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Media Platform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4초

The Use of Weblogs as a Tool for Thai Political Engagement

  • Chuenchom, Sutthina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68-78
    • /
    • 2021
  • Political weblogs are as diverse as political viewpoints are. In the period of Prime Minister Yingluck Shinawatra, several political crises occurred, such as opposition to the Amnesty Ac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the anti-government protests. Remarkably, during this time, social media were used as a platform for political expressions. This study employed a content analysis method to explore twenty-nine Thai political weblogs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Prime Minister Yingluck Shinawatra's administration. At the time, the most prominent Thai political weblogger was Nidhi Eawsriwong. Not surprisingly, the Pheu Thai Party and the Democrat Party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political parties in these weblog's posts. Most contents in these posts were related to government protesters by the People's Democratic Reform Committee (PDRC) and the coup d'état. The purposes of writing such weblogs were to express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ai politics and to provide political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he findings from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wo significant uses of Thai political weblogs: the communication media for political expressions and viewpoints (a safe online space for political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nd vital sources for Thai political information and news (social narratives).

Research on the Discourse of Libraries During COVID-19 in YouTube Videos Using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Euikyung Oh;Ok Nam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9-42
    • /
    • 2023
  • This study explored issues related to the library in the COVID-19 era in YouTube videos in Korea. This study perform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y collecting 479 YouTube videos, 20,545 words, and 8,379 channels related to COVID-19 and the library from 2019 to 202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YouTube, a social media platform, was used as an important medium to connect users and physical libraries and provide/promote online library services. In the study, major topics and keywords such as quarantine, vlog, and library ident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library services and functions, and introductions and user guides of libraries were derived. Additionally, it was identified that videos about COVID-19 and the library are being produced by various actors (news and media channels, libraries, government agencies, librarians, and individual users). However,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actor network is fragmented through the channel network, showing a low density or weak linkage, and that the centrality of the library in the actor network is weak.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사용자는 왜 해시태그 챌린지에 참여하는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Why Do Users Participate in Hashtag Challenges in a Short-form Video Platform?: The Role of Para-Social Interaction)

  • 이의경;김형진;이호근
    • 정보화정책
    • /
    • 제29권3호
    • /
    • pp.82-104
    • /
    • 2022
  • 일반 사용자들이 특정 주제에 관한 짧은 바이럴 동영상을 모방·제작·공유하는 해시태그 챌린지는 숏폼 비디오 플랫폼의 흥미로운 사회 현상 중 하나로 단연 손꼽힌다. 그러나 해시태그 챌린지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사용자 행동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해시태그 챌린지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의도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영향을 관심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준사회적 상호작용 이론과 모방 행동 문헌을 주요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였다. TikTok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243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는 사용자가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친밀감을 느끼는 환상(즉,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해시태그 챌린지에 대한 유저의 참여 의도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정도는 크게 미디어 콘텐츠 관련 요소와 미디어 캐릭터 관련 요소(콘텐츠 매력도, 신체적 매력도, 태도 유사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숏폼 비디오 플랫폼에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편의점 생활 플랫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Convenience Store Living Platform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 이가하;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03-213
    • /
    • 2017
  • 이 연구는 성장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와 4차 산업혁명에 있어서 국내 편의점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편의점은 편의점 수가 포화에 이르렀다는 평에 따라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면서 다양한 생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해 국내와 해외의 편의점 플랫폼 사례조사와 국내 1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총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서 현재 우리나라 편의점은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생활 속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고령층을 위한 서비스는 다른 나라에 비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편의점은 현재 20대~30대를 타깃으로 한 생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듯이 고령층을 위한 생활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로써 편의점이 4차 산업혁명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생활 플랫폼 서비스가 될 것이다. 또한, 향후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따른 편의점 생활 플랫폼 서비스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of Facebook in Universities

  • NGUYEN, Thi Nguyet Dung;NGUYEN, Thi Thu Huong;NGUYEN, Thi Phuong Anh;NGUYEN, Thi Thu Huong;VU, Thi Phuong Thao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75-84
    • /
    • 2022
  • Purpose: The paper employ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presence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o propose a model for using the social media platform Facebook in distributing information in univers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were obtained from 618 students at Hanoi University of Industry (HaUI) in Vietnam. The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PS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AMOS version 24 to explore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of Facebook. Results: Findings reveal that subjective norms and social presence play a key role in driving students to use Facebook for studying. In addition, university administrators can boost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Facebook. Interestingly, students who strongly identify with the brand name of the university have a strong connection with the university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behaviors supportive toward the university. Conclus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Facebook had played a key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in universities. Thus, the study provides the executive board of the university and teachers can gain new understanding of why students employ Facebook for studying as well as capitalize on the platform to improve several operational metrics such as brand identification,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의 정보공유 의도: 중국 위챗 이용자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in a Social Media Platform: A Study of Participants in the Chinese WeChat Moments)

  • 노석;조려;강봉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89-104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회원들의 중국 위챗 정보 공유 의도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이 데이터는 중국 위챗 사용자들로부터 나왔으며, 150명의 위챗 사용자들이 이 조사에 참여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보 공유 의도가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동 제어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반면, 평판과 호혜적관계는 태도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으며, 인상은 정보 공유에 대한 인지된 행동 제어에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산시 세븐브리지 브랜드 캠페인 사례연구 -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Seven Bridge Brand Campaign in Busan - Focus on Digital Storytelling)

  • 정해원;유현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49-454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플랫폼에 나타나고 있는 브랜드 캠페인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토리텔링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사례 연구로 진행되었다. 부산시에서 2021년 9월부터 2022년 5월까지 8개월간 실행한 세븐브리지 브랜드 캠페인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용자 개인에게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을 전개하였다. 두 번째는 소셜미디어 마케팅에 입각하여 스토리텔링을 4단계로 구성하였다. 세 번째로 마케팅 퍼널을 고려하여 스토리를 노출하는 스토리텔링 위계를 구 발견할 수 있었다. 최근의 브랜드 캠페인의 스토리텔링은 소셜미디어 중심으로 쌍방향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 실행되고 있음을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Action-Based Audit with Relational Rules to Avatar Interactions for Metaverse Ethics

  • Bang, Junseong;Ahn, Sunghee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6호
    • /
    • pp.51-63
    • /
    • 2022
  • Metaverse provides a simulated environment where a large number of users can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In order for Metaverse to be sustainable, it is necessary to study ethics that can be applied to a Metaverse service platform. In this paper, Metaverse ethics and the rules for applying to the platform are explored. And, in order to judge the ethicality of avatar actions in social Metaverse, the identity,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of an avatar are investigated. Then, an action-based audit approach to avatar interactions (e.g., dialogues, gestures, facial expressions) is introduced in two cases that an avatar enters a digital world and that an avatar requests the auditing to subjects, e.g., avatars controlled by human user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vatars (e.g., as conversational bots), and virtual objects. Pseudocodes for performing the two cases in a system are presented and they are examin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avatars' actions.

소셜미디어 선거캠페인 연구 동향과 쟁점 (A Critical Review on Social Media Campaign Studies: Trends and Issues)

  • 장우영
    • 정보화정책
    • /
    • 제26권1호
    • /
    • pp.3-24
    • /
    • 2019
  •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캠페인 연구의 동향과 쟁점을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즉 '소셜미디어 캠페인 전략의 양상, 소셜미디어를 규율하는 제도적 환경 및 소셜미디어 캠페인의 정치적 효과'는 웹 확산 이래 웹블로그를 거쳐 소셜미디어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선거캠페인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논제이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캠페인 전략은 대표중심론 대시민중심론을 축으로 쟁점이 제기되어왔으며, 제도적 환경은 공정선거를 위한 동원형 규제론 대 시민참여를 위한 정보기본권 강화가 핵심 논제로 고찰되었다. 이어서 이 연구는 세 주제 중 가장 분석이 취약한 정치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논구하기 위하여 20대 총선을 사례로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정당)들의 트위터 캠페인 참가 동향, 당파적 동원과 유권자 반응 및 선거 결과에 대한 플랫폼 효과'를 경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대 총선에 비해서 트위터 캠페인 참가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트위터 캠페인은 자원동원능력에서 우위에 있는 양당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트위터가 당파적 공간이라는 점이 명료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수도권의 진보 후보들이 훨씬 더 크게 지지층을 동원하였다. 마지막으로 트위터 캠페인은 득표율 상승과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팔로어수와 활동기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선거운동에서 네트워킹과 사회자본을 촉진하는 기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A Tracking Method of Same Drug Sales Account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Instagram Profiles and Posts

  • Eun-Young Park;Jiyeon Kim;Chang-Hoo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9-118
    • /
    • 2024
  • 전 세계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범죄의 수단으로 소셜 미디어가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한 마약 유통은 마약 판매자와 소비자의 높은 접근성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마약 호기심을 자극하고, 구매를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 중, 국내 19세에서 24세 청소년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프로필 사진, 소개글, 게시물 사진과 게시글을 수집하고, 각 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수집한 다수의 계정을 활용하여 마약을 유통하는 마약사범 추적 기술을 개발한다. 4개 수집 정보 중, 이미지 형태의 프로필 사진 및 게시물 사진은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 기반으로 유사도를 분석하고, 텍스트 형태의 소개글 및 게시글은 자카드 유사도 및 코사인 유사도 기법을 사용하여 유사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은 유사도 분석을 통해, 각 수집 정보별 계정 간의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유의수준 이상의 유사성을 갖는 계정들에 대해 동일 마약 유통 계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4개 정보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게시물 사진을 제외한 프로필 사진, 소개글, 게시글이 동일 마약 판매 계정을 추적하는 데에 유효한 정보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