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uational empath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공감과 사회적 평가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athy and Social Evaluation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 양성은;정문자
    • 아동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7-11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cted internal and situational factors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hile child's sex and trait empathy were chosen as internal factors, state empathy and social evaluation were regarded as situational factors. The subjects were 72 bays and 72 girls chosen from 288 eleven-year-olds. This selection was based on their emplathic scores measured by the Bryant Empathy Scale (1982). Half of the 144 children belonged to the high-trait empathic group and the other half to the low-trait empathic group. Within each of the high-and the low-trait empathic groups, equal numbers of boys and girl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tate empathy conditions and two social evaluation conditions. The state empathy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the arousal condition and the disregarding condition. To control social evaluation, subjects were led to believe that the experimenter either would or would not evaluate their donation of colorful ball-point pens to handicapped children. The data was analyzed by 4-way ANOVA [sex(2)${\times}$trait empathy(2)${\times}$state empathy(2)${\times}$social evaluation(2)]. The results were that (1)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state empathy, and social evaluation, and (2)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ir trait empathy level.

  • PDF

보건의료 환경에서 친사회적 정보공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Information in Healthcare Settings)

  • 천경희;박영순;조영준;이유정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3호
    • /
    • pp.198-20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situational factors, motivational assessment-related factors, and situationally induced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patient information among health and medical students. In total, 210 students from Konya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cluding 116 medical students and 94 other health students. To measure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information security, a 27-item questionnaire was use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shown by Cronbach's α values of 0.859 to 0.917. According to students' perceptions, higher disease seve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impacts on the patient, family, and themselves (p<0.01), as well as higher situational empathy (p<0.05).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alth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formation education experience, perceived impact on the self, responsibility to disclose, and personal norms (r=-0.136 to -0.647, p<0.05). Responsibility to disclose and situational empathy explained approximately 44% of the variance in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Additionally, students who received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perceived a significantly higher responsibility to disclose, exhibited higher health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had lower pro-social intention to disclose.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or health and medical students, and suggested that pro-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empathy and responsibility need to be carefully addressed i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또래의 잠재적 참여유형에 따른 사회인지적 특성 비교 (The Traits of Social Cognition Associated With Latent Participants of Bullying)

  • 김지은;박혜준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9-81
    • /
    • 2016
  • Objective: The literature on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lacks empirical evidence to explicate what differentiates latent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ocial cognition in early adolescents (i.e., empathy,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erceived group norm) with latent participants of bullying.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279 adolescents (129 girls; M age = 13.5 years) in two middle schools. Results: The result showed that empathy,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erceived group norm were possible determinants of latent bullying. First, high levels of empathy (especially empathic concern and perspective taking) was associated with latent defenders. Second, helping decision of prosocial moral dilemma and prosocial moral reasoning were associated with complex situational cues. Third, latent reinforcer positively indentified the group norm with regard to bullying. Conclu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for anti-bullying programs and educational practitioners.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서 발현되는 과학공감의 특성과 변화 분석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cientific Empathy during Students'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in Science)

  • 양희선;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7
    • /
    • 202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생산적인 과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공감의 역할을 조사하고, 해당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공감의 주요 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일반공감 능력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적용한 생산적 과학 참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문제 해결의 다섯 단계 중 아이디어 생성과 프로토타입에서 소집단의 발화를 분석하여 과학공감과 과학실천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과학 공감은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세 집단의 과학공감 및 과학실천의 평균 발화 빈도가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후반부에 오히려 발화 빈도가 증가했다. 그러나 일반공감 능력이 낮은 소집단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협력적 의사소통의 결여로 과학공감과 과학실천의 발화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생산적인 과학 참여 상황에서 5가지 주요 과학공감 구성요소가 모두 발화로 드러났다. 높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타인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공감적 이해와 공감적 걱정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낮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연구대상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민감성, 과학적 상상, 상황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타인뿐만 아니라 연구대상과의 과학적으로 공감하는 경험이, 일반적인 공감 능력과는 별개의 중요한 특성으로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활동을 다양한 참여를 유발하며 이를 지속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과학공감이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 다양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과학 수업에서 과학공감의 이론적 구조와 안정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암환아 형제자매의 경험 (The Experience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Cancer)

  • 전나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294-304
    • /
    • 1998
  • Illness is a situational crisis which affects entire family members. Children have different experiences and responses when their sibling has a cancer. there are many studies on sibling experiences to childhood cancer which have many problems in the US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sibling experiences to childhood cancer accurately and coprehensively by collecting data from sibling to provide the data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families with childhood cance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6, 1995. A total of ten siblings with childhood cancer were interviewed. The meaningful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to four areas. Theses areas include knowledge and perception related to illness, changes in family life, changes in school life, and siblings' martu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nowledge and perception related to childhood cancer : Children had limited knowledge about illness and expressed the desire to tow more about sibling's illness. 2. Changes in family and school life : Children expressed loneness, emptiness, sadness, depression about seperation with the mother and sibling, family mood change, leisure activities and financial difficulites. Many children reported that their school performance had suffered since sibling's illness. 3. Maturation of children : Some positive outcoms related to having a sibling with a cancer are maturation, increased affection for the sibling, empathy for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mprehens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families with a childhood cancer.

  • PDF

온라인 도움행동의 원인에 관한 경험연구 - 서울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Explanatory Factors of Online Helping Behavior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전신현
    • 정보화정책
    • /
    • 제18권1호
    • /
    • pp.55-72
    • /
    • 2011
  • 이 연구는 온라인상의 도움행동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의 도움행동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도움행동의 요인을 사회인구학적 요인, 상황요인, 개인동기요인, 사회자본요인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해당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사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2010년 서울시 대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연령과 종교가, 상황요인에서는 도움행동의 기회가, 이기적 동기요인에서는 시간과 노력의 손실비용이,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사회자본이 온라인상에서 남을 돕는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성과 계층요인, 도움으로 얻는 이득이나 이타적 동기로서 감정이입, 그리고 개인규범 등의 요인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지 못했다. 도움행동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에서도 사회자본요인이 정보도움을 제외한 경제도움, 정서도움, 시간과 노력의 도움에서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해 본다.

  • PDF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in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

  • 홍기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49-5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인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인권옹호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작업치료사로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5개의 사례 이루어진 30개의 질문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는 7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배포, 수집하여 총 165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33.52{\pm}14.96$점이었고 하위 영역에 따른 인권감수성 평균은 상황지각 $20.44{\pm}2.32$, 결과지각 $19.85{\pm}2.32$, 책임지각 $19.14{\pm}2.21$ 순으로 나타났다. 사례 중 노인의 행복추구권($12.72{\pm}1.56$)에 대한 인권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장애인의 신체의 자유권($11.04{\pm}2.23$)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 중 연령, 교육정도, 근무기관과 임상경력에서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연령과 임상경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인권관련 상황에 노출될수록 인권감수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상황지각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클라이언트-중심의 중재를 위한 공감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권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의 다양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