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information standard

검색결과 617건 처리시간 0.045초

시멘틱 공유를 위한 MDA기반 지하공간정보 온톨로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DA-based Subsurface Spatial Ontology Model for Semantic Sharing)

  • 이상훈;장병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129
    • /
    • 2009
  • 최근 이질적인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와 다양한 관리주체별로 생산, 축적되는 공간정보의 특성으로 인하여 공간정보의 재사용과 공유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가공간정보체계의 하나인 지하공간정보도 공간분석을 위해서는 지형도, 지질도, 지하시설물도 등 여타 공간정보와 공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표준 혹은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의한 공유방법은 시멘틱 이질성을 고려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정보의 시멘틱 공유를 위해 일반개념, 측정스케일, 공간모델을 포함한 온톨로지 레이어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온톨로지 개발방법론이 아닌 MDA기반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관적이며 환경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메타모델(UML Profile)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온톨로지 모델의 시멘틱 품질은 Pellet 추론엔진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멘틱 공유를 증진시키고, 온톨로지의 지식표현 능력을 이용하여 GIS 전문가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Generation Method of Spatially Encoded Video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Joo, In-Hak;Hwang, Tae-Hyun;Choi, Kyoung-Ho;Jang, Byung-Ta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01-803
    • /
    • 200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spatially encoded video data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by GIS applications. We collect the video data by a mobile mapping system called 4S-Van that is equipped by GPS, INS, CCD camera, and DVR system. The information about spatial object appearing in video, such as occupied region in each frame, attribute value, and geo-coordinate, are generated and encoded. We suggest methods that can generate such data for each frame in semi-automatic manner. We adopt standard MPEG-7 metadata format for representation of the spatially encoded video data to be generally used by GIS application. The spatial and attribute information encoded to each video frame can make visual browsing between map and video possible. The generated video data can be provided and applied to various GIS applications where location and visual data are both important.

  • PDF

SDTS와 Informap간의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ata Conversion System between SDTS and Informap)

  • 오병우;이강준;한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9-121
    • /
    • 1996
  • 독립적인 저장 구조로 공간 데이타를 저장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간의 데이타 교환은 매우 힘들다. 더욱이, 공간데이타의 저장을 위해서는 많은 기억 공간이 필요하고 입력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필요하므로 중복 지장하면 낭비가 크다. 그러므로, 다른 지리 정보 시스템과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여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공간 데이타의 교환을 위해서는 공통데이타괴환 포맷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매핑 시스템인 Informap의 데이타와 극가 공통데이타교환 포맷으로 지정된 SDTS 데이타의 상흐 교환을 위한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Informap과 SDTS의 저장 구조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변환을 위한 게이트웨이 함수를 구현하고, 이러한 게이트웨이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 PDF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s for Improving Atmospheric Emission Inventories of Biogenic Source

  • Shin, Tae-joo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51-158
    • /
    • 1999
  • Biogenic source emissions refer to naturally occuring emissions from vegetation, microbial activities in soil, lightening, and so on. Vegetation is especially known to emit a considerable amou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to the atmosphere. Therefore, biogenic source emissions are an important input to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s. since most biogenic source emissions are calculated at the county-level, they should be geographically allocated to the computational grid cells of a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 prior to running the model.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spatial allocation for biogenic source emissions has been to use a "spatial surrogate indicator" such as a county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ch approximations, this study developed more detailed surrogate indicators to improve the spatial allocation method for biogenic source emissions. Due to the spatially variable nature of biogenic source emission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were introduced as new tools to develop more detailed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Use of these newly developed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for biogenic source emission allocation provides a better resolution than the standard spatial surrogate indicator.indicator.

  • PDF

Bit-map-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 OH, Gi O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37-142
    • /
    • 2019
  • This paper proposed bitmap 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in need of rapid transmission through network in mobile environment that use and creation of data are frequently happen. Former researches that used clustering algorithms, focused on providing service using spatial data can cause delay since it doesn't consider the transmission speed. This paper guaranteed rapid service for user by convert spatial data to bit, leads to more transmission of bit of MTU, the max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experiment, we compared arithmetically default data composed of 16 byte and spatial data converted to bitmap and for simulation, we created virtual data and compared its network transmission speed and conversion time. Virtual data created as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skewed distribution to compare difference of reading time. The experiment showed that converted bitmap and network transmission are 2.5 and 8 times faster for each.

문화재GIS 구축을 위한 문화유적분포지도 제작 연구 - 지자체 문화유적정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Map Designs for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GIS - Focusing on Regional Cultural relics information -)

  • 장문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03-315
    • /
    • 2008
  • 본 연구는 문화재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근간이 되며, 문화유적지표조사 결과를 종합 정리한 지역별 분포지도와 GIS기반의 검색시스템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현재 각 지역에서는 개발사업에 따른 지표조사가 부분적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문화유적에 대한 관리문제 또한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효율적인 문화유적관리체계 구축과 전국 데이터 통합을 위한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문화재청에서 제시한 기준에 근거하여 공간 및 속성자료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국가차원의 문화재GIS 통합에 있어서 표준안에 부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유적에 대한 훼손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지자체를 중심으로 제반 유적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수재해 정보 플랫폼 통합관리를 위한 표준기술 적용방안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 김동영;이정주;채효석;황의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9-130
    • /
    • 2015
  • 최근 정보기술 기반의 물 관련 분야에서 국가 또는 국제 표준에 대한 실무 적용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공간정보 기반의 콘텐츠 개발과 수신, 처리, 배포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본 핵심이 되는 표준의 중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정보 분야의 필요성에 비하여 표준에 대한 관심과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주요 국제 표준 기구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와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에서 개발, 제정된 정보제공 국제표준 및 관련 표준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수재해 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해 적용 가능한 통합관리 표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측자료 제공을 위한 빅데이터, NoSQL, 클라우드 기술, 공간정보웹서비스를 위한 OGC WxS 표준기술들, 공간정보 표준포맷에 관한 ISO 기술 등 표준화된 정보제공 기술들의 특징을 조사하고, 해당 기술의 도입 전략 및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공간통계분석을 이용한 지가의 입지값 측정에 관한 연구 (The Measurements of Locational Effects in Land Price Prediction with the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 이지영;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33-24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통계분석을 활용하여 지가 연구에 일반적으로 활용되고있는 특성가격모형에서 입지적 특성이 갖는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GIS 공간분석방법 가운데 중첩과 내삽 기능을 이용한 공간자료의 처리 과정이 포함되었다. 사례연구를 위해 동대문구 회기동의 1421개 개별지가에서 54개 표준지들을 추출하여 표준지의 중심좌표를 구하고, 이 벡터 자료점들과 공간적 관련성에 기초하여 조사되지 않은 지점의 지가 예측값을 확률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크리깅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변동도를 통해 분석한 공간적 자기상관관계는 공간 의존성의 형성과정을 추정할 때 장점이 있음을 밝혔다.

  • PDF

지하수관리시스템의 공간 메타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Spatial Metadata Model fo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 이상문;서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29-237
    • /
    • 2007
  • 대용량의 지리정보시스템에 저장된 자료에 대한 접근과 관리에 대한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 자료와 비공간 자료에 대한 물리적이고 개념적인 사항들을 메타데이터로 구축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공간개체의 공간적 요소와 비공간적 요소를 함께 관리하는 지하수 관리시스템에서도 공간 개체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러한 메타데이터 구축 시 개체수준의 메타데이터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DXF 포맷 중심의 Tile-based 지형도에 입력한 지하수의 메타정보를 개체기반 지하수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모델에서 개체 수준과 자료집합 수준에서 메타데이터를 모델링하고 지하수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표준 명세를 제시한다.

  • PDF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정보 현안 및 개선 방향 연구 (Data issue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Marine Spatial Planning)

  • 장민철;박병문;최윤수;최희정;김태훈;이방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5-190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해양선진국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 ; MSP)의 도구인 한국형 GIS 시스템에 있어 해양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도출되는 여러 가지 현안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구축된 우리나라 해역의 250여건의 공간정보는 자료수집, GIS 변환, 자료분석 처리 및 데이터 그룹핑과 핵심공간 매핑의 순서로 가공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공간정보가 부족하여 디지타이징 과정을 거치거나 기존 해양공간정보와의 중첩 수행 시 발견되는 좌표계 오류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해양이용현황 분석을 위한 공간데이터 제작 시 개인정보 제외 자료처리 방안과 지적기반의 공간정보 생성 시 실제 공간정보와 이격 발생을 최소화 하는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족한 공간정보의 확보를 위하여 해양수산정보 및 해당 메타파일의 표준규격을 제시하였으며 해양공간정보의 정밀도 및 해석력 제고를 위해 해양 공간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한국형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축을 위한 해양공간정보의 품질관리에 있어서의 생산, 처리, 분석, 활용 단계의 표준관리 지침수립으로 생애전주기에 걸친 품질관리체계를 제시하여 해양공간정보 개방 확대 및 활용모델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