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ce Coding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25초

Improved Channel Level Difference Quantization for Spatial Audio Coding

  • Kim, Kwang-Ki;Beack, Seung-Kwon;Seo, Jeong-Il;Jang, Dae-Young;Hahn, Min-Soo
    • ETRI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99-102
    • /
    • 2007
  • The channel level difference (CLD) is a main parameter in the reference model 0 (RM0) for MPEG Surround. Nevertheless, the CLD quantization method in the RM0 ha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appropriate quantization levels. In this letter, a new CLD quantization method is proposed based on the virtual source location information which has strength in the quantization process. From experimental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scheme greatly reduces the quantization distortions measured in dB and degrees without any additional complexity.

  • PDF

전파천문 상관처리를 위한 최적 코딩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Coding Method for Correlation Processing of Radio Astronomy)

  • 신재식;오세진;염재환;노덕규;정동규;오충식;황주연;소요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39-14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한일공동VLBI상관기를 위한 소프트웨어 상관기의 성능개선을 위해 공개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최적 코딩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VLBI 관측데이터를 상관처리하는 시스템은 관측국 수에 따라 계산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기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ASIC 또는 FPGA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로 구축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와 같은 대용량 서버에서 구축하고 있다. 하드웨어로 구축한 VLBI 상관처리 시스템은 대부분 관측시간대비 준 실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상관처리 시스템도 이와 같은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코딩작업에서 데이터 처리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관처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인 FFT 처리과정에서 공개된 fftw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최적코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fftw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 SSE를 활용한 방법, 공유메모리를 사용한 방법, OpenMP를 활용한 방법, 그리고 제시한 것들을 병합한 방법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상관처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관처리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fftw와 공유메모리, 그리고 OpenMP를 적용한 최적 코딩 방법이 상관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서 소프트웨어 상관기의 성능개선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STBC와 ARQ를 이용한 1-2-1 부호화 협력 통신 (1-2-1 Coded Cooperative Communication Using STBC and ARQ)

  • 홍성욱;공형윤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21-427
    • /
    • 2009
  • 본 논문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시공간 블록 부호(Space-Time Block Coding: STBC)와 ARQ를 이용한 1-2-1 부호화 협력 통신 방식을 제안한다. 부호화 협력 통신은 협력 통신에 채널 부호화를 접목시킨 기술로 본 논문에서는 콘볼루션 부호화기를 사용한다. ARQ 방식은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우선적으로 목적지 노드에서 평가하여 만족되어질 경우, ACK 메시지를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고 수신한 신호를 복구하므로 기존의 협력 통신에 비해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중계 노드 1과2는 소스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펑처링하석 목적지로 전송하는데, 이때 STBC 기술을 적용하여 프로토콜의 신뢰성을 높인다. 또한, 간단한 비교기를 통하여 우수한 BER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프로토콜을 레일리 페이딩과 AWGN를 고려한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BER 성능을 검증하였다.

AMI/HDB-3 회선부호화 및 HDLC FLAG를 고려한 KS X 1001 정보교환용 한글낱자 부호체계 개선연구 (A Study on the Hangul Character Code System for KS X 1001 Information Interchange considering AMI/HDB-3 Line Encoding and HDLC Flag)

  • 우제택;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2015
  • 스크램블링 기술을 적용한 AMI/HDB-3 방식은 장거리 데이터전송 회선부호화에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은 정보통신용 부호 표준(KS X 1001 ; 2014 확인)에 규정되어 있는 한글낱자, 한글고어낱자용 부호집합에 대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HDLC Flag의 비트 또는 문자 스터핑과 물리계층의 AMI/HDB-3 스크램블링 측면에서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한글낱자용 부호집합 체계를 제시하였다. 기존 부호집합 체계와 비교를 위해 ($4{\times}4$) 비트 원천부호화 규칙과 한글낱자 사용빈도 통계를 적용한 결과, 약 22.01%의 데이터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uffman 부호에 기초한 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의 설계 방법 (Construction of Symmetrical Reversible Variable-Length Codes from the Huffman Code)

  • 정욱현;호요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1호
    • /
    • pp.57-68
    • /
    • 2004
  • 가변길이 부호는 정보원(source)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높이지만, 잡음이 심한 전송 환경에서 비트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제대로 복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가변길이 부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송 오류로 인해 손상된 비디오 비트열에서 올바른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양방향 가 변길이 부호는 부호 구성에 따라 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와 비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로 나눌 수 있다. 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는 비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보다 평균부호길이는 더 길지만 구현이 쉽고 메모리 사용에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기존의 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의 생성 방법은 구현하기에 복잡하고 부호화 효율성도 다소 개선될 여지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된 Huffman 부호 테이블을 통해 대칭적 양방향 가변길이 부호를 생성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부호의 생성과정이 간단하며 평균부호길이가 줄어들어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온라인 SVC 스트림을 재생하는 비디오 재생기의 설계 및 구현 (Video Player for Online SVC Stream in Android Platform)

  • 황기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7-164
    • /
    • 2012
  •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온라인 SVC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SVC 재생기를 구현한 사례를 소개한다. SVC(Scalable Video Coding)는 한 번의 비디오 인코딩으로 프레임율, 비디오 크기, 화질 등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진 비디오 인코딩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JSVM 오픈 소스를 이용하여 SVC 디코더를 native 형태로 구현하고 자바로 안드로이드 UI를 개발한 뒤 이를 연결하여 SVC 재생기를 구현하였다. SVC 인코딩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구축하고, 온라인 SVC 스트리밍을 실험하기 위해 SVC 스트리밍 서버를 구축하였으며 구현된 SVC 재생기를 실제 모토로이 폰에 탑재하여 온라인 스트리밍에 따른 성능을 평가 분석 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SVC 재생기는 온라인상에서 QCIF 크기로 10fps의 SVC 비트 스트림을 재생하는데 지터 등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균 왜곡 감소를 위한 중첩 부호화 기반 레이어 선택적 협력 전송 (Layer Selective Cooperation Using Superposition Coding for Reduction of Expected Distortion)

  • 왕진수;박진배;김윤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7B호
    • /
    • pp.517-527
    • /
    • 2012
  • 본 논문은 가우시안 정보원을 전송할 때 평균 왜곡이 줄어들도록 두 레이어 (layer) 중첩 부호와 순차 복호를 적용한 단일 릴레이 노드 협력 통신 시스템을 고려한다. 이 시스템을 위해 제안하는 협력 전송 방식은 릴레이 노드가 자신의 레이어 복호결과와 피드백 정보인 목적 노드의 레이어 복호결과에 따라 알맞은 릴레이 신호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 때 릴레이 신호는 복호-후 전달과 증폭-후-전달 기법을 혼합하여 설계함으로써 최종 레이어 복호 시의 아웃티지 확률을 줄이도록 한다. 제안 기법의 성능은 아웃티지 확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릴레이 노드 위치에서의 최적 평균 왜곡 성능으로 살펴본다. 그 결과 대부분의 릴레이 위치에서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보다 성능이 좋으며, 특히 릴레이 노드가 원천 노드에 가까울수록 성능 이득이 더욱 증가함을 볼 수 있다.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long noncoding RNA genes and their potential association with mammary gland development in water buffalo

  • Jin, Yuhan;Ouyang, Yina;Fan, Xinyang;Huang, Jing;Guo, Wenbo;Miao, Yongw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656-1665
    • /
    • 2022
  • Objective: Water buffalo, an important domestic animal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agricultural economy. It is an important source for milk, meat, horns, skin, and draft power, especially its rich milk that is the great source of cream, butter, yogurt, and many cheeses. In recent years, long noncoding RNAs (lncRNAs) have been reported to play pivotal roles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Previous studies for the mammary gland development of water buffalo mainly focus on protein coding genes. However, lncRNAs of water buffalo remain poorly understood, and the regulation relationship between mammary gland development/milk production traits and lncRNA expression is also unclear. Methods: Here, we sequenced 22 samples of the milk somatic cells from three lactation stages and integrated the current annotation and identified 7,962 lncRNA genes. Results: By comparing the lncRNA genes of the water buffalo in the early, peak, and late different lactation stages, we found that lncRNA gene lnc-bbug14207 displayed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between early and late lactation stages. And lnc-bbug14207 may regulate neighboring milk fat globule-EGF factor 8 (MFG-E8) and 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3 (HAPLN3) protein coding genes, which are vital for mammary gland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water buffalo lncRNAs and unveils the potential lncRNAs that impact mammary gland development.

행정안전부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진단기준과 Java 웹 어플리케이션 대상 오픈소스 보안 결함 검출기 검출대상의 총체적 비교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omparisons of the MOIS Security Vulnerability Inspection Criteria and Open-Source Security Bug Detectors for Java Web Applications)

  • 이재훈;최한솔;홍신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3-22
    • /
    • 2019
  • 경쟁적이며 급진적으로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 현장에 시큐어 코딩 방법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안 취약점 결함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결함 검출기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Java 웹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행정안전부가 정의한 42개의 보안 취약점 진단 기준과 총 323개의 오픈소스 보안 취약점 결함 검출기의 검출 대상 결함 패턴을 비교하여, 동일한 결함 패턴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시화한 결과를 소개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 행정안전부 보안 취약점 진단 기준 방법론의 한계점, 오픈소스 보안 결함 검출 프레임워크 간의 결함검출 범위의 비교, 그리고 시큐어 코딩 가이드라인에 기반 한 개발 보안 방법론의 발전 과제를 논의한다.

Efficient hardware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rue random-number generator based on beta source

  • Park, Seongmo;Choi, Byoung Gun;Kang, Taewook;Park, Kyunghwan;Kwon, Youngsu;Kim, Jongbum
    • ETRI Journal
    • /
    • 제42권4호
    • /
    • pp.518-526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hardware random-number generator based on a beta source. The proposed generator counts the values of "0" and "1" and provides a method to distinguish between pseudo-random and true random numbers by comparing them using simple cumulative operations. The random-number generator produces labeled data indicating whether the count value is a pseudo- or true random number according to its bit value based on the generated labeling data.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using a system based on Verilog RTL coding and LabVIEW for hardware implementation. The generated random number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NIST SP 800-22 and SP 800-90B standards, and they satisfied the test items specified in the standard. Furthermore, the hardware is efficient and can be used for securit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in real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