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 centrality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연결망상의 우위와 감성 표현과의 관계 분석: 알츠하이머 웹포럼의 적용 (The Analysis on Users' Centrality in the Social Network and their Sentiment : Applying to Medical Web Forum on Alzheimer's Disease)

  • 이민정;우지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27-140
    • /
    • 2015
  •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의료 웹포럼 컨텐츠의 감성 분석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연계하여 감성을 표현하는 정도와 사회연결망상의 영향력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최근 사회가 고령화가 됨에 따라 치매환자는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들은 질병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위로를 얻기 위하여 의료 웹포럼을 이용하고 있다. 웹포럼상에서의 정보적/감성적 지지의 형태로 나타나는 사회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중앙에 위치한 사용자의 감성표출이 다른 사용자의 감성 표출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긍정적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그룹이 부정적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그룹에 비해 연결중심성 및 보나시치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웹포럼 상의 감성전달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에게 큰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오피니언 리더를 도출하고, 알츠하이머 환자의 우울증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중심성 척도가 추천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Network Centralities on Recommendation Performance)

  • 이동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1호
    • /
    • pp.23-46
    • /
    • 2021
  • 개인화 추천에서 많이 사용되는 협업 필터링은 고객들의 구매이력을 기반으로 유사고객을 찾아 상품을 추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협업 필터링 기법은 사용자 간에 직접적인 연결과 공통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인해 신규 고객 혹은 상품에 대해 유사도를 계산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른 기법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이 고안되기도 하였다. 이런 노력의 하나로서, 사회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을 적용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직접적으로 유사성을 찾기 힘든 사용자 간에도 둘 사이에 놓인 유사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을 통해 유추해내는 방식으로 상호 간의 유사성을 계산하는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즉,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이 네트워크 내에서 두 사용자를 간접적으로 이어주는 네트워크의 특성을 기반으로 둘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얻은 유사도는 추천대상 고객이 상품의 추천에 대한 수락여부를 결정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중심성 척도는 추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할 수 있다. 이런 유사도의 계산을 위해서 네트워크의 중심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런 중심성이 추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는 데에서 주목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이런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추천기법은 신규 고객 혹은 상품뿐만 아니라 전체 고객 혹은 상품으로 그 대상을 넓히더라도 추천 성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네트워크 모형에서 연결선이 생성되는 것을 이진 분류의 문제로 보고, 추천 모형에 적용할 분류 기법으로 의사결정나무, K-최근접이웃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을 선택하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4년2개월간 수집된 구매 데이터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회연결망에서 측정된 중심성 척도를 각 분류 기법에 적용하여 생성한 모형을 비교 실험한 결과, 각 모형 별로 중심성 척도의 추천성공률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 뉴스를 이용한 관심 이슈 연구 (A Study on Interest Issues Using Social Media New)

  • 곽노영;이문봉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2호
    • /
    • pp.177-190
    • /
    • 2023
  • Purpose Recently, as a new business marketing tool, short form content focused on fun and interest has been shared as hashtags. By extracting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from media audiences through comment analysis of social media news, various stakeholders aim to quickly and easily grasp users' opinions on major news. Design/methodology/approach YouTube videos were searched using the YouTube Data API and the results were collected. Video comments were crawled and implemented as HTML elements, and the collection results were checked on the web page. The collected data consisted of video thumbnails, titles, contents, and comments. Comments were word tokenized with the R program, comparing positive and negative dictionaries, and then quantifying polarity. In addition,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ivided positive and negative comments, and the results of centrality analysis and visualization were confirmed. Findings Social media users' opinions on issue new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by dividing comments into positive and nega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egative objective reviews had the highest effect on information usefulness. In this way, previous studies have been reaffirmed that online negative information has a strong effect on personal decision-making. Corporate marketers will analyze user comments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o detect negative opinions about products or corporate images, which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atisfy customers' needs.

온라인 패션커뮤니티 네트워크에서의 구전 영향력과 확산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Influence and Diffusion of Word-of-Mouth in Online Fashion Community Network)

  • 송기은;이덕희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25-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embers and communities that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online fashion community through their word-of-mouth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and the diffusion of word-of-mouth in fashion community, the study selected one online fashion community. Then, the study sorted the online posts and comments made on fashion information and put them into the matrix form to perform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community network used in the study has many active members that relay information very quickly. Average time for information diffusion is very short, taking only one or two days in most cases. Second, the influence of word-of-mouth is led by key information produced from only a few members. The number of influential members account for less than 20% of the total number of community members, which indicate high level of degree centrality. The diffusion of word-of-mouth is led by even fewer members, which represent high level of betweenness centrality, compared to the case of degree centrality. Third, component characteristic shares similar information with about 70% of all members being linked to maximize information influence and diffusion. Fourth, a node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shares similar interests, presenting strain effect to particular information. Specially, member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show similar interests with members of high degree centrality. The member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also help expansion of related information by actively commenting on pos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reation and management of network to efficiently convey fashion information by identifying key members with high level of information influence and diffusion to enhance the outcome of online word-of-mouth.

소셜네트워크 연결밀도와 중심성에 따른 소셜쇼핑 구매의도의 차이 -온라인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The Difference of the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Shopping by Connection Intensity and Centrality of Social Network -In the Case of Online Community and SNS-)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3호
    • /
    • pp.153-167
    • /
    • 2011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인 연결밀도와 중심성에 따라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집단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개인중심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간의 소셜쇼핑 구매의도의 차이를 제안하고 분석하였으며, 그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결밀도가 높은 경우에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심성 역시 높을 때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간에도 소셜쇼핑에 대한 구매의도가 차이를 보였는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연결밀도가 높은 경우에, SNS는 중심성이 높은 경우에 각각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소셜네트워크 및 소셜쇼핑 연구에 있어 네트워크 구조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소셜쇼핑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 소셜네트워크 유형별 구조를 이해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네트워크 중심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영화산업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Genre Centrality and Performance in the Motion Picture Industry)

  • 이원희;정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53-168
    • /
    • 2017
  • 영화 장르에 대한 기존 연구는 특정 장르와 영화 성과간의 유의성 검증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대상 국가 및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주로 단일 장르와 성과 간의 관계에 집중했기 때문에, 최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복합 장르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과 복합 장르 자료를 활용하여 장르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 간에는 역 U 형태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나친 '탐색'과 지나친 '활용'보다는 이 둘 간의 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영화 장르의 범위와 조합을 선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장르 간 연결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한다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영화산업의 성장과정과 연계한 장르 네트워크의 동적 연구로도 확장 가능할 것이다.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코로나19 전후의 가정과교육 유튜브 콘텐츠 변화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of Changes in YouTube Home Economics Education Content Before and After COVID-19)

  • 심재영;김은경;고은미;김형선;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20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chang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content loaded on YouTube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From January 1, 2008 to June 30, 2021, a basic analysis was conducted of 761 Home Economics education videos loaded on YouTube, using NetMiner 4.3 to analyze important keywords and the centrality of video titles and full texts. Before COVID-19, there were 164 Home Economics education videos posted on YouTube, increasing significantly to 597 following the emergence of the pandemic. In both periods, there was more middle school content than high school content. The content in the child-family field was the most, and the main keywords were youth and family. Before COVID-19, a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student content was high, whereas after the outbreak of the disease, teacher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effect of distance learning. However, compared with video use, the self-ex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users were lower in both periods. The centrality analysis indicated that in the title, 'family' exhibited a high degree of both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over the entire period. Degree centrality of the video title was found to be high in the order of class, online, family, management, etc.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connection of keywords was strong overall. Eigenvector centrality indicated that career, search, life, and design were influential keywords before COVID-19, while class, youth, online, and development were influential keywords after COVID-19.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ynchronous CMC Technology and Task Networks : A Perspective of Media Synchronicity Theory

  • Yang, Hee-Dong;Kim, Min-Soo;Park, Chul-Woo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479-491
    • /
    • 2008
  • A "task network" is a type of social network that consists of experts who exchange professional help and advice regarding executing task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task network used within the IS department of a national bank in Korea. We identify how this network moderates the influence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technology on an individual s task performance. Size, density, and centrality were measured as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al task networks. Size equates to the total number of colleagues who work with a specific member for a certain project. Density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actual relationships to the total number of available relationships. Centrality defines whether an individual s position is in the exact center of whole network, and is measured by betweenness centrality, meaning the position one member holds between others in a network. Our findings conclude that the conditions - the larger the size of the task network, the smaller its density and the higher its level of centrality - lead to more benefits of using CMC media. Further, this positive effect of CMC is more noticeable when it provides synchronicity.

  • PDF

SNA분석을 통한 AEO 인증제도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f AEO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SNA Analysis)

  • 김진욱;양태현;김동명;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47-56
    • /
    • 2020
  • 본 연구는 AEO 제도관련 기존연구의 연구동향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론으로는 SNA법에서 제시하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활용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결중심성 결과에서는 "MRA", "Logistics Security"가, 근접중심성 결과에서는 "MRA", "Logistics Security"가 그리고 매개중심성 분석 결과, "AEO 활용혜택", "신뢰성"이 상위 키워드 결과값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기간별 중심성 차이분석를 통하여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연구의 동향이 바뀌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EO 제도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전 세계적인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경연 네트워크에서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and Winning Percentage in Competition Networks)

  • 서일정;백의영;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27-135
    • /
    • 2016
  • 본 연구는 이전에 연구된 적이 없는 경연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경연 네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고,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TV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불후의 명곡'을 대상으로, 총 386명의 경연자가 펼친 1,307회의 경연 결과를 수집하여 경연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을 산출하여 그들의 관계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시각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연 네트워크는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이다. 둘째, 경연수와 다른 경연자들과의 친밀도 사이에는 로그함수 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경연수가 20회 이상인 경연자의 승률은 대략 60%로 수렴한다. 마지막으로, 경연수가 20회 미만인 경연자의 승률은 대진 운에 23% 정도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경연 네트워크를 최초로 정의하고 탐색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연구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는 점이며, 실행적 의의는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패턴을 발견하여 경연 네트워크에서 사회적 관계를 개선하고 승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