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Conformit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8초

Exploring Consumers' Alcoholic-Beverage Type-Specific Drinking Motives: The Case of Young Adult Females in South Korea

  • Cho, Hyeje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39-62
    • /
    • 2018
  • Despite the abundance of research on alcoholic-beverage consumption in the food and beverage marketing literature, research directly assessing and comparing consumers' psychological motives for drinking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is relatively limited. There is also a paucity of research comparing drink-type specific consumption motivations in an Asian market. Paying attention to some recent new changes in the alcoholic-beverages market of South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South Korean young adult female consumers' alcoholic-beverage type-specific drinking motives.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of 340 young adult female drinkers about their alcohol-consumption patterns, alcoholic-drink preferences, involvement with alcohol, and four types of drinking motives (coping, social, conformity, and enhancement motives) revealed differences in: (1)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sumer's alcohol involvement level, alcohol consumption frequency/amount, and preferences for alcoholic beverages across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drinks; (2)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otives for drinking different types of alcoholic beverages; (3) the association between consumption contexts and alcoholic drink types; and (4)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drinking motives across different consumer groups that are segmented in terms of their most preferred type of alcoholic beverages. These findings point to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drink-type-specific consumption motivations in alcoholic-beverage consumption research.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and Hair Style Attitude as Related to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 하주연;고애란;정미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15-72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and hair style attitud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90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1) Three factors of body images were self appearance evaluation, appearance orientation and fitness orientation. Five factors of clothing attitudes were fashion/clothing interest, clothing exhibition, social approval, psychological dependence on clothing and fashion leadership. And three factors of hair style attitudes were interest in hair style, individuality in hair style and dependency on hair designer. 2)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clothing behavior, fashion/clothing interest was explained by appearance orientation and fitness orientation, and clothing exhibition by sensation seeking and appearance orientation, and social approval by appearance orientation,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body cathexis, and fashion leadership by appearance orientation, fitness orientation and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clothing conformity to the self-entertainer by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and fitness orientation, and appearance related delinquency by sensation seeking, appearance orientation, fitness orientation, self appearance evaluation. 3)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body image on hair style attitudes, interest in hair style was explained by the factors such as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fitness orientation, and body cathexis, and individuality in hair style by appearance orientation, sensation seeking and self appearance evaluation, and dependency on hair designer by body cathexis.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사용수준에 따른 인터넷 게임 이용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Adolescents'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and Adaptation to School)

  • 변성희;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2호
    • /
    • pp.47-5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adolescent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and adaptation to school in accordance with their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Participants were 236 children from grades 4, 5, and 6 in two elementary schools and 237 adolescents from grades 1, 2, and 3 in one middle school. They were measured on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and adaptation to scho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for reliability, frequency,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one way ANOVA.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adolescents'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differed by their gender. The male ratio was much higher than the female ratio in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the high risk poop. In contrast, no grade differences on the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were found. Second, children's/adolescent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differed by their gender. Especially, among the motives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marked for 'Social Relationship'. Third, children's/adolescents' motives for playing internet games differed by their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For 'Conformity,' the low risk group differed from the high risk group. For 'Spending Time', 'Benefit', 'Competition', and 'Social Relationship', the low risk group differed from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also from the high risk poop. Fourth, children's/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differed by their frequency levels of playing internet games. The high risk group exhibited a low level of adaptation in 'Academic Activities', 'a subcategory of adaptation to school.

관찰자의 의복태도가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r's Attitude on Male Impressions.)

  • 남미우;강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1-256
    • /
    • 1996
  • The purpose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iver's clothing attitude on male impressions created by the clothing cues and contexts. In addition, the effect of perceiver's evaluations of clothing appropriateness on male impression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6 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256 middle aged me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8 color Photographs of drawings of a male figure in clothing which were minipulated in two levels, each of three clothing cues including type, style and color. The experimental design was full factorial design of 2(contexts$\times$clothing types$\times$clothing style$\times$clothing color). Each of the 16 sub-samples includes 16 subjects from the two perceiver group. Questionnaires used to measure perceivers responses to the stimuli were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composed of 37 bipolar adjectives representing personal traits. Four aspects of clothing attitude(fashion interest, status symbols consiousness, clothing conformity, practicality & comfort)were used to classify subjects into groups of 20 five-point likers type questionnaires adap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Clothing appropriateness were developed 5 point likest scales for evaluation of a stimulus person in each context. The data was processed by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luster analysis, MANOVA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s. The major finding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erceiver's clothing attitude influenced impression formed by the social contexts and clothing crises. In three groups classified by their clothing attitude, the status symbol-oriented group was most affected by the social contexts and clothing cues. 2. Perceiver's evaluation of clothing appropriateness was related with impressions by a stimulus person. In summary the effect of contexts and clothing cues on impression formation varied according to perceiver's clothing attitude and clothing approopiateness.

  • PDF

한국과 미국 여대생의 가치관과 의복선택행동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eneral values and clothing behavior of college femal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 강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42
    • /
    • 1986
  • It is generallybelieved that the values of female stud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ltural enviromment of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ern the value orientation of femal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lothing behavior. 300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as sample from the Univ. of Minnesota and 158 stu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 420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five unversities in Jinju, Taegy and Pusan. RESULTS : 1) Korean students had highly evaluated theaethetic, political, religious and social values, and American students had higher evaluation on the economic and American students had higher evaluation on the economic and theoretical values. 2) Korean students tended to regard modesty, conformity and management as important factors when they chose new clothes, and for American students, appearance and tool were important. 3) The impact of values on clothing vehavior was as follows. a) Korean students who emphasized theoretical values did not use clothes as an instrument of status symbol and modesty. b) American students who emphasized the economic values tended to have an interest in purchase and wearing of clothes on purpose. c) Korean students who had positive attitudes on the aethetic values tended to be conservative, but they wanted to use the clothes as a demonstration of self exaggeraton. d) Korean students who regarded social values important tended to have a higher interest in the management of clothes. e) Korean students who had highly evaluated the religious values tended to be conservative when the selected new clothes. American students did not want to conform to the group norm when they chose new clothes. On the whole, American students did not put on clothes to achieve a specific goal. In short,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n students and American students have different values and they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clothing behavior.

  • PDF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Focusing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김민정;이미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51-58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기존의 연구가 메타버스의 확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혁신저항과 같이 특정한 변화를 거부하는 소비자의 심리적 변인을 함께 살펴 이용과 저항의 관점을 모두 살펴보고자 하였다. 혁신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특성과 혁신특성 변인을 구성하여 혁신저항과 메타버스에 대한 태도, 메타버스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 혁신성향과 사회적 이미지, 적합성이 메타버스에 대한 저항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과 사회적 이미지, 적합성, 상대적 이점, 복잡성과 관찰가능성은 혁신저항과 메타버스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최종적으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정적‧부적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청소년들의 애니메이션 이용현황과 사회적 가치관.의복행동에 대한 연구 (The Usage of Animation and Social value.Clothing behavior of Adolescents)

  • 김태경;채진미;오경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8
    • /
    • 2009
  • 청소년의 애니메이션의 이용도를 조사하고 사회적 가치관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사회적 가치관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애니메이션의 개발 및 청소년의 올바른 자기 이미지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수도권 지역의 4개교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의 이용도, 사회적 가치관, 의복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87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청소년들 애니메이션을 보기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매체는 인터넷이었으며, 이용 횟수는 일주일에 $2{\sim}3$회와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가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주로 시청하는 애니메이션의 장르는 전체적으로는 액션 공상과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라 선호 장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경우 액션 공상과학, 명랑 코믹, 드라마 순정의 순서였고, 여학생의 경우는 드라마 순정, 액션 공상과학, 명랑 코믹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애니메이션의 이용도와 사회적 가치관의 관계는 주로 시청 장르에 따라서 공동체 생활과 물질주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가치관과 의복행동의 관계에 있어서는 의복 동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동체 의식과 물질주의로 나타났고 유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물질주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시청하는 애니메이션의 장르에 따라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관 요인인 공동체 의식과 물질주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가치관은 의복 행동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청소년들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애니메이션의 개발과 보급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동시에 청소년들의 적절한 의복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PDF

「서괘전」에 함의된 공부의 관점 - 태괘(泰卦)에서 이괘(離卦)까지를 중심으로 - (The Principles of Learning and Education involved in Xugua zhuan, the Sequence of the Hexagrams in I Ching)

  • 김정래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155-190
    • /
    • 2018
  • "서괘전(序卦傳)"의 건 곤괘(乾 坤卦)에서 태괘(泰卦)에 이르는 역(易)의 전개를 교육의 과정으로 분석한 선행논문을 토대로 본고는 "주역(周易)"의 상경(上經) 자체를 또 다른 관점에서 커다란 교육의 과정으로 보고 논의하였다. 상경에서 건괘에서 태괘에 이르는 괘서가 주로 교육의 조건에 관련되는 '작은' 교육의 과정이라면, 태괘에서 이괘(離卦)에 이르는 괘서(卦序)는 보다 심층적인 공부의 과정에 초점을 맞춘 '큰' 교육의 과정이다. 상경을 교육의 '큰' 과정으로 본다는 것은 괘서에 따른 내용이 교육의 내 외적 조건에 근거하지 않고 수행하는 사람의 공부의 관점에서 검토한다는 것을 말한다. 논의 결과 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태괘에서 이괘(離卦)에 이르는 내용은 '큰 성년식'과 관련된다. 둘째, '세상의 있는 그대로 모습'을 볼 줄 아는 것과 함께 부단하게 균형을 이루어가는 공부의 과정이 곧 중용(中庸)을 내면화하고 실천하는 일이다. 셋째, 본고에서 살펴본 중용의 원리는 공부의 엄중함과 교사의 권위, 그리고 사회윤리와 관련된다. 따라서 논의는 하경(下經)의 검토로 이어져야 한다.

한국에서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 행동 - 윤리적 패션 소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

  • 고애란;노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56-1964
    • /
    • 2009
  • 국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윤리적 패션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소재와 생산과정, 공정무역 등을 기반으로한 의식 있는 패션으로, 최근 들어 세계 패션계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행해지고 있지만 대부분 서구 사회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한국 사회의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 행동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패션 상품을 한 번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윤리적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 가치(Self-direction, Benevolence, Universalism), 사회적 책임감, 지각된 통제 요인, 체면 의식, 집단 동조 의식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4월 20일부터 6월 7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양적 조사를 실시했고,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윤리적 소비 혹은 윤리적 상품의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494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아이템은 액세서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성인의류, 아동의류, 쥬얼리, 신발 순이었다.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하게 된 이유는 공정하게 거래된 제품이어서, 디자인, 기부할 수 있어서, 품질, 주변인의 권유로 등이 있었다.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아닌 소비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에 비해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구매 의도, 체면 의식,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 사회적 책임감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보다 self-direction, universalism 가치를 자신의 삶에 있어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경우,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에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benevolence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상품의 향후 구매 의도에는 사회적 책임감, benevolence, 태도 순으로 영향을 받고, 집단 동조 의의 경우 오히려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Police upon Organizational Concentration)

  • 고현규;이윤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59-72
    • /
    • 2012
  •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역량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과 그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경영학과 행정학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조사연구를 설계하였으며 따라서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조사 및 공식통계 자료의 분석, 조사대상 집단의 설문조사 항목을 변수화하여 SPSS Window 18.0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수사경찰의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수사경찰이 사회질서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을 설계하고 유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