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selenat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8초

Sodium selenate의 토양관주 처리방법에 따른 서양채소의 생육과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Selenate Supplied Condition by Fertigation on the Growth and Content of Minerals, Ascorbic acid, Nitrate, and Selenium of Some Western Vegetables)

  • 이성진;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0
    • /
    • 2008
  •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주요 양채류의 기능성 향상을 위한 적정 셀레늄처리 방법을 구명하고자, sodium selenate처리 농도, 처리시기 및 처리 횟수에 따른 작물생육과 작물체내 무기성분, ascorbic acid, nitrate 및 셀레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odium selenate 1, 2, 5 및 $20mg{\cdot}L^{-1}$처리구에서 공시작물 모두 초기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처리 60일 후부터 $5mg{\cdot}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어, 무처리구에 비해 $5mg{\cdot}L^{-1}$처리구에서도 결구상추는 33%, 브로콜리는 47%, 파슬리는 74% 생체중이 감소한대 비해 비트와 셀러리는 고농도에서도 생육억제 현상이 크지 않아 $20mg{\cdot}L^{-1}$농도에서 생체중이 20%와 15% 감소하였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작물체내 ascorbic acid 함량은 결구상추의 경우 셀레늄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mg{\cdot}L^{-1}$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 1.2배 높았고, 셀러리와 비트도 같은 농도에서 약 10% 정도 함량 증가를 보였으나, 브로콜리와 파슬리는 셀레늄처리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식물체내 nitrate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작물에서 감소하였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의 폭은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질산염의 함량 저하는 결구상추에서 가장 현저하였으며, 그 다음이 비트, 셀러리 순이었다. 무기성분 K, Ca, Mg의 함량은 공시작물 모두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분별로는 K성분이 모든 작물에서 고도의 부(負)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Mg와 Ca함량이 감소는 농도간의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다. Sodium selenate 처리에 따른 식물체내 셀레늄함량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작물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고농도인 $20mg{\cdot}L^{-1}$ 처리구에서 브로콜리는 무처리구 보다 24.4배, 셀러리는 76.4배, 파슬리는 560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결구상추, 비트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작물의 생육단계별 처리에서는 생육초기에 후기보다 결구상추는 1.3배, 브로콜리는 1.4배 높았으나, 파슬리와 셀러리는 생육중기에 처리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처리 횟수별 Se 함량은 파슬리, 셀러리 및 결구상추는 처리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10회 이상이 되면 셀레늄의 축적량이 둔감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브로콜리는 처리횟수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셀레늄의 축적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고랭지 지역의 셀레늄 분포 조사 및 양채류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처리가 생육과 셀레늄 함량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Selenium Distribution in Highland Province of Gangwon and Effect of Sodium Selenate Treatment on the Selenium Content and Growth of Some Western Vegetables Grown by Ferigation)

  • 이성진;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2
    • /
    • 2008
  •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재배토양과 주요 양채류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고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첨가가 작물생육과 셀레늄함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랭지 지역의 토양의 셀레늄 함량은 $0.024{\sim}0.038mg{\cdot}kg^{-1}$의 분포를 보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지역에서 재배된 브로콜리의 셀레늄 함량은 적게는 10.5mg에서 많게는 $17.9\;mg{\cdot}kg^{-1}DW$로 나타났으며, 토양내 셀레늄 함량이 높을수록 재배 작물체내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셀러리의 셀리늄 함량은 $6.02\;mg{\cdot}kg^{-11}$이었고, 비트, 결구상추 및 파슬리는 1mg 전후로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2mg{\cdot}L^{-1}$처리구는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생육및 작물체내 셀레늄함량을 증진시켰다. $2mg{\cdot}L^{-1}$농도 60일간 관비재배한 결과 양채류의 Se 함량은 브로콜리 $76.2mg{\cdot}L^{-1}$, 파슬리 $69.1mg{\cdot}L^{-1}$, 셀러리 $63.2mg{\cdot}L^{-1}$, 비트 $54.2mg{\cdot}L^{-1}$, 결구상추 $8.3mg{\cdot}L^{-1}$순이었으며 브로콜리는 대조구보다 4.2배, 셀러리는 10.5배, 파슬리는 62.5배가 증가하였다.

배양액 내의 Selenate 이온농도가 웜우드(Artemisia absinthium L.)의 생육 및 정유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 Park, Kuen-Woo;Lee, Yun-Jeong;Jeong, Jin-Cheol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4-269
    • /
    • 1997
  • 본 실험은 고기능성 채소 생산을 위한 배양액내의 적정 셀레니움 농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벨기에의 채소연구소에서 허브재배를 위해 개발된 양액을 이용하여 각각 $Na_2$SeO$_4$를 0, 2, 4, 6, 8mg/$\ell$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액내 셀레니움의 농도가 국화과 식물인 향쑥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저농도의 처리는 생육을 향상시켰으나 6mg/$\ell$이상의 고농도 처리는 생육을 감소시켰다. 엽록소의 함량은 셀레니움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는데 배양액 내의 selenate ion 농도가 높을수록 전체 엽록소함량도 증가되었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좋은 생장을 보였던 4mg/$\ell$처리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했을 때 비타민C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농도의 selenate 이온 농도는 정유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고농도에서는 정유의 함량이 감소되었다. 식물에 의한 셀레니움의 흡수는 배양액내의 selenate 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촉진되었다.

  • PDF

셀레니움 처리농도와 방법이 마늘의 셀레니움과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 Application Dosage and Methods on Selenium and Mineral Contents in Garlic)

  • 황재문;이미경;하현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65-470
    • /
    • 2001
  • 토양 중 Se 함량은 논보다 밭토양에서 높았으며 지역 간 차이가 있었다. Se 함량은 Se 처리농고가 높을수록 증가였으며, 엽초보다 인경에서 많았다. 마늘에 시용한 Sodium selenate는 sodium selenite보다 Se 흡수를 많이 시켰다. Se 처리에 따른 마늘 생육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Sodium selenate의 엽면시용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경에서 Se 함량이 높았으나, 토양처리는 농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아서 엽면시용이 효율적인 것으로 보인다. 무처리구의 Se 함량은 논토양에 비하여 강우가 차단된 하우스의 인공용토에 재배한 마늘에서 높았다. 무기성분에서 인이나 유황은 인경에 많으며, 유황, 마그네슘 및 칼륨은 Se 처리구에서 무처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농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 PDF

전해아연의 Anode Slime과 건전지의 폐기물로부터 금속망간의 회수 (Refining of Manganese from Anode Slime of Electrolytic Zinc and Waste Dry Cell)

  • 윤병하;김대룡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1986
  • Manganese in the Anode slime and the paste-positive material of waste-dry cell was recovered by leaching with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The impurities (Zn, Fe, Pb), co-leached with manganese were removed from the leached solution prior to electrolysis by hydrometallurgical techniques such as the neutralization with ammonium hydroxide and cementation on manganese powder. The electrodeposition of manganese from the purified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was performed. Cathode current efficiency was foun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oncentration of sodium selenate and ammonium chloride salt, bath temperate, current density and PH. The current efficiency of about 88.7% was obtained by electrolysis manganese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0.1/g) at 10$^{\circ}C$.

  • PDF

Effects of selenate and L-glutamate on the growth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 Kim, Seung-Cheol;Kim, Jin-Sook;Monoldorova, Sezim;Cho, Jang-Eun;Hong, Minsun;Jeon, Bo-Yo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39-244
    • /
    • 2018
  • Mycobacterium tuberculosis (M. tuberculosis) complex is the causative agent of tuberculosis (TB) in humans and bovine TB in mammalian hosts and grows very slowly. Selenium is a central molecule in nitrogen metabolism and an essential ingredient for all living cells and glutamic acid. The effects of selenium on the growth of M. tuberculosis, a representative slow-growing Mycobacterium species, were investigated and measured using the BacT Alert 3D System (MB/BacT System). Sodium selenate,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mu}g/mL$, reduced the average time-to detection (TTD) to 197.2 hours (95% confidence interval (CI), 179.6~214.8) from 225.1 hours (95% CI, 218~232.0) in the control culture media (P<0.05). The TTD did not increase with $\text\tiny{L}$-glutamate concentrations up to $10{\mu}g/mL$, but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TD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20{\mu}g/mL$ ${\text\tiny{L}}$-glutamate in culture media (P<0.05). In conclusion, selenate and ${\text\tiny{L}}$-glutamate enhance the growth of M. tuberculosis.

효모를 이용한 selenium peptide 생산 및 특성 연구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enium Peptid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김은기;김영옥;이정옥;이백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3-77
    • /
    • 2004
  • 셀레늄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셀레늄 펩타이드)는 셀레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효모를 배양함으로써 생산 하였다. 효모 단백질의 GPC 분석을 통해서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 내 셀레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셀레늄이 효모 내 단백질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백질당 셀레늄 양은 배지에 첨가한 셀레늄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펩타이드 내의 셀레늄 함량이 높아질수측 항산화 효과 (glutathione peroxidase 유사 활성)가 증가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XIV를 이용하여 여러 분자량의 펩타이드를 생산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을 GPC로 분석하였다 셀레늄 펩타이드의 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은 펩타이드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Sodium selenate은 sodium selenite에 비해 효모의 성장 저해를 적게 받았고 단백질 내 셀레늄 함량이 sodium selenite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효모 배양에 의한 셀레늄 펩타이드의 생산의 가능성과 이를 이용한 항산화 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ORGANIC SELENIUM FOR SHEEP I. SELENIUM BALANCE AND SELENIUM LEVELS IN THE DIFFERENT RUMINAL FLUID FRACTIONS

  • Serra, A.B.;Nakamura, K.;Matsui, T.;Harumoto,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83-89
    • /
    • 1994
  • The effects of inorganic selenium (Se), selenate and selenite on Se balance levels in the different ruminal fluid fractions were studied using Japanese Corriedale wether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47 kg.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as used with three animal, three periods and three treatments. In each period, there was 7 d dietary adjustment followed by 5 d total collection of urine and feces. Ruminal fluid samples were obtained at 0, 1, 3, 5 and 7 h postprandially on the final day of the collection period.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1) without Se supplementation (control); (2) with Se supplement as sodium selenate; and (3) sodium selenite at a rate of 0.2 mg Se/kg dietary DM. The basal diet was timothy hay (Phleum pratense L.) fed 2% of body weight/d. Results indicated that Se balance were higher (p < 0.05) for those animals under supplementation than those animals under control. Overall data gathered showed a similar digestion balance of selenate and selenite in sheep. Inorganic Se, both selenate and selenite produced positive Se contents of the ruminal feed particles and protozoa. Bacterial Se increased (p < 0.05) on the first three hours post-prandially in Se supplemented diets. Gross ruminal fluid fraction, although there was improvement on their Se content under the supplemented diets, the changes were insignificant over the control. free inorganic Se and Se in soluble protein of the ruminal flu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selenate and selenite. Most of the Se in the ruminal fluids of the animals under supplementation were insoluble, indicating the influence of rumen environments on Se bioavaliability.

한국의 몇 가지 허브의 셀레늄 함유량 및 셀레늄 처리가 정유 함량에 미치는 영향 (Status of Selenium Contents and Effect of Selenium Treatment on Essential Oil Contents in Several Korean Herbs)

  • 이문정;이긍표;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3호
    • /
    • pp.384-388
    • /
    • 2001
  • 한국의 세 지역에서 수확한 20가지 허브들의 셀레늄 함량을 분석한 결과, 많은 허브류들에서 셀레늄을 검출할 수 없었다. 안젤리카($138.4{\mu}g\;Se{\cdot}kg^{-1}$ FW), 카라웨이($167.8{\mu}g\;Se{\cdot}kg^{-1}$ FW), 카모밀(($116.6{\mu}g\;Se{\cdot}kg^{-1}$ FW), 마죠람(158.7 and $132.6{\mu}g\;Se{\cdot}kg^{-1}$ FW), 그리고 오레가노($62.5{\mu}g\;Se{\cdot}kg^{-1}$ FW)는 다른 작물들에 비해 높은 Se을 함유하고 있었다. 식물체 내 Se 함량은 종, 품종 그리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양액 내 Se을 첨가하여 식물체 간 Se 흡수 경향을 조사하였다. Se은 수확 4주 전 배양액 내에 sodium selenate($Na_2SeO_4$) 형태로 각각 2, 4, 6, and $8mg{\cdot}L^{-1}$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Field-mint의 경우가 가장 많은 Se를 흡수하였고 외관상 Se의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허브의 정유 함량도 Se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asil과 balm은 Se 처리효과가 컸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2-3배나 정유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정유 함량이 배양액 내 Se농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 PDF

양액재배 시 selenium의 첨가가 basil의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um on Storability of Basil (Ocimum basilicum) in Hydroponics)

  • 김민순;박권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87-91
    • /
    • 2001
  • 본 연구는 수경재배 바실의 MA 저장시 적정 저장 온도를 선정하고 기능성 배가를 위해 양액 내 첨가한 Se이 바실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바실은 European Vegetable R & D Center에서 개발한 허브 배양액 1배액을 사용하여 담액 순환식으로 재배하였으며, Se을 sodium selenate($Na_2SeO_4$)의 형태로 수확 3주 전 2, 4, 6, $8mg{\cdot}L^{-1}$의 농도로 양액 내 첨가하였다. 바실의 MA 저장 시 $5^{\circ}C$에서는 저온장해가 발생하여 전해질 용출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Se 처리에 의해 저장기간을 무처리구에 비해 3일간 연장시킬 수 있었다. $10^{\circ}C$ 저장 시 $5^{\circ}C$보다 생체중 감소율이 적었으며, 비타민 C 함량도 더 높았다. Se 처리는 작물 내 비타민 C 함량을 증가시키고 전해질 용출량은 감소시켰다. 작물 내 Se 함량은 Se 처리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저장 전 $2mg{\cdot}L^{-1}$ 처리구에서는 $67{\mu}g{\cdot}g^{-1}DM$, $8mg{\cdot}L^{-1}$ 처리구에서는 $423{\mu}g{\cdot}g^{-1}DM$을 함유하였다. 이상에서 바실의 MA 저장 시 저온장해를 줄이고 여러 가지 내적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0^{\circ}C$ 저장 온도가 적합하다. 또 보다 안전하게 Se 함유 바실을 섭취하기 위한 적정 Se 처리농도는 $Na_2SeO_4\;2mg{\cdot}L^{-1}$ 이하가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