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id lipid particl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부잠폐수의 성상과 유출 유지의 성분 (Features of Waste Water form By-Product Silk Treatment and Composition of Extracted Lipid)

  • 남영락;설대석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0-102
    • /
    • 1991
  • 제사공정의 부잠사 처리폐수에 대하여 그 성상과 추출 유지성분을 분석한 결과 1. 부잠폐수의 COD 605mgO/$\ell$ 총 용존 고형물량 2,335mg/$\ell$ 총 부유 고형물량 2,234mg/$\ell$이었다. 2. 부잠폐수의 지질에는 triglyceride가 76.8%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유리 지방산 12.5%와 diglyceride 5.7% free sterol 5.0% 순이었다. 3. 부잠폐수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의 함유율이 64.9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palmitic acid 29.39% stearic acid 4.93%의 순이었다.

  • PDF

Optimization of Preparation Variables for Trimyristin Solid Lipid Nanoparticles

  • Choi, Mi-Hee;Lee, Mi-Kyu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1호
    • /
    • pp.51-55
    • /
    • 2007
  •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 have been regarded to behave similar to the vegetable oil emulsions because emulsions of lipid melts are formed before lipid droplets being solidified to turn into SLNs. Compared to lipid emulsion, however, it has been more difficult to obtain stable SLNs and needs more extensive considerations on stabilizer and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esent study, we tried to prepare phosphatidylcholine-based trymyristin (TM) SLNs using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method and optimize the manufacturing variables such as homogenization pressure, number of homogenization cycles, cooling temperature, co-stabilizer and freeze-drying with cryoprotectants. Nano-sized TM particles could be Prepared using egg Phosphatidylcholine and pegylated phospholipids ($PEG_{2000}$PE) as stabilizers. Based on the optimization study, the dispersion was manufactured by homogenization under the pressure of 100 MPa for more than 5 cycles, and solidifying the intermediately formed lipid melt droplets by dipping in liquid nitrogen followed by thawing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TM SLNs could be freeze-dried and then redispersed easily without significant particle size changes after freeze drying with 10% and 12.5% sucrose or trehalose. The TM SLNs establish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delivery system for drugs and cosmetics.

Absorption Study of Genistein Using Solid Lipid Microparticles and Nanoparticles: Control of Oral Bioavailability by Particle Sizes

  • Kim, Jeong Tae;Barua, Sonia;Kim, Hyeongmin;Hong, Seong-Chul;Yoo, Seung-Yup;Jeon, Hyojin;Cho, Yeongjin;Gil, Sangwon;Oh, Kyungsoo;Lee, Jaehw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5권4호
    • /
    • pp.452-459
    • /
    • 201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genistein-loaded solid lipid particulate systems on drug dissolution behavior and oral bioavailability was investigated. Genistein-loaded solid lipid microparticles and nanoparticles were prepared with glyceryl palmitostearate. Except for the particle size, other properties of genistein-loaded solid lipid microparticles and nanoparticles such as particle composition and drug loading efficiency and amount were similarly controlled to mainly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particle sizes of the solid lipid particulate systems on drug dissolution behavior and oral bioavail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genistein-loaded solid lipid microparticles and nanoparticles exhibited a considerably increased drug dissolu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genistein bulk powder and suspension. The microparticles gradually released genistein as a function of time while the nanoparticles exhibited a biphasic drug release pattern, showing an initial burst drug release, followed by a sustained releas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genistein loaded in solid lipid microparticles and nanoparticles in rats was also significantly enhanced compared to that in bulk powders and the suspension. However, the bioavailability from the microparticles increased more than that from the nanoparticles mainly because the rapid drug dissolution rate and rapid absorption of genistein because of the large surface area of the genistein-solid lipid nanoparticles cleared the drug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genistein-solid lipid microparticles did.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solid-lipid particulate systems at a micro-scale would be a promising strategy to increas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genistein.

Enhanced Occlusiveness of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NLC)-based Carbogel as a Skin Moisturizing Vehicle

  • Choi, Woo-Sik;Cho, Hye-In;Lee, Hyun-Young;Lee, Seo-Hyun;Choi, Young-Wo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0권6호
    • /
    • pp.373-378
    • /
    • 2010
  • In order to develop a topical preparation which has a high occlusive property with skin moisturization,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NLC) systems along with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were designed. Various NLC dispersions were successfully formulated with Compritol 888 ATO as a solid lipid, Labrafil M 1944 CS as an oil, and Tween 80 as a surfactant. The increase of oil content (5 to 50%) led to the decrease in the occlusion factor in the order of SLN > NLC-5 > NLC-15 = NLC-30 > NLC-50. Particle size of lipid particulates was in the range of 100 to 160 nm. NLC-based carbogels were prepared by the employment of humectants such as urea, glycerin, and Tinocare GL to carbomer gel. NLC-30 gel formulations containing 4 or 8 % of lipid particles showed improved occlusive effect in vitro, compared to NLC-free gel base. Even though NLC-free gel base revealed comparable occlusion effect by itself, the occlusion factor of 4 % NLC-30 gel was about 2-fold higher than that of NLC-free gel base.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인공피부조직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설계 연구 (Design of Solid Lipid Nanoparticles to Improve Penetration of Niacinamide through Artificial Skin Tissue)

  • 여수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3-1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미백물질인 나이아신아마이드(NI)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NI를 고형지질 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에 봉입하고 피부 투과율을 평가하였다. NI는 이중 에멀션 가온용융 유화법으로 SLNs 내에 효과적으로 봉입할 수 있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263.30 ~ 436.93 nm이었고 제타전위는 -34.77 ~ -57.60 mV인 안정한 입자를 제조하였다. NI의 피부 투과 연구를 위해 인체 표피 조직에서 유래된 피부각질세포로 만든 3차원적 인공피부(SkinEthicTM RHE)을 사용하였다. NI의 피부 투과 및 침적 실험 결과 모든 SLNs 제형이 NI의 피부 투과 및 침적율을 개선시켰으며, SLNs을 적용하였을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투과율은 약 5.4 ~ 7.6 배, 침적율은 9.5 ~ 20.8 배 개선되었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는 기능성 미백물질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하기에 충분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키토산 코팅 처리 Solid Lipid Nano-particle의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Chitosan Coated Solid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7-Dehydrocholesterol)

  • 이근수;김태훈;이천일;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6
    • /
    • 2005
  • 불안정한 생리활성물질들은 외부 환경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캡슐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비타민 $D_3$의 전구체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HC)은 일반인의 표피 각화세포에서 열충격 단백질(Heat Shock Protein)의 발현을 단백질과 mRNA의 수준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7-DHC의 국소용 피부 제제로의 이용은 낮은 용해도와 화학적 불안정성 때문에 이용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 7-DHC는 나노에멀젼(NE), 고형 지질 나노 입자 (SLN) 그리고 키토산이 코팅된 고형 지질 나노 입자(CASLN)에 봉입하였다. NE와 SLN은 지질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고압의 호모제나이져를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CASLN은 SLN 분산액에 키토산을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양(+)의 제타전위를 나타내었다. NE, SLN, CASLN 속에서 7-DHC의 안정도를 각각의 온도조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확인하였다. 열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은 지질의 결정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CASLN은 기존의 SLN보다 불안정한 7-DHC를 효과적으로 봉입함으로서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화장품에서의 올레오겔 이용 (The Utilization of Oleogels for Cosmetics)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34
    • /
    • 2013
  • 올레오겔은 친유성의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로 정의할 수 있다. 고상의 지질 물질(올레오겔 형성제)은 10 wt.% 미만의 농도로 네크워크 형성에 의해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올레오겔 형성제는 자발적 회합계와 결정화 입자계의 두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올레오겔 형성제를 이용한 올레오겔 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질 네트워크 형성의 기본적인 양상을 올레오겔을 기본으로 한 결정화 입자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올레오겔의 화장품에의 응용 사례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EMT)을 봉입한 고형지질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의 화장품 응용 (Cosmetic Application of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BEMT)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 이근수;이동환;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 oxyphenyltrizine; BEMT)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기능성 원료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UVA와 UVB의 화학적 자외선 흡수제이다. 그러나 BEMT는 실제 적용에 있어 여러 가지 결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EMT가 적용된 고형지질나노입자(BEMT- SLN)의 자외선차단제품 응용에 있다.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입도는 약 330 nm, 봉입율은 93.3 %, 결정화지표는 4.3 %였다. In vitro 방출 및 투과 실험 결과에서, BEMT는 SLN보다 O/W 에멀젼이 대체로 높았다. In vivo 실험에서 SLN의 BEMT 방출비는 80 % 감소하였다. 또한 in vitro UV 방어 효과 실험에서 SLN이 적용된 처방의 자외선방어지수(SPF) 값은 약 2.5배 증가하였다. 결국 SLN은 BEMT를 효과적으로 봉입하고 있었으며, 자외선 차단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고성만 양식 참굴의 연구 -I. 먹이가 참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Modeling Oyster Populations Dynamics -I. Effect of Available Food on Growth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Korea-)

  • 오경희;방익찬;;김윤;김성연;박윤정;최광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7-335
    • /
    • 2002
  • Effects of available food on growth of commercially cultured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on the south coast were studied using a numerical model. levels of total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in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ater column as well as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for estimating total available food for oyster growth. Environmental parameters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total suspended solid were also monitored for the model. Oyster growth was also monitored by means of measuring shell length and tissue wet weight increase on a monthly basis. Simulation results from the numerical model indicated that chlorophyll a is not a good representative of available food for the oysters in Goseong Bay. In contrast, available food in the water column measured by filtration of the organic particles and analyzed in terms of total lipids, carbohydrates and protein was well matched with simulated oyster growth in the Bay which is similar to observed growth. The model also suggested that oysters have relatively low retention efficiency of $50\%$ or l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oysters in the bay utilize only a part of food particle available in the water column, as reported in other studies.

미세먼지에 의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병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Recent Understanding in Particular Matter-Mediated Aging and Age-Related Diseases)

  • 방은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8-77
    • /
    • 2024
  •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강력한 환경 오염 물질로 대두되고 있다. PM은 서로 다른 구성과 크기의 고체 입자와 액체 방울로 구성되며, 유해 화학 성분에는 원소 및 유기 탄소, 유기 화합물, 생물학적 화합물 및 금속이 포함된다. 급성 및 만성 PM 노출 시 생체 내 생리학적 시스템에 의하여 유입되고 축적되어 세포내 소포체 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산화 스트레스, 염증, 지질 축적 및 세포 주기 정지와 함께 세포 구조 변화를 촉진한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세포 반응은 노화의 주요 특성을 발달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세포 노화와 관련된 자가포식 플럭스 및 리소좀 기능 장애를 향상시킨다. 선행 연구에서 PM과 사망률 증가 또는 수명 감소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강조했지만, 노화에 대한 PM의 직접적인 증거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이 총설에서는 관찰 연구뿐만 아니라 노화 진행 및 연령 관련 질병 발병에 대한 PM의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증거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소포체 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산화 스트레스, 염증, 지방 축적, 자가포식을 포함하여 PM 노출과 노화 사이의 연관성을 강화하는 연령 관련 세포 변화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자료는 PM에 따른 기본적인 세포 반응의 이해를 토대로 PM으로 인한 노화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