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ow cove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Dynamics of alpine treelines: positive feedbacks and global, regional and local controls

  • Kim, Jong-Wook;Lee, Jeom-S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1호
    • /
    • pp.1-14
    • /
    • 2015
  • Whilst it is clear that increasing temperatures from global environmental change will impact the positions of alpine treelines, it is likely that a range of regional and local scaled factors will mediate the overall impact of global scale climate drivers. We summarized 12 categories of abiotic and biotic factors as 4 groups determining treeline positions. First, there are global factors related to climate-induced growth limitation and carbon limitation. Second, there are seven regional and local factors related to treeline dynamics including frost stress, topography, water stress, snow, wind, fire and non-fire disturbance. Third, species-specific factors can control treeline dynamics through their influence on reproduction and life history traits. Fourth, there are positive feedbacks in structuring the dynamics of treelines. Globally, the commonly accepted growth limitation hypothesis is that growth at a treeline is limited by temperature. Meanwhile, positive feedbacks between canopy cover and tree establishment are likely to control the spatial pattern and temporal dynamics of many treelines. The presence of non-linear dynamics at treelines has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reelines as barometers of climate change because the lagged responses and abrupt shifts inherent in non-equilibrium systems may combine to mask the overall climate trend.

장마 강수를 위한 앙상블 통계 예측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Ensemble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for Changma Precipitation)

  • 김진용;서경환
    • 대기
    • /
    • 제24권4호
    • /
    • pp.533-540
    • /
    • 2014
  • Statistical forecast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the summertime Changma precipitation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As effective predictors for the Changma precipitation, the springtim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omalies over the North Atlantic (NA1), the North Pacific (NPC) and the tropical Pacific Ocean (CNINO) has been suggested in Lee and Seo (2013).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tatistical prediction scheme, we select other potential predictors and construct 2 additional statistical models. The selected predictors are the Northern Indian Ocean (NIO) and the Bering Sea (BS) SST anomalies, and the spring Eurasian snow cover anomaly (EUSC). Then, using the total three statistical prediction models, a simple ensemble-mean prediction is performed. The resulting correlation skill score reaches as high as ~0.90 for the last 21 years, which is ~16% increase in the skill compared to the prediction model by Lee and Seo (2013). The EUSC and BS predictors are related to a strengthening of the Okhotsk high, leading to an enhancement of the Changma front. The NIO predictor induces the cyclonic anomalies to the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utheasterly flows toward the peninsula, giving rise to an increase in the Changma precipitation.

2004년 밀양의 이상더위의 특징과 종관적 원인 (Characteristics and Synoptic Causes on the Abnormal Heat Occurred at Miryang in 2004)

  • 변희룡;황호성;고혜영
    • 대기
    • /
    • 제16권3호
    • /
    • pp.187-201
    • /
    • 2006
  • During summer (JJA) of 2004, a record-high temperature in Korea appeared at Miryang ($38.5^{\circ}C$ on July 30). Moreover, Miryang showed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25 days in JJA) of the daily highest temperature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Based on meteorolog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neither the global warming effect nor the urban climate effect. It is caused by the mesoscale and synoptic and/or global scale atmospheric circulations, as evidenced by several factors described below. Firstly, the hottest areas have normally occurred not at a point but over an area, particularly along an axis connecting Sancheong and Daegu. But in 2004, this axis has moved southward and locates over Namhae-Miryang due to northerlies that were induced by the heating effect related to the low snow-cover on the Tibet Plateau. Secondly, although the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among observational sites in Korea, the daily mean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nights with air temperature over $25^{\circ}C$ were not the highest at Miryang. Thirdly, the downdraft induced by the second circulation of typhoon and abnormal development of the North-Pacific High were found to have exerted an important role.

TEST ON REAL-TIME CLOUD DETECTION ALGORITHM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FOR COMS

  • Ahn, Hyun-Jeong;Chung, Chu-Yong;Ou, Mi-Lim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286-289
    • /
    • 2007
  •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oud detection algorit1un for COMS and it is currently tested by using MODIS level 2B and MTSAT-1R satellite radiance data. Unlike many existing cloud detection schemes which use a threshold method and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in this study a feed-forward neural network method with back-propagation algorit1un is used. MODIS level 2B products are matched with feature information of five-band MTSAT 1R image data to form the training dataset. The neural network is trained over the global region for the period of January to December in 2006 with 5 km spatial resolution. The main results show that this model is capable to detect complex cloud phenomena. And when it is applied to seasonal images, it shows reliable results to reflect seasonal characteristics except for snow cover of winter. The cloud detection by the neural network method shows 90% accuracy compared to the MODIS products.

  • PDF

장기 유출해석에서의 융설영향에 관한 기초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Snowmelt Effects for Long-Term Runoff Analysis)

  • 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833-844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설모형을 국내에 도입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과 결합하여 우리나라 북부 산간지방의 장기 유출해석을 위한 융설의 영향을 고찰하는데 있다. 선택된 모형은 미국 국립기상청의 온도지수 융설모형이며, 이를 유연면적이 1,059.6$\textrm{km}^2$ 인 내린천 유역에 적용.검토하였다. 모형에 의해서 계산된 강설의 지역적 분포에 대한 시간적 변동성은 인제 측후소에서 관측된 강설량의 변동성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에 의해서 계산된 토양수분 및 하천유량은 융설모형의 존재 유무에 따라 매우 다른 거동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융설모형은 국내의 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 대상지역의 장기 유출해석시 융설의 영향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duction of clothes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Safe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damage

  • He Hu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6호
    • /
    • pp.627-637
    • /
    • 2023
  • Volleyball is an international sport with many fans. This spor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schools and clubs. Volleyball is suitable for all age groups and can be used in different environments. It has many social and physical benefits. During the game provides special physical training for the players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xciting games. Another type of volleyball is beach volleyball, a beach sport and one of the Olympic sports held on the sand with the same rules as volleyball. This sport is usually played in coastal areas, especially with wide sandy beaches. Because this sport is played in open spaces, the players stay in this space for a long time and are exposed to dangerous ultraviolet radiation. It is a wavelength of light in the range of electromagnetic waves with a wavelength between 10 and 400 nm. This wavelength is shorter than visible light and more protracted than X-ray. Ultraviolet (UV) rays are naturally present in sunlight and include about 10% of all waves emitted from the sun's surface. Prolonged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causes acute and chronic damage to the skin and vision and even destroys the entire immune system. Different covers of the earth's surface reflect different amounts of UV rays. For example, snow cover, sand, and seawater surface reflect this radiation. Therefore, the health of volleyball players is in danger due to this harmful radiation. This work aims to introduce a type of clothing made of nanoparticles that can repel ultraviolet rays and protect beach volleyball players whose health is at risk from this radiation.

MaxEnt 모형과 고라니의 이동행태를 고려한 수변지역 이동통로 적지선정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 정승규;이화수;박종훈;이동근;박종화;서창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1
    • /
    • 2015
  • 최근 우리나라는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수변생태계는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수변의 야생동물은 고립되고 이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목표종은 고라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ximum Entropy 모형과 눈길위흔적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비용거리에 따른 야생동물의 행동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수변지역의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변인접서식지 분석에서 고라니의 잠재서식지 영향을 주는 중요요소는 수계와의 거리, 영급, 토지피복, 경사, 향, 고도, 밀도, 도로와의 거리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변에서는 토지피복, 수변면적, 지류와의 거리, 시가지와의 거리가 주요 변수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적지선정 지점은 수변과 인접지역의 각각의 서식지에서 적합도가 높은 지점과 이동경로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적지선정 지점들은 수변의 산림, 초지 및 농경지가 고라니의 주요 서식지이나 도로나 제방으로 인해서 연결성이 저하된 곳이었으며, 이동에 영향을 받아 우회하는 것을 눈길위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라니는 수변지역에서 지류를 통해서 수변과 인근의 좋은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지 선정 방법은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분석을 통합한 방법으로 적지선정에 적용한다면 시간적 경제적인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라산 아고산대의 동결기 기온 및 지온변화 (Variationsin Air and Ground Temperatures During a Frozen Season in the Subalpine Zone of Mt. Halla)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95-107
    • /
    • 2013
  • 한라산 아고산대 표고 1,710m 지점의 나지에서 동결기를 중심으로 212일간 지상 55cm 높이의 기온과 지중 2cm, 10cm 및 20cm 깊이의 지온을 관측하여 주빙하성 지형형성환경을 조사하였다. 관측기간의 평균기온은 $-0.1^{\circ}C$이며, 깊이별 평균지온은 2cm $1.8^{\circ}C$, 10cm $2.6^{\circ}C$, 20cm $3.2^{\circ}C$이다. 2cm 깊이에서는 1월부터 3월까지 영하의 월평균지온이 관측되었으나 다른 깊이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동결융해 사이클의 출현횟수는 55cm 높이에서 72회인 반면 지중 2cm 깊이에서 17회, 10cm 깊이에서 8회, 20cm 깊이에서 3회로 지중으로 내려가면서 크게 감소하였다. 지상과 2cm 깊이에서의 동결융해는 일일 주기가 탁월한 반면 10cm와 20cm 깊이에서는 수일 주기로 출현하였다. 또한 2cm 깊이에서 12월 중순~4월 중순, 10cm 깊이에서 2월 말~4월 중순, 20cm 깊이에서 4월 초순~중순에 일평균지온이 대체로 $0^{\circ}C$ 밑으로 내려가는 계절적 동결기가 출현하였다. 관측지점은 1월부터 4월 초순까지 55cm 이상의 눈으로 덮여 있다가 4월 16일에 전부 사라졌다. 12월 하순 2cm 깊이에 형성된 계절적 동토층은 적설의 단열효과로 인하여 3월 말~4월 초에 10cm 깊이에 도달하였다. 4월 7일부터 14일까지 깊이 20cm를 넘는 최대동결심을 보이나 이후 급속하게 융해되어 17일 이후 계절적 동토층은 출현하지 않았다. 융해진행기에도 잔설이 남아 있는 관측지점에는 융해진행기보다 동결진행기에 주빙하 프로세스가 더 탁월하게 진행되며, 일주기성 동결융해 사이클의 발생심도와 최대동결심을 고려하면 한라산 아고산대의 사면물질이동은 주로 동상포행에 의해 발생한다.

세종과학기지 주변 영구동토의 활동층에 대한 시간경과 전기비저항자료의 해석: 기상 및 식생 자료와의 연계해석 (Time-Lapse Electrical Resistivity Structures for the Active Layer of Permafrost Terrain at the King Sejong Station: Correlation Interpretation with Vegetation and Meteorological Data)

  • 김관수;이주한;이응상;주현태;현창욱;박상종;김옥선;이선중;김지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4호
    • /
    • pp.413-423
    • /
    • 2020
  • 남극 세종과학기지 주변은 넓은 지역에 눈과 얼음이 덮여있지 않은 육지가 드러나 다른 남극 지역에 비해 활동층이 비교적 두꺼우며 그 아래 동토층이 존재한다. 전기비저항탐사의 배열법 중 웨너 배열법과 쌍극자 배열법을 이용하여 세종과학기지 주변 동토 지역에 결빙기 기간 동안 시간 변화에 따른 활동층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간 변화에 따른 전기비저항 결과는 식생 분포, 지상 온도 및 적설량의 상태에 따라 잘 일치하였다. 극 천부인 수평적인 고비저항대(>1826 Ωm)에서는 시간에 따른 두께 변화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지중 온도의 감소로 공극내 존재하던 공극수가 얼어 상대적으로 전기비저항 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적설이 발생하지 않는 식생활동이 활발한 구간은 깊이 0.5 m까지 토양 속에 혼재된 많은 자갈로 인해 비저항이 높았고 깊이 0.5~3 m 에서는 그 아래 동토층이 존재한다. 반대로, 적설량이 많은 식생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전기비저항값이 약 2000 Ωm 이상의 고비저항대가 나타나는데 이곳은 연중 얼어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빙기에 두꺼워지는 활동층은 차후 해빙기에 추가 탐사를 할 경우 이와 반대로 점차 얇아지는 두께로 보다 명확히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7년 1월 20일 영동 뇌설 사례에 대한 연직바람관측장비와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의 분석 (Sounding Observation with Wind Profiler and Radiometer of the Yeongdong Thundersnow on 20 January 2017)

  • 권주형;권태영;김병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65-480
    • /
    • 2018
  • 2017년 1월 20일 영동 뇌설 사례는 강수 초기 3시간 동안 20 cm 이상의 강한 강설이 낙뢰와 함께 영동 해안 지역에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강한 강수 기간 동안 고층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고, 고층 관측 장비는 북강릉 지점의 연직바람관측장비, 라디오미터 그리고 레윈존데를 사용하였다. 북강릉과 강릉원주대학교에서 강한 강수가 나타났을 때 연직 바람과 기온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6 km에서 강한 북동풍 그리고 4~6 km에서 $-18^{\circ}C\;km^{-1}$ 이상의 기온 감률을 보이는 강한 대기불안정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대류운이 6 km 이상 고도까지 발달하였음을 나타낸다. 2) 1 km 이하에서 기온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것은 북강릉 지점 AWS 지상 기온이 약 30분 동안 $4^{\circ}C$ 감소한 것과 잘 일치한다. 이러한 기온 감소는 동서 방향의 좁은 영역에서 나타나고 레이더 에코와 낙뢰 분포 영역도 동일한 위치에서 관측되었다. 이것은 중위도 저기압의 한랭전선형 강수의 특징과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영동 뇌설 사례는 한랭전선형 강수와 대류성 강수의 영향이 결합된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