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k-jeo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통한 식적(食積)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ik-jeok in Dong-ui-bo-gam)

  • 노주희;이재흥;장명준;배재룡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3-197
    • /
    • 2009
  • 1. The concept about Jeok-chwiui(積聚) has been around since before "Hwangje-Naegyeong". Since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Sik-jeok(食積) was made mention of specifically. In "Yu-gyeong(類經)", it is said that Sik-jeok is a combination of our body fluid and blood by bad eating and sleeping habits. 2. In the narrow sense Sik-jeok is indigestion and broadly it is inappropriately stagnant fluids in our body. 3. If studying on Sik-jeok in Dong-ui-bo-gam 1)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epigastric region and between the skin and fascia. 2) The cause of Sik-jeok is indigestion, inappropriate temperature and weak stomach. 3) Symptoms of Sik-jeok are very diverse such as sick ascension, nausea, abdominal pain, headache, fever, etc. The right pulse is big and stressful. 4) Various symptoms related to digestive, respiratory, circulatory and reproductive system are represented by Sik-jeok. - Contemporarily women uterine or ovarian disease and back pain are mostly caused by Sik-jeok 5) Pediatric disease are mostly caused by Sik-jeok. 6) Treatment of Sik-jeok is light eating and if it is serious, you have to induce vomiting or diarrhea. Commonly used drugs are digestive medicine and invigorative medicine 7) To prevent Sik-jeok, you should forbid to eat until you are satisfied and wear warm clothes and continue to do spleen and genital do-in-beop.

식적으로 변증하고 투약한 환자군에 대한 임상연구 (A Clinical study o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ik-jeok)

  • 조민군;김준철;강한주;안훈모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77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 improvement in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ik-jeok. Methods : We investigated 31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he prescription of Sik-jeok had hospitalized to hospital in M Korean medicine hospital in Gimpo city, Gyeonggi Province from January 4th, 2016 to September 10th, 2016. We evaluated the change of them by using Martins AN. Results : Prescription of Sik-jeok tend to be administered in a shorter period of time than the total length of hospitalization. We can make a hypothesis that the longer the prescription of Sik-jeok period, the more likely it would be better results, but it could not be used statistically. Pyeongwisan gagam and Jungritang is possible to expect a better score compared to other prescriptions of Sik-jeok,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effective. Conclusions : These outcomes suggest the need of In-depth consideration about prescription of Sik-jeok and development of medication scale associated with prescription of Sik-jeok.

새로운 결합유효폭 측정법 (A New Metric for Joint Effective Width Computation)

  • 이적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5호
    • /
    • pp.565-572
    • /
    • 2001
  • 위치와 주파수 불확실성 곱이 작은 해석함수는 영상처리와 압축에 많은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불확실성원리에 기초하여 이 값을 계산하였으나, 이러한 측정은 최대 응답주파수가 0 이 아닌 인간시각필터에서 적절한 주파수 불확실성의 측정방법이 될 수 없다. 최대 응답을 갖는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불확실성을 계산하는 새로운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유효폭을 유도하고자 한다. 결합변수가 커지면 많은 함수들의 결합유효폭이 0.5로 수렴하는 해석 결과를 얻었으며, 고려 대상 중에서 Gabor cosine 함수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인간시각필터의 수학적 모델링 해석 (Mathematical Modeling Analysis of the Human Visual Filters)

  • 이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6호
    • /
    • pp.617-629
    • /
    • 2001
  • 인간시각체계에서 단순세포의 수용영역에 대한 수학적인 모델 연구가 정신물리학, 생리학, 신경과학 측면에서 발전되어 왔다.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델은 Gabor 복소함수, Gaussian 미분, Hermite 함수를 포함하며, 영상처리와 컴퓨터 시각 분야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확실성원리에 기초하여 고려된 함수들의 결합유효폭을 계산하고, 인간시각필터와 일치되는 중심주파수와 각 함수의 변수들을 결정하고, 결과적인 대역폭을 분석한다. 더욱이 함수들의 위치와 주파수 영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신물리학적으로 획득한 실험적인 데이터와의 관련성을 검토한다.

  • PDF

탄산(呑酸)에 관(關)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Clinical studies for Tan-San (呑酸))

  • 김인상;문구;문석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7-83
    • /
    • 1992
  • Clinical studies were done on 43 cases of Tan-San(呑酸) patient which were treated by outpatient, took medicine with Ge-Wool-Hwa-Dam-Jeon (開鬱火痰煎) in Dept. of 2nd clinic, Christian Oriental Hospital from June in 1991 to end of May in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tio of sex and age was 37.2% males (16 cases) and 62.7% females (27 cases) somewhat higher than males, In the age distribution, the highiest decade was thirtieth decade 48.83% (21 cases). 2. In the vocational distribution, housewives 51.16% (22 cases), commerces 23.25% (10 cases), company employee, teachers, students were in order of frequency and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was city 93.02% (40 cases), from village 6.97% (3 cases). 3. In the type distribution, the highiest frequency was Gan-Gi-Beom-Wi(肝氣犯胃) type 53.48% (23 cases), and Sik-Jeok (食積) 18.8% (8 cases), Bi-Gi-Heo(脾氣虛) 16.27% (7 cases) were in order of frequency. 4. In the western name of a disease distribution, the highiest frequency was chronic gastritis 37.20% (16 cases). 5. In the period of history, the highiest freguency was between six months and one year 23.25% (10 cases), furthermore between 5 years and 10 years 2.32% (40 cases). 6. In the treatment period, the highiest frequency was between 3 weeks and 4 weeks 38.46% (10 cases), and between one month and 2 months 30.76% (8 cases) was in order of frequency. 7. Treatment progress found out progressed 74.2% (26 cases) among the 35 cases which was known treatment progress.

  • PDF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interpreting HoiJae Lee EonJeok's Daxue)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39-62
    • /
    • 2009
  •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대학(大學)"해석에 관한 견해를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와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을 통해 살펴보았다. 회재(晦齋)는 주자(朱子)의 해석(解釋)을 상당부분 수용하고 있지만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해 새로운 해석(解釋)을 시도함으로써 주자(朱子)의 "대학장구(大學章句)"를 넘어서려고 하였다. 회재(晦齋)가 주자(朱子)의 견해(見解)를 수용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해석(解釋)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주자(朱子)와 회재(晦齋)의 차이는, 주자(朱子)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대상을 사물(事物)의 이(理)로 본 반면, 회재(晦齋)는 만물(萬物) 만사(萬事)의 본말(本末) 종시(終始)를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회재(晦齋)는 '물유본말(物有本末)'절(節)과 '지지(知止)'절(節)을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설명으로 삼음으로써 경전(經典)에 새로운 것을 보충해 넣는다는 비판을 피할 수도 있었으며, 주자(朱子)가 제시한 삼강령(三綱領) 팔조목(八條目)의 단계적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었다. '청송(聽訟)'節 문제도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연장선에 있다. 결국 주자(朱子)와 회재(晦齋)의 차이는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해석(解釋)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회재(晦齋)는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을 통해 자신의 지치주의(至治主義) 이념을 제시하였는데, 평천하(平天下)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인(仁)을 근본으로 삼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평천하(平天下)의 근본인 인(仁)은 효(孝) 제(弟) 자(慈)라고 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시작하여야 하며, 자기자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짐을 강조하였다.

주의집중 피로회복이론의 장으로 본 경주 옥산서원 강학 및 유식공간의 일원적 공간성 (A Study on the Coexistance of Ganghak(講學) and Yusik(遊息) space of Oksan Confucian Academy, Gyeongju: Directed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Perspectives)

  • 탁영란;성종상;최종희;김순애;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66
    • /
    • 2016
  • 조선 중기 대표적 서원중의 하나인 옥산서원을 사례대상으로, Kaplan의 "주의집중회복이론 틀"을 적용시켜, 서원의 기호학적 의미체계로서의 강학과 유식공간 상호 간의 보완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전통조경의 함축적 의미 도출과 경관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적 학교 공간계획과 조경설계에 일조할 수 있는 논거를 구축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옥산서원의 강학과 유식공간의 공간과 경관의 일원성을 통해 주의집중과 회복, 자연과의 합일 그리고 심성론과 수양론을 관통하는 성리미학적 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는 정보처리과정을 위한 주의집중을 효과적으로 재개하는 회복적 공간특질로 설명할 수 있다. 옥산서원과 그 주변 환경은 입지와 공간구성, 공간포치 그리고 당호 등을 통한 기호체계의 일부로서, 강학과 유식공간의 일원성을 설명하는 유기체적 환경이며 이는 주의집중으로 부터의 네 가지 회복적 환경요소과 결부되어 나타난다. 즉 자연완상은 강학의 연장인 유식을 통해 강학의 궁구함을 가져오는 체험을 넓히게 한다. 요컨대 '공부'와 '쉼'의 과정은 완물적정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발견하고 인간의 심성을 수양하며 도덕을 체득하게 유도되고 있다. 옥산서원은 입지적으로 읍치로 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진 '벗어남'과 서원의 조망경관과 공간 포치를 이용한 영역 간의 일체감을 통한 '확장감'이 부상되며, 폐쇄성 강한 서원내부에서 자연 우월적 외부공간으로 이르는 다양한 출구 또한 자연으로의 확장을 돕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옥산서원에서는 강학과 유식의 호환 및 양립성을 통해 본 '부합성' 등에 기반한 서비스스케이프가 잘 드러난다. 회복관경의 극점은 학문적 존양자인 회재의 자연 유상공간인 사산오대 및 옥산구곡과 관련된 경물 체험을 통해 환기되는 '매혹감'에서 더욱 여실히 나타난다. 이는 강학과 유식이라는 서로 다른 기능공간을 일원적으로 통합하는 내적 질서이자 중요한 회복환경의 가치임을 일깨운다. 특히 옥산서원 주변에 펼쳐져, 회재로부터 정의되고 의미를 부여 받은 사산오대는 성리학적 인식론의 관점에서 자연의 숭고미와 격물치지를 이해하는 매우 유효한 학습환경일 뿐 아니라 주의집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로써, 최적화한 회복환경이 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