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parent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6초

한부모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의 관계에서 사회관계망 기능의 매개효과: 양부모 가정 어머니와의 비교 연구 (Mediating Effects of the Functions of Parent's Social Networks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 Involvement: Comparison of Single-mother and Two-parent Families)

  • 신혜진;한인영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3호
    • /
    • pp.401-422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가 맺는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이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 행동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한부모 가정 어머니와 양부모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자녀로 둔 한부모 가정 어머니 132명과 양부모 가정 어머니 16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교육적 관여 행동을 교육환경제공, 학업지도, 자녀교육지원 등을 포함한 가정 중심 교육관여와 자녀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참관, 교육활동지원, 교원과의 의사소통 등 학교 중심 관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이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관여 사이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한부모 어머니 집단에서 어머니의 사회관계망 기능 특성은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관여의 관계, 그리고 학교관여와의 관계를 각각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부모 어머니 집단에서는 어머니 사회관계망의 기능 특성이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관여와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나, 학교관여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한부모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사회관계망 지원 기능을 확충함으로써 교육적 관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부모-자녀관계가 아동의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와 양부모의 다집단 분석- (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Life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lies-)

  • 김현숙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5호
    • /
    • pp.113-141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자녀의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2차년)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6,643명(한부모 756명, 양부모 5,887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는 양부모 자녀보다 대인관계, 정신건강, 학교생활 행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부모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f Single-Parent Families on Self-Regulation and Social Competence of Infants)

  • 최태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7-139
    • /
    • 2021
  • 본 연구는 한부모 가족의 유아를 대상으로 가족건강성이 자기조절력,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5세 유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은 학부모가 하도록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Satistics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다중회귀 분석과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Bootstrapp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 부모 가족의 가족건강성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한부모 가족건강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한부모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보다 가족원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부모가족의 적응 - 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 현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7-126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between family stress and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based on family resilience approach.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single parents who had a lower level of family stress and a higher lever of family resilience reported a higher level of family adjustment. Second, family stress especially economic stress and relational stress influenced negatively on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es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fluenced positively on family adjustment. However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more powerful effects than family stress. Third, family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communication processes of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relational stress. Especially the thre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d a buffering effect between family adjustment and relation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he study showed that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y could be significantly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family stress. Accordingly strength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 focused on family resilience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deficit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 based on family stress.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분석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 유순희;정민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03-612
    • /
    • 2013
  • With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the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is changing. Thus, a public transition toward embracing single-parent families as another form of family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ies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s using Walsh's family resilience framework with a strengths-based perspective. It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ducing policy-related and practical ways of supporting the families and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maintain and reinforce resilience.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 preceding literature review was also carried out to collect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age of divorce is around 30-40, with children of school age.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high school graduates to graduate school students. On Rothwell and Cohen's happiness scale, their objective level of happiness was higher (74.1) than that of the average Korean (64). Second, it was found they were very careful to avoid violence in everyday life as an after-effect of domestic violence, which was the major cause of their divorce. Third, their positive and optimistic attitudes about life even in adversity can be interpreted as Walsh's belief systems taking a more important role among other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청소년부모의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10대에 첫 자녀를 임신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a support policy for adolescent parents: focusing on single mothers who become pregnant for the first time as teenage years)

  • 이영호;박지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13-132
    • /
    • 2021
  • 지금까지의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미혼 한부모가족의 형성사유를 구분하지 않아, 청소년한부모를 특정하여 직접 자료조사를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부모의 임신, 출산, 양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청소년부모의 양육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통해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부모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동일한 문제를 내포한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신에서 양육 초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자녀 양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자립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임신에서 출산, 양육초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조사를 통해 탐색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고 있으며, 비양육자인 자녀의 생부의 역동을 함께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저출산의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의 과업에서 청소년 산모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함께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일은 개인, 사회가 함께 고민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아이 생부에 관한 사회의 무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이 생부를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부모와 미혼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지원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야 하며, 10대의 청소년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부모, 한부모들에 대해서는 가정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10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 및 양육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포괄하는 가족정책의 수립과 가족자원과 지역자원을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정서적 문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1호
    • /
    • pp.1-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with the parent resource perspective. The study consisted of 230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single parent (living with either mother or father only) families in the 4th year panel (201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ll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1.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er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found among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s more affectionate. On the contrar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detected among adolescents who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s more intrusiveness. The more the inconsistent parenting practices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depression. Secon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among adolescent who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cluding monitoring, affection and reason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Third,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observed among adolescent who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problems on life satisfaction, affection parenting of all positive parenting styles and depression among emotional problems had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more affectionate a parent is with his/her children in parenting, the lower the degree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the lower degree of depression in adolescents, the higher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among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households.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 연구 : 모자보호시설 입소자를 중심으로 (Family Resilience in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 In Case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 김경순;이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1호
    • /
    • pp.89-105
    • /
    • 2009
  • A family resilience approach aims to identify and fortify key interactional processes that enable families to withstand and rebound from disruptive life challenges. Walsh(1998) described family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as the three main keys of family resil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hree key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 cas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ven divorced mothers who were living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f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thinking rather than fear about the adversity induced by the divorce. They also showed the senses of competence, control, and self-esteem. However, the senses of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were barely evident. Second, emotional and economic supports from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and community networks (i.e., mother-child protection institutio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enhanced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participants. Third, the participants showed clear communication, open emotional expression, and shared decision ma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counseling services and parent education be provided b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nstitutional facilities as important family resilience factors for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who are below the poverty line.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 감독·애정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비교-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affe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on juvenile delinquency -A comparison between two-parent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 정규형;김희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195-22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 감독 애정과 청소년의 오프라인 온라인 비행과의 관계에 대해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을 비교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제4차~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학생 총 1,812명(양부모가정: 1,628명, 한부모가정: 184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이 관계가 가정구조 별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의 감독은 양부모 가정에서만 청소년 오프라인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와의 애정은 양부모와 한부모가정 모두 오프라인 비행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부모와의 애정은 한부모가정에서만 온라인 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경로 또한 양부모 가정보다 더 크게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모 감독의 경우 모든 가정 구조에서 온라인 비행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부모가정보다 양부모가정에서 더 크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비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회복지적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Gender differences and influential factors on economic resources of single-parent households)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95-120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ssets and income of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A series of analyses of data from the 2013 Korean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 on the economic resources of single-parent households were conducted.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in a comparison between male-headed households and female-headed households, the levels of assets and income in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lower than those in male-headed households. The labor income in male households was almost two times higher than that in female households. Housing conditions with respect to male households were more secure and better than those in female household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s of economic resources in single-parent households varied in terms of the type of economic resources. Gender, employment status, family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inc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ith respect to the levels of assets in single-parent households.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was influenced by gender,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housing conditions was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