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residu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9초

표면플라즈몬공명과 효소면역분석법을 이용한 살충제 카보후란 잔류물 검출 (Sensing of the Insecticide Carbofuran Residues by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Immunoassay)

  • 양길모;조남홍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6호통권113호
    • /
    • pp.333-339
    • /
    • 2005
  • The pesticide is raising public interest in the world, because it causes damage to a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human health remain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an ecosystem, in spite of the advantages. Particularly, each country restricts the residual pesticide and induces observance about the safety and usage standard so that they can control the amount of pesticide used and defend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habitual practice for the analysis of the residual pesticide depends on GC (gas chromatography),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which triturate the fixed quantity of samples, abstract and purify as a suitable organic solvent. These methods have the highly efficient in aspects of sensitivity and accuracy. On the other hand, they need the high cost, time consuming, much effort, expensive equipment and the skillful management. Carbofuran is highly toxic by inhalation and ingestion and moderately toxic by dermal absorption. As with other carbamate compounds, it is metabolized in the liver and eventually excreted in the urine. The half-life of carbofuran on crops is about 4 days when applied to roots, and longer than 4 days if applied to the lea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immunoassay for detecting carbofuran residue quickly on the basis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to evaluate the measurement sensitivity. Gold chip used was CM5 spreaded dextran on the surface. An applied antibody to Immunoassay was GST (glutathione-s-transferase). The association and the dissociation time were 176 second and 215 second between GST and carbofuran. The total analysis time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was 13 minutes including regeneration time, on the other hand HPLC and GC/MS was 2 hours usually. The minimum detection limit of a permissible amount for carbofuran in the country is 0.1 ppm. The immunoassay method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was 0.002 ppm.

Mouse hepatoma 세포를 이용한 농산부산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r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 김정상;남영중;김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2-977
    • /
    • 1995
  • Quinone reductase(QR)를 포함한 2상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들은 많은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의 세포내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산부산물로서 미강, 밀기울, 탈지대두박, 두유박, 참깨박, 들깨박등 6종의 시료에 대한 암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존재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mouse hepatoma cell line(Hepalclc7 cells) 을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유도 여부를 측정하였다. 참깨박과 들깨박의 80%메탄올 추출물은 0.5mg/ml 농도에서 강력한 QR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며, 같은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은 거의 QR 효소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한편 QR효소활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TLC를 수행한 결과, 참깨박과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 가운데 사용한 전개용매(n-butanol : n-propanol : 2N ammonium hydroxide(10 : 60 : 30)에서 가장 빨리 이동하는 분획(Rf=0.70)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활성성분의 동정이 진행중에 있다.

  • PDF

은행엽(銀杏葉)의 가토(家兎) 피부(皮膚) 접촉성염증(接觸性炎症) 유발(誘發) 독성물질(毒成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oxic substances of Gingko leaves inducing contact dermatitis in rabbit)

  • 백병걸;김병수;김선희;안병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9-327
    • /
    • 1991
  • Gingko biloba is one of the oldest trees on earth. It can be traced 300 million years or more into past. In recent years, this tree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because of its longevity. Amount of comsumption of Gingko leaves in Korea is increased to produce drugs for blood circulating system's disorder. The workers who work at the company of product drug with Gingko leaves complain pruritus at belt position of west, however toxic substance from extracts of Gingko biloba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at kind of the toxic substance from extract could induce a contact dermatitis by means of histopathological study. Dried leaves of Korean G. biloba were exhaustively extracted with chloroform. The aqueous chloroform residue was extracted with hexane. After evaporation, the hexane extract was passed through a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it was separated into 9 fractions by means of gradient solvent (benzene: acetone/ 98~93 : 2~7%). The 4th and 7th fraction were idendified as bilibol and gingkolic acid by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NMR spectrophotometer. The 4th and 7th fractions of Korean Gingko leaves have an irritant substances which can be induced ear swelling and increased thickness of stratum cornium of rabbit ear exposed with the fractions (3 time/3 day, $100{\mu}l$ of 50mg/ml ethyl alcohol). In the 4th fraction, the substance have induced the surface of ear to swell and mass of unknown cell like inflammatory cell were infiltrated within the stratum corneum, and the 7th fraction have the surface of ear to loss the hairs, and sebaceous gland and follicle of hair were infiltrated with inflammatory cells. and other fractions at all did not induced a certain contact dermatitis and also Deutschen drug of Gingko (named as Gerigeron) have induced the contact dermatitis such as dematitis of Korean Gingko extract.

  • PDF

수태의 항혈전 활성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Sphagnum palustre)

  • 이예슬;정수진;김미선;손호용;정인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7-421
    • /
    • 2014
  • 수태(Sphagnum palustre)는 물이끼과(Sphagnaceae)의 연한 녹색 선태식물로 분재, 기저귀, 수술용 붕대, 토양 첨가제 등으로 이용된다.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생육하며 매우 저렴하게 생산되지만, 이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태의 열수 추출물과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한 후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혈소판 응집저해를 평가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물 잔류물에서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혈소판 응집 촉진 활성을 동시에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태가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며, 이는 수태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이화누룩의 항혈전 활성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Ehwa Nuruk)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2-306
    • /
    • 2014
  • 이화누룩은 증자하지 않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고, 이를 솔잎으로 띄워 발효시킨 한국 전통누룩이다. 이화누룩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과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고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ethylacetate 분획물은 강력한 thrombin time, prothrombin time, aPTT 연장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기용매 분획후의 물 잔류물에서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이화누룩의 ethylacetate 분획이 신규의 항혈전제로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며, 이는 이화누룩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I): GC-ECD 및 NPD를 병렬 사용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Various Pesticides (I): Analysis by GC with ECD and NPD Dual Detectors)

  • 노경아;김진호;김현위;이윤경;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7-431
    • /
    • 1997
  • 유기인제, 유기염소제, 카바메이트제 및 피레쓰로이드제 농약을 한 번의 전처리와 주입으로 동시에 분석할수 있는 실험법을 연구하였다. 자동 soxhlet 추출 장치로 쌀시료로 부터 농약을 추출해내고, 이 추출물의 용매를 증발시킨후 hexane에 재용해하고 Sep-Pak florisil catridge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법으로 정제하였다. Soxhlet 추출의 용매는 acetone을 사용하였고, 정제시의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 : n-hexane (1:1)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시료액을 GC에 주입하고, 하나의 칼럼에 병렬로 연결된 ECD와 NPD를 통해 검출하였다. ECD를 통해서는 유기염소제와 피레쓰로이드제 농약들이 검출되고, NPD를 통해서는 유기인제와 카바메이트제 농약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검출되어진다. 이 분석법으로 쌀시료에 대해 5회의 회수율 실험을 하였을 때 dichlorvos와 captan을 제외한 46종 농약이 60%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5회 반복된 실험치 간의 표준편차는 $1.12{\sim}14.44$의 범위로 나타나 비교적 양호한 재현성을 보였다.

  • PDF

무기수은과 유기수은의 선택정량 (A Selective Determination Method of Inorganic and Organic Mercury)

  • 김천한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392-398
    • /
    • 1997
  • 무기수은과 유기수은을 분리하여 각각을 정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고분자량 알킬의 4차아민의 염, Aliquat 336의 $CHCl_3$ 용액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에 함유된 무기수은이온, $Hg^{2+}$을 티오시안 착이온으로서, 그리고 유기수은 화합물, $CH_3HgCl$$C_2H_3O_2$ $HgC_6H_5$ 등을 동시에 추출농축한 다음 무기수은은 3 M $HClO_4 $ 용액으로 선택적인 역추출을 하여 CVAAS로 정량하고, 유기수은은 추출액의 $CHCl_3$ 을 증발 제거한 후 그 찌끼를 4% $KMnO_4 $-1M $H_2$$S0_4 $ 용액으로 분해하여 무기수은 이온으로 만들어서 역시 CVAAS로 정량하였다. 시료용액 50 mL 중에 함유된 Hg로서 1 ${\mu}g$의 무기수은과 유기수은 혼합용액(0.02 ${\mu}gHg/mL$)을 분석한 결과 절대오차 ${\pm}6%$ 이내의 결과를 얻었다.

  • PDF

FTO 필름 식각액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FTO Film Etchant)

  • 한두희;양의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3-48
    • /
    • 2018
  • 완전 수입에 의존하는 ITO를 대체할 수 있는 FTO 필름에 회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식각액을 제조하였다. 이 식각액은 불화물 1 ~ 30량%, 산 1 ~ 20량%, 계면활성제 0.5 ~ 5 중량%, 용매제 5 ~ 20 량%, 부식억제제 0.5 ~ 10중량%, 나머지는 물로 이루어진다. 이 식각액은 드라이필름을 이용한 식각공정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식각액의 거품발생 및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식각액의 특성은 100nm 두께의 FTO를 2분 만에 식각할 수 있었고 이때 $50^{\circ}C$의 식각액 온도를 유지하였다. 2분 식각액에 넣었을 때 -0.00364%의 언더컷을 얻었다. Cd, Pb, Hg, Cr 성분 등의 환경유해물질은 측정되지 않았다. 희토류가 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FTO를 활용하면 국산화 및 수입대체효과를 이룩할 수 있다.

침향 추출물의 라디칼 및 췌장 지방분해 효소저해 활성 평가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s of Aquilaria agallocha extracts)

  • 이하영;이인철;곽재훈;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7-442
    • /
    • 2015
  • 팥꽃나무과 방향성 수지질의 상록성 교목인 침향을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CH_2Cl_2$,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녹차의 항산화 성분으로서도 잘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제인 (+)-catechin을 대조군으로 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처리농도에 비례하게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CH_2Cl_2$ 가용부에서 $26.1{\pm}4.4{\mu}g/mL$, EtOAc 가용부에서 $24.8{\pm}3.9{\mu}g/mL$의 우수한 $IC_{50}$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CH_2Cl_2$, EtOAc 및 n-BuOH 가용부에서 각각 $5.3{\pm}0.4{\mu}g/mL$, $5.5{\pm}0.4{\mu}g/mL$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총 페놀함량과의 강한 상관관계가 시사되었고 페놀성의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항비만 활성과 관련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일의 형태로 얻어진 $CH_2Cl_2$ 가용부의 $IC_{50}$값은 $1.1{\pm}0.3{\mu}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약하나 추출물 상태임을 고려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식의약품 소재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 수립을 위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에 대해 활성추적탐색법(activity-guided isolation)에 따라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는 연구를 통한 효능물질의 동정 및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침향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딸기의 세척 및 가공 과정에 따른 농약 잔류량 변화 (Vari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by Washing and Boiling Processes)

  • 곽세연;이상협;정혜린;남애지;;김효영;임채욱;조현정;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81-290
    • /
    • 2019
  • 안전한 딸기 섭취를 위해 딸기에 acetamiprid외 9종의 농약을 인위적으로 살포하여 건조시킨 후 물, 세제, 소주에 침지 및 초음파 세척하였을 경우와 가열하여 잼으로 가공하였을 때 잔류량 변화 및 가공계수를 산출하였다. 농약이 처리된 딸기를 세척 및 가공하였을 때 물에 침지하여 세척한 경우 13.9-65.1%, 세제에 침지한 경우 9.2-71.9%, 소주에 침지한 경우 12.4-61.6%, 물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22.4-62.8%, 세제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18.7-64.5%, 소주로 초음파 세척한 경우 23.1-64.4% 감소하였다. 딸기 중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농약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으나, 세척 용매 및 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물로 세척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세척 횟수를 늘리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가공함에 따라 딸기의 생체량이 2.5배 감소하는 것을 반영하여 가공 전과 후의 절대량을 산출한 결과, 10종의 시험 농약 모두 59.8-98.4%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