysis process, We can classify the appearance elements, media, camera, and the readers' motion-produced cues into 13 parts and define as the codes. As we analysi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nalysis object, We separated it into the 46 combination exercis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with the independent exercise, We separated them into 4 groups. There are the actual spatial experience, narrative spatial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characters. The basis for these, we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ion-produced cues.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he expansion of e-book into the film language system by separating the e-book's narrative visualization type.

본 연구는 이북(e-book)의 내러티브 시각화 연구를 독자적인 영역으로 구축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연출분류를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작품성과 흥행성을 인정받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북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북의 영상 공간 구조와 관점적 지각원리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운동을 일으키는 주체를 찾고, 운동 단서에 의해 현존감 높은 공간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연출 요소들을 관찰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등장 요소와 매체, 카메라와 독자의 운동단서를 13개로 분류하고 코드로 정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분석 대상의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46개의 결합 운동으로 분류하고 4가지 그룹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실제 공간 경험, 내러티브 공간 경험, 캐릭터성 경험으로 분류하여 운동 단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북의 내러티브 시각화 유형 분류하여, 이북을 영상언어로 확장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 기조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구름빵.com
  2. KOCCA, 일본 콘텐츠산업동향, 제6호, 2012.
  3. F. Biocca, "The cyborg's dilemma: Progressive embodiment in virtual environment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2002.
  4. Y. Lotman, 스크린과의 대화, 우물이 있는 집, 2005.
  5. R. Arnheim,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6.
  6. D. Bordwell and K. Thompson, FILM ART : A INTRODUCTION, 8th ed., McGraw-Hill, pp.132-155, 2008.
  7. Bluce Block, 비주얼스토리, 커뮤니케이션북스, pp.92-119, 2010.
  8. James Monaco, How to Read a Film: Movies, Media, Multimedia, 3rd ed. Oxford, U.K.: Oxford Univ. Press, 2000.
  9. J. Aumont, 이마주, 동문선, 2006.
  10. G. Currie, 이미지와 마음, 한울 아카데미, 2007.
  11. R. L. Solso, 시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3.
  12. http://www.disneybookapp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