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ing site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경사지의 지형특성에 적합한 경사지주택 개발 계획 (Development of Hill Housing Addatable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n Sloping Sites)

  • 현택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7-66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the applicability of hill housing design in accordance with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n sloping sites. The urgency for housing still exists but hill sites have to be planned by gradual development using 'all available land' within any particular community. However, there is a reaction towards being more closely involved with nature and landscape. Sloping and hill sites must be developed by intelligent and sensitive planning, integrating the exist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nditions of location are regarded as the concepts of spactial configuration. It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awareness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exist together. 2. It is inevitabl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ill housing should be performed prefer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3. Planning elements of ecological residental blocks which are possible for constructing on the hill site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y housing types.

경사도에 따른 고층 주거 단지의 주동 형태에 관한 연구 - 설계경기 당선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lock Plans in High-Rise Multi-Family Housing based on a Gradient - A Case Study on Prizewinners in the Design Competitions)

  • 김형진;박찬규;권선국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9-194
    • /
    • 2004
  • Owing to the mass-housing policies of high-density and high-ris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Korea have come to be uniform and monotonous. Nevertheless, the design competition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1980s have Played significant roles in developing the fresh ideas and concepts in housing design. And in our country, the land of the gradient $0-9^{\circ}$ that is able to plan as level sites come up to 32.5% of the total land and the land of the gradient $10-29^{\circ}$that should be design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oping sites is 53.2% of the whole. For that reason, the development of the apartment housing in the sloping site has been done largely to solve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scarcity of the land.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job to see the various design methods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particularly gradient, by analyzing the prizewinners in the design competition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analyzed the works that won the design competition after 1990, and organized the types of the block plans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applied in our residence housing. Secondarily, it classified that types by the gradient and analyzed statistically and compared the numerical value.

  • PDF

UBCSAND모델을 이용한 사면의 동적거동해석 (Numerical Modeling of Sloping Ground under Earthquake Loading Using UBCSAND Model)

  • 박성식;김영수;김희중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61-7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하여 포화된 사면의 동적거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에는 저자가 개발한 연성 유효응력모델인 UBSSAND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이 모델은 초기전단응력이 수평면에 작용하는 경우와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 반복 직접단순전단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델은 느슨한 Fraser River 모래로 성형된 사면을 가진 원심모형모델의 동적거동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과잉간극수압, 가속도 및 변위를 계측치와 서로 비교하였으며, 예측치와 계측치는 비교적 서로 잘 일치하였다. 전단응력도의 응력전환형태는 초기전단응력과 반복전단응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지진시 포화된 사면의 안정해석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단응력도의 응력전환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사면근처의 모래는 낮은 유효응력 구속압과 그에 따른 팽창성으로(부의 과잉간극수압발생) 유효응력이 증가하여, 동적하중 하의 사면의 변위를 저지하였다. 이와 같은 유효응력모델은 액상화를 고려한 지반구조물의 내진해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삼 수량과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재배적지 기준 설정 (A Guideline to Land Suitability Used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Yield potential in Panax Ginseng C.A. Mayer)

  • 현동윤;현근수;연병열;강승원;김영철;이광원;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1-42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as guideline for high yield potential in ginseng cultivated field which produced 6 years root. Harvest yields of ginseng to be divided by parent rock was in order of phyllite and red shale 3.1 kg/$3.3\;m^2$ > granite and gneiss schist 3.0 kg > basalt 2.6 kg > porphyry 2.2 kg in upland and forest soil. Also, with classified by topography, it was in order of foot slope and alluvial fan 3.2 kg/$3.3\;m^2$ > valley 3.0 kg > low hill 2.9 kg > hill, lave flow and dilluvial terrace 2.8 kg in survey tilth. Class determination of soil texture, it was in order of sandy loam 3.1 kg/$3.3\;m^2$ > loam and silt loam 3.0 kg > clay loam 2.9 kg > silt clay loam 2.8 kg in survey tilth. Slope condition of farming land, in case of sloping (2~7%), it was 3.1 kg/$3.3\;m^2$ but deep sloping (15~30%) caused decreasing harvest yield. In drainage classes (excessively, well and moderately well),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harvest yields. Relationship between harvest yield and soil series, Production sites as yielding 3.0 kg/$3.3\;m^2$ were seven sites, also it was contained 14 soil series. Production sites as yielding 2.5~3.0 kg/$3.3\;m^2$ were eleven sites, it was contained 16 soil series. Production sites as yielding 2.0~2.5 kg/$3.3\;m^2$ were 10 sites, it was contained 4 soil series.

고저차 3m 이상 지표면의 가중평균지표면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Definition of Ground Level under the Building Act - Difference of heights which is over 3 meters -)

  • 민영기;김수영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91-98
    • /
    • 2009
  • My questionaire survey revealed that even those experts that engage in architectural design did not precisely understand much of the regulations concerning ground-level. In terms of restricting the size of the building area, the generous policy of excluding balconies and basements from the calculation of building size actually causes problems. As far as the right to sunshine is concerned, the weighted average ground-level is determined to be the ground-level standard of the neighboring plot when the neighboring plot is a sloping bare ground. When the difference of heights is over 3 meters, it would be appropriate to assess the weighted ground-level standard every 3 meters.

  • PDF

영도 절영산에서의 식물 집단 구조 (Plant Population Structure of Mt Jeolyoung in Young-do of Busan)

  • Huh, Hong-Wook;Park, Joo-Soo;Huh, Man-Kyu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59-466
    • /
    • 2004
  • 영도 절영산과 단절된 산림지 3곳에 대한 식물종, 목본류의 다양성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18 plot(12개 50$\times$50m plot와 6곳 10$\times$100 m plots)를 설정하였다. 50${\times}$50m plots에 는 총 68종이 동정되고 목본류의 개체는 1562개였다. 최소 유의성 차이(LSD)에서 A지점(절영산)이 B지점(낮은 구릉지역)보다 높았다. Shannon-wiener의 다양성 지수에서 세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4.12, p<0.05). 곰솔-갈참나무군락이 대부분 지역에서 우점하였다. 절영산과 태종대 지역에서 곰솔군락이 다른 방향보다 NE방향에 잘 분포하였다. 천선과 나무-곰솔군락은 C지역의 남쪽 plot에 잘 분포하였다. 영도 절영산과 해안 지역에 대한 수목의 공간적 분포는 이질적이며 패치(patchy)구조를 나타내었다.

Population ecology of Palmaria palmata (Palmariales, Rhodophyta) from harvested and non-harvested shores on Digby Neck, Nova Scotia, Canada

  • Garbary, David J.;Beveridge, Leah F.;Flynn, Andrea D.;White, Katelyn L.
    • ALGAE
    • /
    • 제27권1호
    • /
    • pp.33-42
    • /
    • 2012
  • Population ecology of Palmaria palmata is describ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Digby Neck and adjacent islands of Nova Scotia. The primary objectives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habitat specializ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 palmata between harvest and non-harvest shores, and to characterize differences in thallus structure and frond sizes between epilithic and epiphytic populations. Harvest shores were gently sloping boulder fields with boulders typically about 0.5-1.0 m with dense cover of P. palmata on many of the rocks. Non-harvest shores (with or without P. palmata) consisted of boulders that were smaller or larger than harvest shores, or bedrock; when P. palmata was present on nonharvest sites it was typically epiphytic on other algae (e.g., Fucus spp., Mastocarpus stellatus, Devaleraea ramentacea). Harvestable epiphytic populations occurred only in high current area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verage cover of P. palmata harvest and non-harvest shores ($31.2{\pm}13.7%$ vs. $19.4{\pm}7.3%$, mean ${\pm}$ standard deviation [SD]), the cover of P. palmata on harvest shores was highly skewed such that individual boulders often had >90% cover while adjacent rocks had little. Frond length of large fronds was greater on harvested shores, and mean frond density ($g\;m^{-2}$)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mean density on the non-harvested shores. Frond lengths of entire epiphytic and epilithic frond complements of 119 thalli from harvest beaches showed no difference in mean size of the largest fronds, and no difference in frond number per holdfast when epiphytic and epilithic thalli were compared.

산사태 위험도 추정을 위한 간극수압 예측에 관한 연구(I) -지하수 유입량의 비교 연구- (Porewater Pressure Predictions on Hillside Slopes for Assessing Landslide Risks(I) -Comparative Study of Groundwater Recharge-)

  • 이인모;박경호;임충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1호
    • /
    • pp.81-102
    • /
    • 1992
  • 얇은 토층을 가지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흔히 호우, 폭우, 태풍 등의 강우 사상 발생으로 초래된 지하수위 증가가 그 원인이 되며, 결국 산사면에서의 지하수위를 예측하는 것이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눈문에서는 산사면에서 지하수 유입량을 예측할 수 있는 비포화대 흐름 모델들 중 Sloan 등이 제안한 모델, Reddi가 제안한 모델, Thomas abcd 모델들을 선택하여 서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포화투수계수와 모델변수들에 대하여 매개변수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Sloan등이 개발한 Kinematic Storage Model(KSM)을 선택하여 한국의 산사면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이들 모델들은 한국의 두 산사태 발생 지 역에 적용하였고, 그 적용 가능성 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졌다. 그 결과, Sloan 등과 Reddi가 제안한 두 모델들은 포화투수계수와 같은 불확실성을 지닌 실험 상수들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abcd모델은 지하수위 변동에 대하여 고려할 수 있도록 수정하고 적절한 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모델변수들을 구한다면, 비포화대 모델로서 현장 지역에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KSM은 포화대에서의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해 줄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가파른 산사면 에서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추정하기 위한 지하수위 예측 모델 을 개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Flora and Vegetation of Hilly Pasture in Daegwallyeong)

  • 김명현;어진우;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98-412
    • /
    • 2017
  • 산지초지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하여 강원도 대관령에 위치하는 산지초지에서 2014년~2016년 사이 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8과 90속 104종 13변종 12아종으로 총 1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반지중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H-D_4-R_5-e$)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과 9속 12종으로 총 1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는 3.7%, 귀화율은 9.9%를 나타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군락은 덤불조팝나무-꼬리조팝나무군락, 고마리군락,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으로 구분되었고,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은 세분하여 왕포아풀아군락, 쑥아군락, 김의털아군락, 애기수영아군락,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경사도와 EC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사도 $40^{\circ}$ 이상에서는 원하는 목초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목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지초지의 조성 및 관리에 경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결정화도에 따른 Li3V2(PO4)3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3V2(PO4)3 Negative Electrode as a Function of Crystallinity)

  • 구준환;박경진;류지헌;오승모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2012
  • 열처리 온도를 $600^{\circ}C$$800^{\circ}C$로 다르게 하여 비정질 및 결정질구조의 탄소를 포함하는 $Li_3V_2(PO_4)_3/C$분말을 각각 합성하였으며, 결정성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으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정질 $Li_3V_2(PO_4)_3/C$은 추가반응에 의하여 리튬이 저장되기 때문에 260 mAh $g^{-1}$의 제한된 용량만을 지니고 있음에 비하여, 비정질 $Li_3V_2(PO_4)_3/C$는 3가의 바나듐이 금속상태에 근접할 정도로 가역적으로 반응되어 460 mAh $g^{-1}$의 큰가역용량을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정질 구조에서 기인하는 특성으로 유연한 구조로 인한 새로운 리튬의 저장공간이 확보되는 것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비정질 $Li_3V_2(PO_4)_3/C$는 비정질 구조에 기인하는 선형적인 충방전 곡선을 지니고 있어 정확한 충전심도의 예측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함구조에서 유발된 리튬이온의 향상된 확산성으로 인하여 우수한 속도 특성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