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limit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환경에너지시설의 화재 및 피난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Fire and Evacuation Safety in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 전용한;한상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44
    • /
    • 2019
  • In this study, fire and evacuation safety of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us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was examined as part of performance-oriented design. The worst-case fire scenarios in which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and smoke control systems are not working, and the FDS analyzes the visibility,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istribution through FDS. The safety was examin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evacuation could limit the visibility, temperature,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a smooth range, based on the safety standards set by relevant laws.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safety of fire and evacuation for environmental energy facilities where a large amount of combustibles and fires coexist.

소형 어선용 디이젤 기관의 혼합연료유 연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of Blended Fuel Oil in a Diesel Engine for Small-Sized Fishing Boat)

  • 고대권;안수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2호
    • /
    • pp.72-79
    • /
    • 1987
  • 국산 소형어선용 예연소실식 디이젤기관에 혼합연료유(정유+중유)를 사용할 경우 혼합연료유의 성질, 연소특성 및 기관성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연료유의 혼합비율(중량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중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점도-온도 곡선은 Walther-ASTM 식과 일치하였으며, 착화성지수인 CCAI의 값은 기울기 1.0에 가까운 직선으로 증가하였다. 2) 동일운전조건에서 착화지연은 CCAI의 값이 810(혼합비율 60%)까지는 미소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값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혼합연료유의 착화성을 나타내는 CCAI의 값은 810 이상에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연소최고압력은 혼합비율 40%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그을음농도는 60%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므로, 본 실험에서 무그을음 연료비절감의 안전운전 혼합비율은 50%가 적당하다

  • PDF

소형 어선용 디이젤 기관의 혼합연료유 연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of Blended Fuel Oil in a Diesel Engine for Small-Sized Fishing Boat)

  • 고대권;안수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2호
    • /
    • pp.26-26
    • /
    • 1987
  • 국산 소형어선용 예연소실식 디이젤기관에 혼합연료유(정유+중유)를 사용할 경우 혼합연료유의 성질, 연소특성 및 기관성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연료유의 혼합비율(중량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중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점도-온도 곡선은 Walther-ASTM 식과 일치하였으며, 착화성지수인 CCAI의 값은 기울기 1.0에 가까운 직선으로 증가하였다. 2) 동일운전조건에서 착화지연은 CCAI의 값이 810(혼합비율 60%)까지는 미소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값에서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혼합연료유의 착화성을 나타내는 CCAI의 값은 810 이상에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연소최고압력은 혼합비율 40%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그을음농도는 60%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므로, 본 실험에서 무그을음 연료비절감의 안전운전 혼합비율은 50%가 적당하다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한 대형공간의 제연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control Design parameter of Large Volume space by Fire Dynamic Simulation)

  • 최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37-243
    • /
    • 2018
  • 최근 소방설계에서 '성능위주설계'가 도입되면서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장에서 화재에 의한 최소한의 피해를 목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성능위주의 설계를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설계엔지니어들에게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제시하는 법령기준이 각 설계인자의 최소 설정한계를 제시하는 가이드가 된다. 이러한 법령기준은 최소한의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의 건물과 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하는 설계 엔지니어들에게 세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복합적인 상황에서 어떤 인자가 화재 시 안전에 더 영향을 많이 미칠 것인지 미리 인지하고 상황에 따라 인자들을 상호 조절할 수 있는 설계정보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공간에서 거실급배기방식을 사용하고 제연경계에 의하여 구획이 되어 있는 경우, 배연량을 법정 배연량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거실제연 설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가지 인자인 제연경계의 높이와 급기량을 대상으로 미 NIST에서 제공하는 화재시뮬레이션(Fire Dynamic Simulation)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인자들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능위주설계를 위해 초기설계에 제연경계의 높이를 최대한계로 설계한 후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합리적인 풍량 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평타원 환상공간에서의 자연대류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natural convection in the annuli between two horizontal elliptic cylinders)

  • 이재순;서정일;이택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8-35
    • /
    • 1988
  • 본 연구는 이중벽용기에서 볼 수 있는 환상공간에 관한 자연대류 연구로서 용기속에 들어있는 유체의 열차폐를 위한 최적의 가스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을 얻기위한 열전달 연구이다.

위성사진으로 본 북한의 시멘트 산업 (North Korea Cement Industry in Satellite Imagery)

  • 백철승;서준형;조진상;안지환;조계홍
    • 세라미스트
    • /
    • 제22권2호
    • /
    • pp.198-214
    • /
    • 2019
  • The possibility of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is increasing, but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information of cement industry, which occupies the largest proportion of North Korean construction material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status of cement production facility management using satellite photographs of 16 cement factories in North Korea, and examined the operating status of North Korean cement industry by observing smoke discharged from the chimneys of the cement production facilities. When the satellite photographs were analyzed, it was observed that the monthly stack fog ratio of the North Korean cement factories was 55% in 2016, 60% in 2017 and nearly 65% in 2018. This demonstrates that the average operating ratio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However, the operation rate of the five major cement factories reaches the limit, actual cement production is estimated to have maintained the previous level or small increased.

담배 주류연 중 7개 그룹의 유해성분(HPHC) 분석법 확립 및 유효성 평가 (Establishment of analytical methods for HPHC list of mainstream cigarette smoke)

  • 박형준;이진희;조소현;허석;윤창용;백선영
    • 분석과학
    • /
    • 제28권6호
    • /
    • pp.385-397
    • /
    • 2015
  • 본 연구를 통하여 담배 주류연에 포함되어 있는 HPHCs (Harmful and potentially harmful constituents) 중 7 개 그룹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이 7 개 그룹에는 방향족 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금속, 담배특이니트로사민, 벤조[a]피렌, 암모니아, 카르보닐 그룹이 있다. 시험법 검증을 위하여 표준담배인 1R5F와 3R4F를 사용하여 분석법의 특이성, 직선성, 정성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 및 회수율을 확인하였다. 모든 상관계수(r2)는 0.995 이상 이였고 정성한계는 방향족 아민,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금속, 담배특이 니트로사민, 벤조[a]피렌, 암모니아, 카르보닐 순으로 0.01-0.04 ng/cig, 0.01-0.16 μg/cig, 0.01-1.27 ng/cig, 0.06-0.28 ng/cig, 0.04 ng/cig, 0.08 μg/cig, 0.78-1.77 μg/cig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간과 일내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15% 이하였고, 회수율의 상대표준편차는 15% 이하, 회수율 범위는 79.2-117.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7 개 그룹에 대하여 확립된 시험법은 각각의 해당성분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CAES 저장 공동 운영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 평가 및 화재 시나리오 분석 (Analysis of Fire Scenarios and Evaluation of Risks that might Occur in Operation Stage of CAES Storage Cavern)

  • 윤용균;주은혜;서샘물;최병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1호
    • /
    • pp.107-1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AES 저장 공동의 운영단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를 분석 및 평가하고, 가장 높은 리스크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된 리스크에 대해서 화재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운영단계에서의 리스크를 상위 리스크와 하위 리스크로 구분하였다. 상위 리스크는 '기술적 리스크', '시설 리스크', '자연재해 리스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위 리스크는 11개의 리스크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20인의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ANP 모델을 적용하였다. 리스크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ANP 분석 결과와 기 결정된 리스크 평가기준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관리공동 내 화재 발생'이 위험도가 가장 높은 리스크로 선정되었다. '관리공동 내 화재 발생' 리스크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분석하였다. 3가지 종류의 시나리오를 고려하였으며,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위해서 FDS 화재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석 결과 터널 내부에서 외부로 바람이 부는 경우를 가정한 No. 3 시나리오가 연기 확산 속도가 가장 크면서 가장 빠르게 연기가 호흡 한계선 이하까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영요원이 접근터널에서 피난하는 경우 No. 3 시나리오가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판명되었다.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원전 주제어실의 케비닛 화재에 대한 거주성 평가 (Assessment of the Habitability for a Cabinet Fire in the Main Control Room of Nuclear Power Plant using Sensitivity Analysis)

  • 한호식;이재오;황철홍;김주성;이상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52-60
    • /
    • 2017
  • NUREG-1934에서 제시된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의 케비닛 화재를 대상으로 운전원의 거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화재모델인 FDS가 사용되었다. 운전원의 거주성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복사 열유속, 상층부 온도, 연층높이 및 연기의 광학밀도뿐만 아니라, CO 등과 같은 독성물질의 농도가 포함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화재모델의 확인 및 검증(V&V) 기반의 주요 입력인자 민감도 및 모델 불확실도 분석을 통해 다양한 화재시나리오에 대하여 거주성 기준의 초과 확률 및 거주 가능시간이 산출되었다. 최대 열방출률, CO 및 Soot yields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거주시간 뿐만 아니라 거주성을 결정하는 한계기준의 변화가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불확실한 케비닛 화재정보를 이용한 주제어실의 거주성 평가의 신뢰성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라 판단된다.

Reference values of lead in blood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3

  • Choi, Min-Gyu;Park, Mi-Jung;Kim, Shin-Hy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3호
    • /
    • pp.114-11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ference values and factors influencing blood lead levels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585 adolescents (801 males, 784 females; aged 10-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3. We analyzed blood lead concentrations in relation to demographic/lifestyle characteristics for all participants. "Reference values" of blood lead levels were calculated as the upper limit of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95th percentile. Results: The average "reference value" for blood lead concentrations among Korean adolescents was $2.25{\mu}g/dL$ ($2.49{\mu}g/dL$ for males, $2.07{\mu}g/dL$ for females), and the geometric mean of the blood lead concentrations was $1.34{\mu}g/dL$. Males had higher blood lead concentrations than females (male, $1.48{\mu}g/dL$; female, $1.19{\mu}g/dL$; P<0.0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higher blood lead concentrations tha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1.44{\mu}g/dL$ vs. $1.31{\mu}g/dL$, P<0.001). Participants living in detached houses had higher blood lead concentrations than those living in apartments (P<0.001) and current smokers had higher concentrations than nonsmokers or participants with secondhand smoke exposure (P<0.05). Additionally, participants with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had higher levels than non-drinkers (P<0.001).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national reference data on blood lead concentrations stratified by 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lead exposure and 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type of ho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