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ion Experience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8초

간호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수업경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on Learning Outcome and Classe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 한영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5-1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on learning outcome and teaching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96 students of a nursing college.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6 week.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1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 and teaching experience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In conclusion, we required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and small group discussion analysis of factors are associated with goal-setting skills and self-presentation skills, goal setting skills. We required nursing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training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utilizing the repeated study.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노인환자 유사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Elderly Patient Simulation Experience)

  • 오현수;정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58-3367
    • /
    • 2013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소재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88명(실험군: 47명, 대조군: 41명)을 대상으로 노인환자 유사체험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결과변수로는 노인 및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와 공감 정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환자 유사체험은 간호대학생의 노인 및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에는 유의한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으나 공감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은 노인환자 유사체험에 대한 제한점으로 1회성의 단편적 경험, 노화에 대한 불안감 야기, 체험복장의 현실감 부족, 체험 과정 중의 사고 위험성 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제한점이 유사체험의 긍정적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점들을 고려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개선하여 제공한다면 중재가 간호 대학생들의 노인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공감적 이해증진으로 이어지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A Meta-synthesis and Meta-ethnography Study)

  • 이지애;전지은;김수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00-31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synthesi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 Methods: A systematic review was undertaken using meta-ethnography. Eight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January 2014 for peer-reviewed studies, written in Korean and English, that reported primary data, used identifiable and interpretative qualitative methods, and offered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ynthesis. Results: Nine studies were identified, with quality appraisal undertaken. Three key concepts were generated: ambivalence of simulation practice, learning by reflection, and building up of the competency as a future nurse. Six sub-concepts emerged: double sidedness of simulation setting; feeling ambivalence of simulation; learning from others; learning from self-reflection; improvement of confidence by role experience; and internalization of nursing knowledge. A line of argument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themes generated.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qualitative synthesis and other related literature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apability of educator and extension of the simulation system to facilitate effective simulation-based education.

Virtual Domino: Interactive Physics Simulation and Experience

  • ;권용무;고희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954-959
    • /
    • 2006
  •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ables immersive 3D experience of a Virtual Environment. A simulation-based VE can be used to map real world phenomena into virtual experience.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use of Newton's physics law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forces upon object's falling movement, and their effects towards other fallible objects. A reconfigurable simulation enables users to reconfigure the parameters of the objects involved in the simulation, so that they can see different effects from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such as force magnitude and distance between objects. This concept is suitable for a classroom learning of physics law. Preliminary implementation is done on a PC with a joystick for 4DOF movement. The graphics is implemented by SGI OpenGL Performer. A middleware called NAVERLib that consists of Performer's modules for easy XML-based configuration is used for management of visualization, network and devices connection, and where the engine of this domino simulation is attached.

  • PDF

간호대학생의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에 관한 연구 (Experience of Aging Simulation Cloth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정혜선;김응종;김정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41-157
    • /
    • 201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을 파악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노인간호 강의 및 노인체험복 경험이 없는 간호과 학생으로서 실험집단 44명, 비교집단 41명이었다. 실헙집단 학생들은 노인체험복을 착용한 후 시력과 청력기능, 척추 및 관절기능, 손가락기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체험하는 활동을 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은 t-test, $X^2$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태도와 부양의식의 집단간 비교에는 t-test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체험소감문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노인체험복 착용경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험소감문의 내용분석에서는 노인의 모습과 행동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노인을 공경하고 배려하겠다는 다짐 등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후생활에 대해 슬프고 두려운 느낌을 표현하면서 노후를 위한 자가관리를 생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이 실험집단의 노인에 대한 이해, 노인을 대하는 행동, 노인에 대한 간호방법 및 자신의 노후에 대한 준비 등에 대하여 긍정적 사고와 의지를 고취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노인간호학 교과목에 필요한 의미 있는 학습경험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효과의 양적 검정을 위해서는 첫째, 학습경험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공유하는 방안, 둘째, 체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의 도입, 셋째, 작은 효과에 민감한 도구를 활용한 반복 연구 등이 필요하며 아울러 체험과정에서의 안전을 위한 철저한 사전교육과 감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시뮬레이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aramedic student's experience on simulation)

  • 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3-75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lore the paramedic student's experience on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15 paramedic students. The study was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specifically Colaizzi's method. From the protocol, significant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formulated meanings. Results : The formulated meanings were identified 35 themes, 12 theme clusters, and 6 categories. The 6 categories include burden of demonstration, role experience as a paramedic, confidence in field treatment, sense of disjunction caused by difference from real situation, realization and learning by oneself, and sense of stability from hypothetical situation.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even though some negative perceptions were observed, simulation education will fit as a replacement for the field practice of paramedic's students given that more field-like practice environment and repetitive simulation education are present.

노인간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몰입경험,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and Learning Competenc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Gerontological Nursing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 권영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2-192
    • /
    • 2022
  • 본 연구는 가상 시뮬레이션기반 노인간호 실습교육 실시 후 간호대학생의 몰입경험과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2일부터 5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는 몰입경험(r=.656, p<.001), 학습역량(r=.67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학습역량(𝛽=.459, p<.001), 몰입경험(𝛽=.413,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0.9%이었다. 그러므로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습에 대한 몰입을 촉진하고 개개인의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응급구조학과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강사들의 경험 (Instructor's Experience on Simulation Education of EMT Students)

  • 백미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0-218
    • /
    • 2011
  •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 시뮬레이션에 참여한 강사의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Colaizzi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8개의 주제와 9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가 확인되었다. 즉, 강사들은 "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불편함", "교수자 역할에 대한 부담감", "불충분한 교육 여건으로 인한 어려움", "새로운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효과적인 시뮬레이션 교육효과를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와 미리 개발된 시나리오의 적극적 사용과 전문 보조인력을 두고 실습과 연계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응급구조과 교과과정 개선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Simulation Practice focusing on Cardiac Arrest)

  • 송미숙;제경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119-128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4학년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참여자는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 4학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12월 4일부터 12월 16일까지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실습을 하고 난 후 자신의 경험을 서술식으로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한 성찰일지를 Braun과 Clarke의 주제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은 '시뮬레이션 수업유형에 대한 기대감', '아쉬움이 밀려옴', '미리 겪어보는 심정지 상황', '팀 상호작용의 중요성 인식', '적극적 대처', '간호학생에서 간호사로 역할이 확장됨'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심정지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호흡곤란 사례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Simulation Practice and Video Watching Educational Experience Using Dyspnea Case in Nursing Students.)

  • 김미선;정현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87-296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을 받은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이론적표본추출을 통해 6명을 선정하여 동전 던지기를 통해 3명씩 2팀으로 나눠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실습은 3개의 범주(간호의 임상을 미리 경험해봄, 시뮬레이션 실습의 이로움, 시뮬레이션 실습의 한계)와 14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동영상 시청교육은 3개의 범주(교육의 편리성, 교육효과 증대, 지식 전달의 부족)와 6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실습과 동영상 시청교육을 효과적으로 간호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운영하기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