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sampling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26초

수생태계의 환경유전자(environmental DNA: eDNA) 채집 및 추출기술 (Sampling and Extraction Method for Environmental DNA (eDNA) in Freshwater Ecosystems)

  • 김건희;류제하;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54권3호
    • /
    • pp.170-189
    • /
    • 2021
  • 환경유전자(eDNA)는 다양한 환경(수중, 토양, 대기)에 존재하는 생물체로부터 유래된 유전물질을 의미한다. eDNA는 높은 민감도, 짧은 조사시간 등 많은 장점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생물 모니터링 및 유해생물과 멸종위기 생물을 탐색하는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eDNA를 채집하기 위해서는 대상생물 및 대상유전자뿐만 아니라 현장 여과방법 및 eDNA 보존방법과 같이 매우 다양한 항목들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환경에서 eDNA를 채집하는 방법은 eDNA 농도와 직결되는 항목으로서 적절한 채집방법을 사용하여 eDNA를 채집할 때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채집한 eDNA를 보존하고 추출하는 과정에서도 정확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현장에 분포하는 eDNA의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eDNA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자들에게 eDNA 분야는 초기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기술로서 이를 위한 기초 자료가 매우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는 eDNA가 수생태계를 연구하기 위한 도구로서 보다 널리 이용되며, eDNA를 이용하기 시작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수생태계에서 eDNA를 채집하고 및 운반하는 방법과 실험실에서 eDNA를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eDNA 채집 도구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의 생태적 특성 및 감자포장내 유충밀도 조사법 (Bionomics and a Lana Sampling Method of Coppery Wireworm, Selatosomus puncticollis (Motschulsky), (Coleoptera: Elateridae) in Potato Field)

  • 권민;박천수;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5-200
    • /
    • 2004
  • 청동방아벌레의 발생소장과 생태적 특성을 야외의 망실(6$\times$70m, 3개동)과 사육실($20^{\circ}C$, RH$75\%$, L16/DB)내에서 조사하였다. 월동성충은 5월 상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상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6월 하순 이후에는 성충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총 마리수에 대한 발생비율은 6월 상순과 5월 하순이 각각 $42.1\%,\;31.7\%$를 차지하여 이 시기에 대부분의 성충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은 6월 중순부터 시작하였고, 부화는 7월 상순에 시작하였다. 7월 중순에 용화가 시작되어 약 한 달 후인 8월 중순에 성충으로 우화하기 시작하였다. 난기는 23일, 용기는 21일이었으며, 성충의 산란전기는 약 10개월, 유충기는 약 30개월로 추정되었다. 유충은 토양깊이 10-15cm 사이에서 $56.8\%$ (1997)-$45.8\%$ (1998)가 분포하였다. 감자포장내 방아벌레 유충의 밀도조사를 위해 6가지 유인미끼(감자조각, 당근조각, 고구마조각, 통밀, 옥수수 알갱이, 밀가루 반죽)를 토양깊이 15 cm에 묻고 5일, 10일 후에 각 미끼별 유인된 마리수를 조사한 결과, 방아벌레 유충을 가장 많이 유인한 미끼재료는 감자조각으로 10일째 회수 시에 개당 평균 1.8마리가 조사되었고, 통밀, 고구마 조각이 각각 1.6, 1.4마리였다. 따라서 감자포장내의 방아벌레 유충의 밀도조사법으로, 파종을 위한 경운 전에 감자조각을 땅속 15cm 깊이에 묻고, 10일 후 회수하여 감자 조각에 유인된 유충의 마리 수를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중부지역 과수원 토양중의 중금속 함량 평가 (Assessment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Orchard Soils in Middle Part of Korea)

  • 정구복;김원일;이종식;신중두;김진호;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1
    • /
    • 2004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1998년 $3{\sim}5$월에 과수원 토양 164지점(경기 48, 강원 36, 충북 36, 충남 44지점)을 대상으로 표토($0{\sim}20\;cm$)와 심토($20{\sim}40\;cm$)로 나누어 채취하여 토양내 중금속함량과 분포특성,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 및 토양 이화학성과의 관계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수원 토양중 0.1N-HCl 침출성 평균함량은 Cd 0.080, Cu 4.23, Fb 3.42 mg/ks 1N-HCl 침출성 As 평균함량은 0.44 mg/kg, 중금속 총함량은 Zn 78.9, Ni 16.09 및 Hg 0.052 mg/kg 이었다. 과수원 토양내 중금속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5, Cu 50, Pb 100, Zn 300, Ni 40, Hg 4 mg/kg)과 비교하여 $1/2.5{\sim}1/76.9$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Cd $5.4{\sim}9.2$, Cu $27.9{\sim}47.8$, Pb $12.6{\sim}21.8$, Zn $15.8{\sim}20.3$, Ni $5.3{\sim}6.3$, Cr $0.7{\sim}3.6%$ 이었고, 특히 0.05 M-EDTA 침출성 Cu 및 Pb의 침출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Cd, Pb 및 Ni의 총함량은 모래함량과 부의상관, 미사와 점토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점토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Zn과 Ni의 함량비율은 토양 pH값,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과수원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기준보다 매우 낮아 안전하였으나 영농활동에 의한 영향으로 볼 수 있는 농도수준이 검출된 일부 토양에서 조사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친환경농업 측면으로 볼 때 영농형태별 중금속의 분포 및 농업자재에 의한 농경지내 중금속 부하량에 근거하여 중금속 오염유무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에 강하한 황사의 토양학적 특성 (Ped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 장용선;김유학;손연규;이계준;김명숙;김선관;원항연;좌재호;엄기철;김상효;곽한강;김한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01-306
    • /
    • 2005
  • 황사가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우리나라 풍적모재 토양의 기원을 해석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04년 사이에 채취한 국내 황사를 중국 북부건조지대 및 황토지대 토양의 광물조성과 물리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중국 북부 건조지대 및 황토지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 8.3-9.0, 유기물 $11-23g\;kg^{-1}$, CEC $7.1-18.4cmol_c\;kg^{-1}$으로 채취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광물조성은 석영과 장석류를 주광물로하고 석회석, 백운석, 점토광물을 소량으로 수반하고 있었다. 국내에 강하한 황사의 입자 크기는 $50{\mu}m$ 이하 이었으며, 황사의 주요한 점토광물은 illite로 우리나라 일반농경지 토양에 비하여 illite 함량이 많고 kaolin은 적었다. 황사의 염기포화도가 약 260%로 과포화를 보이는 것은 황사 중 탄산염광물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황사의 미세형태는 국내 밭토양 (본량사양토, 수원)에 비하여 원마도 및 분급도가 양호한 구형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강하 황사 중의 광물조성과 성분함량은 채취시기 및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 강하 황사의 입경분포, 치환성 양이온 등 이화학적 특성은 중국 북부 건조지대 토양과는 차이가 있었으나 광물조성과 화학적 조성은 중국 황토지대 토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ngle Asian Dust Storm Particles

  • Ma, Chang-Jin;Mikio kasahara;Hwang, kyung-Chul;Park, Kum-Chan;Park, Seong-Boo;Lee, Jeo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6권E호
    • /
    • pp.29-38
    • /
    • 2000
  • For the detailed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erosol, the analysis of single particle is highly valuabl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Asian dust storm particl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coupled with and energy dispersive X-ray microanalyzer(EDX) and micro-PIXE were applied. Sampling was performed at Kyoto University located in Kyoto, Japan, in spring of 1999. Mass concentration during Asian dust storm events was higher roughly 3∼5 times than measured in the season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Single particles were generally sharp-edged and irregular in shape and contained mostly crustal elements. Significant amount of S in coarse fraction was detected in individual particles. A large particles in coarse fraction existed as the mixture of soil components and S.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result of SEM-EDX analysis and that iof micro-PIXE analysis was obtained in this study.

  • PDF

Source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for Ambient PM10 in Seoul, Korea

  • Yi, Seung-Muk;Hwang, InJ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8권3호
    • /
    • pp.115-125
    • /
    • 2014
  • In this study, particle composition data for $PM_{10}$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3 days at Seoul, Korea from August 2006 to November 2007, and were analyzed to provide source identification and apportionment. A total of 164 samples were collected and 21 species (15 inorganic species, 4 ionic species, OC, and EC) were analyzed by particle-induced x-ray emission, ion chromatography, and thermal optical transmittance methods.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was used to develop source profiles and to estimate their mass contributions. The PMF modeling identified nine sources and the average mass was apportioned to secondary nitrate (9.3%), motor vehicle (16.6%), road salt (5.8%), industry (4.9%), airborne soil (17.2 %), aged sea salt (6.2%), field burning (6.0%), secondary sulfate (16.2%), and road dust (17.7%), respectively. The nonparametric regression (NPR) analysis was used to help identify local source in the vicinity of the sampling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strategy to maintain and manage the ambient air quality of Seoul.

압밀침하 계측분석기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Practical Analysis Method for the Consolidation Settlements)

  • 김준석;김주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41-148
    • /
    • 2005
  • 연약지반의 불균질성, 시료의 교란, 토질상수의 입력오차, 압밀이촌의 단점 등으로 예측된 압밀침하량 및 시간은 대부분 실측치와 잘 일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압밀기간동안 계측자료를 활용한 침하량 예측기법은 실무에서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기법으로 많이 활용되는 방곡선법, 아사오카범, 호시노법을 비롯한 최근에 제안된 4법의 이론적 공통점을 바탕으로 아사오카법을 제외한 나머지 분석기법들에 대하여 일반화된 쌍곡선 형태의 수식화 작업으로 새로운 분석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사례를 통하여 유용한 계측분석기법으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신불산 고산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특성 (A Characteristic on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hinbulsan Wetland)

  • 이동한;황종우;성성훈;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61-567
    • /
    • 2009
  •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Shinbulsan wetland wa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gree of recovery of habitat by comparing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 invertebrates of zone D to that of zone A, intact habitat. The zone D was destruct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golf club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in zone A and zone D of Shinbulsan wetland. The seasonal survey was performed in April, July and September from 2006 to 2007. From the sampling, 2 phyla, 3 classes, 9 orders, 31 families, 69 species and 1155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collected. From zone A,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54 species and 678 individuals were identified. From zone D, 2 phyla, 3 classes, 9 orders, 23 families, 43 species and 477 individuals were identified.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ere higher in zone A than in zone D. The recovery of zone D was inefficient as humidity of soil was not enough to live macroinvertebrates. Also, an endangered species of macroinvertebrates, Nannophya pygmaea was found during this investigation.

V-shaped Pits in Regions of Ancient Baekje Kingdom Paleoparasitologically Confirmed as Likely Human-Waste Reservoirs

  • Shin, Dong Hoon;Shim, Sang-Yuck;Kim, Myeung Ju;Oh, Chang Seok;Lee, Mi-Hyun;Jung, Suk Bae;Lee, Geon Il;Chai, Jong-Yil;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69-573
    • /
    • 2014
  • In a paleo-parasitological analysis of soil samples obtained from V-shaped pits dating to the ancient Baekje period in Korean history, we discovered Ascaris lumbricoides, Trichuris trichiura, and Clonorchis sinensis eggs. In light of the samples' seriously contaminated state, the V-shaped pits might have served as toilets, cesspits, or dung heaps. For a long period of time, researchers scouring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have had difficulties locating such structures. In this context then, the present report is unique because similar kind of the ancient ruins must become an ideal resource for successful sampling in our forthcoming paleoparasitological studies.

Estimation of Penetration Depth Using Acceleration Signal Analysis for Underwater Free Fall Cone Penetration Tester

  • Seo, Jung-min;Shin, Changjoo;Kwon, OSoon;Jang, In Sung;Kang, Hyoun;Won, Sung Gyu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2-207
    • /
    • 2020
  • A track-type underwater construction robot (URI-R) wa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ecause URI-R uses tracks to move on the seabed, insufficient ground strength may hinder its movement. For smooth operation of URI-R on the seabed,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seabed. To determine these properties,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cone penetration test (CPT), and sampling are used on land. However, these tests cannot be applied on the seabed due to a high cost owing to the vessel, crane, sampler, and analysis time. To overcome these problems, a free fall cone penetration tester (FFCPT) is being developed. The FFCPT is a device that acquires the geotechnical properties during impact/penetration/finish phases by free fall in water. Depth information is crucial during soil data acquisition. As the FFCPT cannot measure the penetration depth directly, it is estimated indirectly using acceleration. The estimated penetration depth was verified by results of real tests conducted on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