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plum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Plume의 주기성이 연층형성에 미치는 영향 (A Characteristics of Smoke Layer Formation Affected Periodicity of Fire Plumes)

  • 한용식;김명배;오광철;신현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8-42
    • /
    • 2002
  • ON-OFF 제트를 사용하여 plume의 주기성이 천장아래에 형성되는 연층에 미치는 정성적인 영향을 파악하였다. 사용된 연기는 가열에 의해 증발된 kerosene 입자를 섞은 질소가스이다. Laser sheet에 의해 산란된 유동장의 순간 상들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녹화되었다. ON-OFF 제트와 연속제트의 연층형성 과정을 비교하므로서 화원근처에 형성되는 연층은 plume과 천장의 주기적인 충돌에 의해 지배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plume의 주기적인 충돌은 연층을 두껍게하며, back-flow를 일으킴을 확인하였다.

화재시 연기거동에 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An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on the Smoke Movement by Fire)

  • 신이철;김수영;이주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5-18
    • /
    • 2008
  • A study on the fire and smoke behavior on experiments and analysis through STAR-CD in using about behavior analysis of the smoke. Kerosene of 3L in using on the experimental garden of 30cm in diameter same applies to heat release rate(HRR), buoyant force by Plume can be calculated at a rate of 1m/s. The result of experiment in average of velocity were 0.29m/s, and interpreted result were 0.28m/s. Besides, it is proved by interpreted that behavior of smoke movement can be not observed in the experiment. After smoke is Plume increased, ceiling-jet in formation being descend in smoke layer will be more thick smoke layer, and then vertical wall is collapsed in formation of wall-jet being descend. It is defined that smoke layer is more thick through descending course in wall-jet and ceiling-jet.

  • PDF

공기유입구 위치에 따른 유입공기의 풍속이 배연시스템 성능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Supply Air Velocities by Location of Supply Air Damper on the Performance Efficiency of the Smoke Exhaust Systems)

  • 여용주;임채현;김학중;김범규;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20-27
    • /
    • 2010
  • 배연설비는 연기를 배출한 만큼 공기가 유입되도록 계획된다. 이때 유입공기의 속도가 배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FD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재의 위치로부터 급기구가 가까이 설치된 경우 화재 플럼으로 유입되는 기류속도가 빨라져 상승하는 화재 플럼을 흩트려 버리는 현상이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그로인해 배연성능이 저하되어 연기층의 강하가 더욱 빠르게 촉진되었으며 흐트러진 화재 플럼은 연기층을 교란시켜 가시거리를 더욱 나쁘게 하였다. 따라서 공기유입구의 위치는 화재의 위치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 화재 플럼으로의 유입공기속도를 낮추도록 하여야 배연효율이 좋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Hot Smoke Test를 이용한 주차장 환기설비의 제연 성능평가 (Evaluation of Smoke Control Performance of Ventilation System Using by Hot Smoke Test)

  • 정석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47-56
    • /
    • 2019
  • 주차장 화재 시 다량의 연기 발생으로 소방대원이 화점에 진입하기 곤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주차장 환기 목적으로 설치된 급 배기팬과 유인팬(Jet fan)을 이용하여 연기를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배기팬만 동작하는 조건과 유인팬이 함께 동작하는 2가지 조건에서 연기층의 유동변화를 CCTV를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또한 hot smoke test가 주차장 환기 성능평가 방법으로서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플럼 주위의 온도를 Alpert eq.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jet fan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 연기층이 교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로인하여 초기 피난 장애 우려가 있을 것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jet fan이 추가로 작동됨에 따라 배기성능은 향상되는 것을 관찰용 CCTV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진압전술을 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플럼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Alpert eq과 비교한 결과 Plume 중심축에서 약 $2^{\circ}C$ 낮고 연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8 m에서는 $9.0^{\circ}C$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lume 주변의 온도 측정 결과는 AS 4391-1999의 예상 최대 온도보다 낮았고 실험으로 인한 예상 온도 위험을 초과하지 않았다. 이 결과와 같이 고온 연기 시험의 진행으로 인한 온도 위험성이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기준이 없는 주차장의 연기 제어 성능 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평가 방법 중 하나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로 연기거동에 관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An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on the Smoke Movement by Fire in High Rise Building)

  • 신이철;김수영;이주희;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14
    • /
    • 2008
  • A study on the fire and smoke behavior on experiments and analysis through STAR-CD in using about behavior analysis of the smoke. Kerosene of 3L in using on the experimental garden of 30cm in diameter same applies to heat release rate(HRR), buoyant force by Plume can be calculated at a rate of 1m/s. The result of experiment in average of velocity were 0.29m/s, and interpreted result were 0.28m/s. Besides, it is proved by interpreted that behavior of smoke movement can be not observed in the experiment. After smoke is Plume increased, ceiling-jet in formation being descend in smoke layer will be more thick smoke layer, and then vertical wall is collapsed in formation of wall-jet being descend. It is defined that smoke layer is more thick through descending course in wall-jet and ceiling-jet.

  • PDF

밀폐공간에서의 화재에 의한 연기의 유동 이론 (The Theory of Smoke Movement by a Fire in an Enclosure)

  • 노재성;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
    • /
    • 1996
  • In foreign country such as U.S.A and Japan, considerable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the spread of smoke in room of fire involvement by using computer. But, in our country it has not been. So, this paper presents a detailed qualitative description of phenomena which occures during typical fire scenarios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is research, in the view of field model,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smoke movement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it is planned to analyze governing equation including smoke diffusion equation by numerical analysis with finite volume method and non-staggered grid system. The SIMPLE method for pressure-velocity couple and power-law scheme for convection terms are used. It shows that a plume is formed, hot plume is formed, hot plume gases impinge on the ceiling and they spread across it. then, it eventually reaches the bounding walls of the enclosure. It takes 60s for smoke to fill the enclosure.

  • PDF

밀폐 공간내에서의 화재에 의한 연기의 유동 (Smoke Movement by a Fire in an Enclosure)

  • 노재성;유홍선;김충익;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0-18
    • /
    • 1996
  • 미국이나 일본같은 외국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건물내에서의 연기의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은 수치해석을 통하여 전형적인 화재 발생시 일어나는 현상을 정성적으로 해석 하고자 한다. 지배방정식은 유한 체적법 및 비엇갈림격자계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한다. 압력장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SIMPL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대류항에 대해서는 멱승도식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lume이 형성된 후 뜨거운 plume 가스가 천장에 부딪쳐 넓게 확산되어 결국 밀폐공간의 벽에 다다르게 되는 것을 보여 주며 밀폐공간내에 연기가 가득 채워지는데 20초 가량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터널내에서 화재 발생시 연기 거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moke Movement in Tunnel Fires)

  • 김상훈;김성찬;김충익;유홍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1-32
    • /
    • 2000
  • 본 연구는 터널에서의 화재성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물 실험의 대안으로서 축소 모형 실험을 수행하였고 또한 실험결과와 비고분석하기 위하여 터널내에서의 화재에 대하여 연기거동을 수치해석하였다. 터널내에서의 연기유동은 Buoyancy force에 의해 지배되므로 Froude scaling링에 의해 얻어진 축소법칙에 따라 실물터널을 1/20로 축소한 모형에서 실험 수행하였고 검증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은 3D 비정 렬 격자, PISO 알고리즘, 부력 Plume 모델등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실험과 수치해석 결과가 어느정도 일침함을 확인하였고, 연층의 전달 속도, 온도 구배, 하강 높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atellite Monitoring of Smoke Aerosol Plume during the Russian Fire Episode of May 2003 over Northeast Asia

  • Lee, Kwon H.;Kim, Young J.;Hoyningen-Huene, Wolfgang V.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91-492
    • /
    • 2003
  • The large amount of smoke produced near Lake Baikal was transported to Northeast Asia with high AOT (Aerosol Optical Thickness) as seen in satellite images. Aerosol retrieval using a separ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MODIS (Moderate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SeaWiFS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 data observed during 14-22 May 2003. Large AOT, 2.0~5.0 was observed on 20 May 2003 over Korea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ng range transport of smoke aerosol plume from the Russian fires, resulting in high PM10 concentration was observed at the surface.

  • PDF

Respiratory Protection for LASER Users

  • Lee, Sang Joon;Chung, Phil-Sang;Chung, Sang Yong;Woo, Seung Hoon
    • Medical Lasers
    • /
    • 제8권2호
    • /
    • pp.43-49
    • /
    • 2019
  • The plume produced by vaporizing tissue with a laser contains a variety of contaminants called laser-generated air pollutants (LGACs). LGACs consist of a mixture of toxic gas components, biomicroparticles, dead and living cells, and viruses. Toxic odors and thick smoke from surgical incisions and the coagulation of tissues can irritate eyes and airways, as well as cause bronchial and pulmonary congestion. Because of the potential risk of the smoke, it is advisable to appropriately remove it from the surgical site. We recommend using a smoke evacuator to remove the smoke. Suction nozzles should be plac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urgical site in a range of 2 cm or less. In-line filters should be used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urgical site. All air filtration devices should be capable of removing particles below 0.1 microns in size. The filter pack should be handled according to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in the operating room. The laser mask can be an auxiliary protective device if it is properly worn. Some smoke inhaled under the nose wrap or over the side of the mask will not be filtered. As in electrosurgical operations, a suitable mask should be worn while smoke is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