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arity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25초

보편주의를 둘러싼 주요쟁점 - 보편주의 복지정책을 위한 시론 - (The Essence of Universalism in Welfare Policy - The Issue of Universalism -)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57-79
    • /
    • 2011
  • 본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보편주의 복지정책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보편주의 복지를 둘러싼 논의의 토대를 제공했다. 일반적 이해와 달리 보편주의와 선별주의는 대립적인 정책원리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정책원리이며, 보편주의 복지는 선별주의 원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편주의는 사민주의와 같은 특정 정치이념의 산물이기 보다는 해당 사회의 공통에 위험에 대한 사회적 연대의 산물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한국사회에 주는 시사점으로 는 단순히 산업화된 서구 복지국가에서의 보편주의 복지의 궤적을 쫓아가기보다는 현재 한국사회가 직면한 현실에 근거해 보편주의 복지에 대한 새로운 할당원리를 고민해야한다는 과제를 던지고 있다.

  • PDF

SNS 이용동기 수준에 따른 정보교류, 네트워크 밀도, 정보신뢰성, 유대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interchange degree, Network density, Information reliability, Network sense of solidarity of According to the motive difference on Using social networks)

  • 박원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57-664
    • /
    • 2014
  • 본 연구는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동기를 분석하여, 각 이용동기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고, 정보교류, 네트워크 밀도, 정보신뢰도, 유대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는 정보추구 동기, 사회적 영향동기, 오락적 동기, 네트워크 형성동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동기 수준에 따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정보교류 정도, 네트워크 밀도, 정보신뢰도, 유대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정보교류 정도와 정보의 신뢰성은 4가지 동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밀도와 유대인식의 차이는 사회적 영향 동기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성인자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원가족에 대한 가족건강도 지각이 노모와의 유대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Adult Children's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he Healthy Family-of-Origin on The Solidarity with Aged Mother)

  • 이신숙;차용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3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al between the self of differentiation of adult children's, the healthy family-of-origin, and the solidarity with aged mother. Questionnar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research. The sample was taken from 356 adult children in Chonnam and Suncho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total points of the self of differentiation of adults children's was 108.7,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90. And the total points of the healthy family-origin was 107(median:84). And the total points of the attachment with aged mother was 30,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24. And the total points of the conflict with aged mother was 22.8, which was lower than the median 27. 2) Th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attachment with aged mother were the healthy family-of-origin, the self of differentiation, educational level and $R^2$of such variable are 30%. The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ing the conflict with aged mother were the healthy family-of-origin, the self of differentiation and $R^2$ of such variables are 29%.

  • PDF

영화 <김씨표류기>: 현대 글로벌 소비사회의 사회학적 보고서 ('Castaway on the moon': A sociological report on the global consumer society)

  • 신정아;최용호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7-33
    • /
    • 2011
  • In this paper we attempt to read a film by Haejoon LEE entitled 'Castaway on the moon' from the Bauman's modernity perspective that draws our attention to uncomfortable problems relative to wastes and wasted lifes in the global consumer society we all live in. The so-called consumer society is a post-modern society desig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wo criteria: on the one hand, beauty and ugliness and on the other hand, competence and incompetence. Classified as ugly as well as incompetent in this society, the two heros in this film are condemned to live their lifes isolated. Miss Kim is confined to her small room while Mr. Kim is exiled to an uninhabited island called 'Bamsum' in the Han River. In these spaces, neither inside nor outside, they perform what we would like to call 'surplus act', using wastes at their disposal. In this paper we ask ourselves whether or not this act is able to challenge the two criteria and the solidarity of the two wasted lifes can bring about change in the consumer oriented society. As well as Bauman, Agamben will help us approach this question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농촌지역개발사업 참여주민의 사회적 자본 인식유형 연구 -Woolcock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ypes of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Focused on Woolcock's Social Capital Theory-)

  • 전미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9권1호
    • /
    • pp.1-18
    • /
    • 2022
  • The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pursuing various resident-driven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rural development.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oftware projects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order to effectively involve residen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However, residents'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s still passive, while passive residents' involvement creates various problems such as conflicts among residents in the process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poor operation after project implement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a basis for inducing voluntary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disclosing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s internal solidarity with social capital and connection with external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195 rural residents, three group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wareness. While individualist groups with low integration and social capital were 25.1%, they were more integrated, but the average family-oriented group was 42.5%, and social-development groups with high integration and linked social capital were 32.3%.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resident commun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both the internal solidarity (integrity) and the external community connection (connectivity) in the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Study on the 'public interest' of French broadcast content

  • Soelah Kim
    • 분석과 대안
    • /
    • 제8권2호
    • /
    • pp.5-3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in broadcasting, which has been approached only from a policy or legislative perspective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the program content itself.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s on French broadcasting, which has a long history of public service, has learned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during its long growth process, and has specifically put this concept into practice through program production. Analysis of French TV programs that have been broadcast over the past 10 years categorize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that French broadcasting has embod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e characteristic of 'freedom of speech: 'participation' and 'generality' in the public sphere' shown by discussion programs or talk shows. The second is the characteristic of 'transmission of cultural identity', which is shown even in entertainment programs. The third is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capital: spreading the value of social solidarity' shown in documentary or discussion programs. In addition, we examine how French broadcasting is implementing public interest at a time when digital media such as YouTube or Instagram are becoming the center of the media environment, and a digital public social media called 'Culture Prime'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현대 실천철학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의 중요성 -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 (The Importance of Kant's 'Sensus Communis' in the Contemporary Practical Philosophy :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Solidarity)

  • 김석수
    • 철학연구
    • /
    • 제123권
    • /
    • pp.57-86
    • /
    • 2012
  • 현대철학에 이르러 많은 철학자들이 근대철학을 흔히 주체철학, 의식철학으로 규정하고, 이 철학의 유아론적인 면을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이론, 해석학, 해체론 등을 통해 다양한 모색을 하고 있다. 실천철학의 영역에서도 이들, 특히 공동체주의자들은 근대 자유주의 철학이 주체의 자유와 권리만을 정당화하는 고립된 자율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따라서 타자와의 관계도 형식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통적인 공동체의 연대성을 붕괴시키고 말았다고 비판한다. 이들은 칸트철학에 대해서도 똑 같은 맥락에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칸트는 자기 이전의 근대 주체철학이나 자유주의 철학을 그대로 추구하지 않고 이들의 한계를 비판하고 극복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는 주체성에 머물러 있는 철학자가 아니라 주체와 주체 사이의 소통 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바로 '공통감'을 다루는 부분이다. 그는 이곳에서 상상력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한 지성과의 합치를 취미판단과 연관을 짓고, 또 이 취미판단의 보편적 타당성의 가능 근거로서 공통감을 요청하고, 이것을 취미판단에 대한 당위적 원리이자 이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취미판단의 주관적 원리로서의 이 공통감은 '판단 주체의 자기 내적 관계'에만 머무르지 않고 '공동체적 감각의 이념'으로서 '판단 주체들 사이의 소통 가능성'에도 관계한다. 공통감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의 조화를 모색하는 그의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자유주의가 중시하는 자율성과 공동체주의가 중시하는 연대성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특히, 그의 공통감 이론이 '비판적 해석학'과 '관계적 자율성'의 이론으로 발전될 경우, 그의 이론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고 현대사회의 고립적 자아들 사이의 갈등을 넘어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길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칸트 공통감 이론은 현대철학, 특히 자율성과 연대성을 둘러싸고 논의되는 오늘날의 실천철학에서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에스핑-앤더슨의 복지국가체제를 중심으로 한국형 복지국가의 준거 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ame of Reference of the Korean Welfare State Model Focusing on Esping-Anderson's Wel fare State Regime)

  • 정현경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2호
    • /
    • pp.43-49
    • /
    • 2022
  • 본 연구는 에스핑-앤더슨의 복지국가체제론을 연구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복지국가의 모형을 개발하여 이를 현실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이데올로기를 연구 분석하고 이를 에스핑-앤더슨의 복지국가체제론을 중심으로 하여 이를 한국적 상황에 알맞게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복지국가의 모형에 관한 연구는, 1965년 윌렌스키와 르보에 의해 주장된 보완적 모형과 제도적 모형의 분류 이후에 다양한 모형들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에스핑-안데르센은 이데올로기에 따른 복지국가의 모형으로 세 가지를 주장하고 있는 데, 첫째, 자유주의 복지체제는 고전적 자본주의의 모습에 가장 잘 부합하는 데에는 시장 역할이 중심적이며, 시장을 통한 개인주의적 연대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국가 또는 가족의 역할은 실제로 주변화 되어 있다. 또한 시장을 통한 개인주의적 연대에 대해 최대한 장려하기 위해서는 국가영역에서의 탈상품화는 최소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둘째, 보수주의적 복지체제는 가족주의적 요소가 강해서 사회적 연대의 근원은 가족이며, 국가는 이 가족의 특성을 지원,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보수주의적 체제에서 탈상품화가 가구주에게 높게 나타나거나, 복지제도가 조합주의적이고 국가주의적 형태를 띠는 것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사회민주주의적 복지체제는 사회적 연대의 근원이 국가이다. 따라서 국가 역할이 크고, 국가는 탈상품화 가능성이 높으며, 보편주의적 개입에 의해서 가족과 시장에 대한 대체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에스핑-앤더슨의 3가지 복지국가의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 실정에 알맞은 모형을 연구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에스핑-앤더슨의 3가지 복지국가의 모형은 자유주의적 복지체제에 기반한 시장 중심적 모형, 보수주의적 조합주의 복지체제에 기반한 지위 중심적 모형, 사회민주주의적 복지체제에 기반한 연대 중심적 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한국형 모델로는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절충형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복지계획의 기반조성을 위한 지역사회응집력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hesion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the Foundation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 강대선;류기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27-53
    • /
    • 2007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법적 행정적 제도화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문화 중심의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을 도출하고자, 지역사회정신이자 문화인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 즉 지역사회 네트워크, 지역사회연대감, 장소 애착감과 지역사회참여와의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응집력의 세 가지 영역은 모두 지역사회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 중 주민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사회연대감과의 관계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 증진 전략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은 참여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인의 지역사회지식 활용과 나눔 전략, 주민의 장기거주 및 최종정착 유도 전략, 저소득계층의 소득증진 및 창출 전략, 종교조직과 구성원의 지역사회책임성 증진 전략, 여성참여의 의도적 확대 및 적합성 전략을 지역사회참여 증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지역사회 주민-문화적 자산중심의(residents-cultural asset driven) 통합적 지역사회복지계획 산출의 기반 조성에 기여하는 데 있다.

  • PDF

희망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차이" 드러내기: 자본주의 공간성에 대한 Harvey와 Gibson-Graham 비교 연구 (Revealing "difference" for Space of Hope: A Comparative Study of Harvey and Gibson-Graham on Spatiality of Capitalism)

  • 최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125
    • /
    • 2010
  • 기존의 노동, 여성, 환경 운동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연대의 패러다임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노동운동의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여성주의운동의 이론적 토대인 후기구조주의 간의 차이를 고찰함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 학계에서는 이런 작업이 불충분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지리학자인 Harvey와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지리학자인 Gibson-Graham을 비교함을 통해 "차이(difference)"에 대한 이해의 이론적 차이를 밝혔다. Harvey에게 "차이"의 문제는 노동계급이라는 정체성에 동일시된 자와 동일시되지 못한 자 간의 문제이다. Harvey에게 젠더와 인종차별은 계급 권력의 특정한 형태이므로 노동계급의 보편성에 기반한 연대가 지구적 자본의 연대에 맞서는 효과적인 실천적 방법이 된다. 반면 Gibson-Graham은 계급에 특권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젠더와 인종의 범주들을 주변화/식민화하는 이해방식에 문제를 제시한다. 헤게모니적인 자본주의 담론을 해체하고 다양한 "공동체 경제들"을 가시화하는 것이 자본주의를 극복하는 전략임을 Gibson-Graham은 강조한다. 두 학자의 "차이"에 대한 이해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에서는 이 둘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 축적과정에 공간이 가지는 누적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이해함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공간은 자본의 이동성과 고착성, 연결성과 단절성 등의 상반된 경향들을 공존시키는 물질적 토대로 자본주의의 지역적 차이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은 다양한 주체들의 우연적인 서로 다른 실천들이 어떻게 자본주의로 연결되는지를 보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