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Media Use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28초

Formalizing the Role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s' Continuou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from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 Guo, Yu;Li, Yiwei;Ito, Naoy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90-102
    • /
    • 2014
  • By integrating useful insights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we aim to develop a model for better understanding people's behaviors related to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and formalize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individuals' continuous SNS use. Propositions that emphasize the triadic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person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highlighted in this study.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following: (1) the causation between SNS use and individuals' perceived social capital might be mutual; social capital may not only be the result of media selectivity, but could also be an essential stimulus initiating the start of using SNSs; (2) the influences of SNSs use on the generation of individuals' online social capital might be conditional upon particular patterns of use; (3) both the level of dependence on SNSs and the differentiated patterns of SNSs use vary according to individuals' perceived offline social capital 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personality or self-construal, and social anxiety.

Strategic use of social media IDs: critical perspectives on identity and interaction

  • Rizwan, Snobra
    • 비교문화연구
    • /
    • 제36권
    • /
    • pp.5-35
    • /
    • 2014
  • This study attempts to give a review of social media users' choice of a particular name for the sake of signaling identity cues and interaction with the others. The social media names could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traditional/cultural anthroponyms, nicknames and fictitious IDs etc. Out of these categories, it is the phenomenon of choice and construction of fictitious social media IDs by Pakistani social media users which has been reviewed and scrutinized in this particular article. This study examined fictitious IDs of Pakistani social media users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System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s and demonstrates how nationalistic, ethnic and religious identities are negotiated, constructed,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by the social media users through a particular ID choice.

온라인 농식품 구매시 소셜미디어 이용 군집에 따른 소비자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cial Media Use Clusters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 이명관;박상혁;김연종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95-209
    • /
    • 2021
  • 서울시 전자상거래센터에서 실시한 2019-2020년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10명 중 5명이 소셜미디어를 통한 쇼핑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The CMO Survey에서 2020년 코로나 펜데믹 기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통적인 광고매체의 비용은 축소되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광고지출은 74%나 상승함으로써 소셜미디어가 더욱 중요한 마케팅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만큼 소셜미디어의 이용자 증가와 그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활동이 활발해지는 동안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동기, 만족도, 구매의도 등 다양한 마케팅 측면에서 연구되어져 왔으나, 온라인을 통해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빈도가 실제 구매행위에 어떠한 차이로 나타나는가에 대해 세분화 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유형별로 군집화하여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별 소비자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온라인 구매채널 선택 등 3가지 농식품 구매상황에 대해 각 군집에서 나타나는 인구통계학적 분포, 지각된 위험, 식습관 라이프스타일 등의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고 군집별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45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이용빈도 및 온라인 농식품 구매행태에 대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으로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으며, 첫번째 군집은 주로 개방형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 두번째 군집은 개방형 소셜미디어와 폐쇄형 소셜미디어, 온라인 쇼핑몰을 고루 사용하는 집단, 세번째 군집은 전반적으로 온라인 매체 사용량이 적은 집단으로 군집별 특성이 나타났다. 각 3개의 군집을 통해 온라인에서 농식품 구매시 제품관여도, 제품필요도, 구매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온라인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 상황에서 보여지는 군집1의 특성은 소셜미디어나 온라인쇼핑몰에서 농식품을 구매하는데 거부감이 없는 지방에 거주하는 30대 남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2의 특성은 주로 건강식품 구매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군집3의 경우는 온라인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품질과 가격을 많이 따져보고 구매하며,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구매가 더 안심인 사람으로 소비자특성이 대표된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 이용빈도에 따라 농식품 구매상황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특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소셜미디어 고객타겟팅과 고객세분화 등에 대한 마케팅 실무의 전략적인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Censorship and Organisational Support on the Use of Social Media for Public Organizations in Mongolia

  • Erdenebold, Tumennast;Kim, Suk-Kyoung;Rho, Jae-Jeung;Hwang, Yoon-Mi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2호
    • /
    • pp.61-79
    • /
    • 2020
  • Purpose - This articl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socio-political factor of censorship preconditio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ing performance expectancy of public sector officials' behavioural intention to utilise social media in a post-communist country, Mongoli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212 survey data from public sector organisations in Mongolia. Using the Partial Least Squire (PLS)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proposal model grounded on the UTAUT model. Findings - There are still communist footprints in the form of censorship, which remained as a negative precondition factor, and this has an indirect negative influence, and organisational support mediates to enhanc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have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use of social media systems in the government domain of Mongoli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model of public employees' intention to examine the post-communist countries' cultural,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ystems, government organisational environment of the former communist sphere. The cultural factors, censorship and organisational support, to the existing IT adoption UTAUT model were also identified to test the situation of a post-communist country, Mongoli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new theoretical involvement with social media by testing a new social media-based third-party intercommunication channel, including intent to use in the public service for post-communist countries. This study practically provides the guidelines to promote social media usage for public sector in the post-communist situation.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on Social Media Platforms: A Survey on Emerg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 Abdullahi Aminu Kazaure;Aman Jantan;Mohd Najwadi Yusoff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39-59
    • /
    • 2024
  • An online social network is a platform that is continuously expanding, which enables groups of people to share their views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using the Internet. The social relations among members of the public are significantly improved because of this gesture. Despite these advantages and opportunities, criminals are continuing to broaden their attempts to exploit people by making use of techniques and approaches designed to undermine and exploit their victims for criminal activities. The field of digital forensics, on the other hand,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reducing the impact of this risk. Even though most of these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techniques are carried out manually, most of these methods are not usually appropriate for use with online social networks due to their complexity, growth in data volumes, and technical issues that are present in these environments. In both civil and criminal cases, including sexual harassment, intellectual property theft, cyberstalking, online terrorism, and cyberbullying, forensic investigations on social media platforms have become more crucial. This study explores the use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addressing criminal incidents on social media platforms, particularly during forensic investigations. In addition, it outlines some of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forensic investigators while investigating crim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국내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전략: 사회적 실재감 유형별 차이분석 (Tourism Industry Competitiveness of Korea via Social Media: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Presence Type)

  • 정남호;구철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7-143
    • /
    • 2013
  • Social media have been rapidly and widely adopted in various areas, and tourism industry can be one of potential growing areas. Tourist and travelers would like to share their photos and stories as well as find others' experiences. People are doing their activities through social media. Regarding relaxing entertainments, information sharing, escapism, social interaction, tourism activities are being paid attention by majority of users in social media. However, Although people have various motivation for using social media, academically researchers have not actively studied on the phenomenon arising from tourism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he reasons for tourism information searching motivational factors of social media that influence perceived value and its consequences such like before-searching, during-searching, and after-searching and divided social media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presence,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them. Antecedent variables divided into benefits including perceived usefulness and information quality and sacrifices including complexity and perceived effort. Our analysis results show that both of dimensions had the greatest effect on perceived value of social media use, which affect the consequences.

소셜미디어 이용자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혁신성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User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Innovativeness)

  • 신현철;김용원;김용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95-206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소비자 혁신성 등의 특성이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는 소셜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2019년 한국미디어패널데이터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이용자 특성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이용 여부를 프로빗 모형과 다항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 쾌락적 혁신성을 가진 이용자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기 쉽고 이에 비하여 인지적 혁신성을 가진 이용자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관련하여 기능적 혁신성은 카카오스토리의 이용 확률을 높이고 쾌락적 혁신성은 인스타그램의 이용 확률을 증가시키나 인지적 혁신성은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밴드의 이용 확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혁신성과 관련된 제품을 홍보함에 있어 어떤 소셜미디어를 채택할 것인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이용자가 몇가지 소셜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가정하에서 분석을 시도하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 이용과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Social Media Use and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ity Factors in the Post-COVID-19)

  • 김예솔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209-215
    • /
    • 2023
  •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온 언택트 환경은 성숙기에 있던 소셜 미디어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됐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셜 미디어의 운영 및 활용 방안을 재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02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추출한 9,686명의 단면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성격 요인을 비교하고, 이 같은 요인들이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비이용자와 이용자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직업 유무, 배우자 유무,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신경성에 차이가 있었다. 소셜 미디어 이용 시간에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직업 유무, 성실성, 조화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제2의 도약 기회를 마주한 소셜 미디어 시장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용자와 이용 행동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SNS활용, 정보활용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Use of Social Medi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on Learning Outcomes)

  • 이혜경;금예진;김서현;안소연;이은서;이재혁;장민서;홍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315-32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SNS 활용, 정보활용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학습활동 중 SNS나 정보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2학년~4학년까지의 간호대학생이며, 최종 192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SNS 활용, 정보활용능력, 대학만족도가 학습성과를 설명하는 정도는 32.4%로 나타났으며, 정보활용능력( β=.41, p<.001), SNS 활용(β=.15, p=024), 대학만족도(만족)(β=.31, p=001), 대학만족도(보통)(β=.21, p=0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사회적 지지 과부하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사회적 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Overload on Social Communication in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 박준석;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4호
    • /
    • pp.137-157
    • /
    • 2017
  •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use of SNSs increases, users experience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respond to other people's messages or requests, and consequently experience an social overload, feeling too much social support for other us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overload on loneliness and SNS discontinuous usage intention.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83 SNS users and analyzed using SmartPL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munal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use of SNS influenced the social overload, and the social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and SNS discontinuous usage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social overload and loneliness in the use of SNS, and may also provide a strategic direction for SNS service provi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