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ing Citi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추세에 따른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 (City Shrinking Simulation followed by a Decrease of Population Trend in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 이다건;윤철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127-134
    • /
    • 2019
  • Recently, the city development policies are being switched to the policies focusing on recession worldwide. Even though South Korea is also facing the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downsized because of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problem, there is lack of solutions and even they are still planning city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prospect of high growth. This study is featuring 4 viewpoints depending on shrinking population trend in 7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which are chosen as downsized cities. It is dealing with population peak, current population, 2030 population, and 2040 population viewpoints. And this study uses downsizing simulation that suggests optimum area that fits population and then shows visual check of the status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The area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expanded more than needs when they are on population peak point. However, they need only 20% to 25% of current area in 2030 and 2040.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alizing the seriousness and facing up to the 'shrinking' phenomena that each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uffer.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presenting the status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problems in South Korea.

유연한 스마트 축소도시를 위한 국내·외 도시전략 비교 연구 (A Comparative Case Study on Urban Strategy for Flexible Smart Shrinking City)

  • 최완영;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34-641
    • /
    • 2019
  • 세계 인구는 2019년 현재 77억 명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모든 도시가 성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늘어나는 인구의 대부분은 편의시설, 일자리 문제로 큰 도시로 몰리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중소도시의 인구감소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특정도시에 있어서는 고용감소, 경기침체와 같은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며 전국의 인구가 특별시, 광역시 등으로 몰리고 있는 추세이다. 일찍이 해외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해결하기 위해 오로지 도시의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략이 아닌, 도시의 축소에 대응하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도시들의 인구동태를 파악하고 축소도시로 선정된 도시 사례를 파악하고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같은 맥락에서 해외 사례를 통해 축소도시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선택된 스마트 축소도시의 개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와 해외의 대응 전략상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론에서는 일반적인 스마트 축소도시 전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측, 새로운 대안으로 유연한 스마트 축소도시(FSSC: Flexible Smart Shrinking City) 전략을 제안하여 자원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폐광지역 산업도시의 도시축소양상과 도시공간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석탄산업합리화조치에 따른 폐광지역 축소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Policy for the Industrial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Shrinkage - A Case Study on Shrinking Cities in Abandoned Mining area by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 지은희;한동규;정찬구;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1호
    • /
    • pp.135-144
    • /
    • 2022
  • 이 논문은 폐광지역진흥지구가 지정된 4개의 사례도시를 대상으로 최근 20년간 도시축소 유형을 분석하고 도시축소 실태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공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20년간의 1년 단위 도시축소유형 분석결과, 사례도시 모두 고착형 축소도시로 분석되었으며 최근 40년간 정점인구 대비 30 % 이상의 인구감소를 나타냈다. 공간구조적으로는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시가화면적과 비도시지역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면적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비도시지역의 개발행위허가 및 건축허가도 증가추세에 있어 도시공간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 향후 소멸 고위험단계에 있는 군급 도시에 대한 연구와 도시축소 유형의 세분화 및 유형별 실태분석을 위한 다양한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지역 거점도시 식별 및 상호작용에 따른 영향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hub cities and delineation of their catchment areas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s)

  • 김도형;우명제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5-22
    • /
    • 2018
  • While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has become important for balanced development at the national scale, they have experienced continuous decline in population and employment, particularly those in non-capital regions. In addition, some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have been classified into shrinking cities that have declined due to their long-term structural reasons. To address these issues, a regional approach, by which a hub city and its surrounding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can collaborate has been suggested. Give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lineate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by using travel data as a functional network index. This study uses a centrality index to identify the hub cit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arkov-chain model and cluster analysis to delineate regional boundaries. The mean first passage time (MFPT) generated from the Markov-chain model can be interpreted as functional distance of each region. The study suggests a methodological approach delineating the boundaries of regions incorporating functional relationships of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and provides 59 hub cities and their impact areas. The results als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spatial planning that addresses appropriate planning boundaries of regions for enhancing the economic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ensuring services for shrinking cities.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 김민석;변태근;이상호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33-45
    • /
    • 2019
  • 전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하여 주요 선진국에서는 도시축소문제가 도시정책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가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지역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감소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풍기읍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만 감소하는 단순축소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도시 내에서도 중심지마다 공간변화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다핵구조를 갖는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속철도가 지역 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 -지방소멸 위험과 인구 구조를 중심으로- (Effects of High-Speed Train on Regional Population In-Migration - Focusing on Shrinking City and Demographic Structure -)

  • 김은지;윤희연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91-106
    • /
    • 2024
  • 전 세계적으로 지방소멸 시대에 직면한 여러 국가에서는 지역 접근성 향상과 인구집중 현상 해소를 위해 고속철도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지방소멸 위험 수준을 고려하여, 고속철도의 운영이 한국 지자체의 연령대별 인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로 연령대별 순유입 인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모형으로 패널 공간자기회귀모형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속철도가 지역 인구 유입에 미치는 영향은 지방소멸 위험 수준에 따라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속철도의 운행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에는 인구 유입의 효과를 가져왔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인구 유출을 설명했다. 고속철도는 특히 생산 가능 인구를 대표하는 청장년층 인구 유입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이러한 효과 또한 소멸 위험이 적은 지역에 한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소멸 해소를 위한 고속철도 설치 시 계획인구와 산업의 도입 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지역별 소멸 위험 수준에 따라 인구 구조와 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발생시키는 요인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와 각 지자체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쇠퇴하는 곳은 계속 쇠퇴하고, 번성하는 곳은 계속 번성하는가? - 도시쇠퇴의 관성과 대응 - (Are the cities that have declined continuously declining, and the cities that have prospered getting continuously prosperous? -The inertia of urban decline and countermeasures-)

  • 이영성;조준혁;문주열
    • 지역연구
    • /
    • 제32권1호
    • /
    • pp.51-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국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쇠퇴의 정도와 쇠퇴가 진행되는 과정에 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도시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어떤 방식의 대응방향이 필요한지 고민하였다. 향후 도시가 계속 성장할 것인지 혹은 계속 쇠퇴 할 것인지, 성장세가 둔화되어 쇠퇴할 것인지, 쇠퇴하던 곳이 성장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는지, 각 도시의 전개 방향에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분석기간은 2005년과 2010년이며, 년도 별로 산정된 복합쇠퇴지수에 나타난 도시쇠퇴의 변화, 쇠퇴의 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쇠퇴에 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도시에서는 쇠퇴가 고착화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곳에서는 성장시대 도시계획 수단과 개념을 쇠퇴환경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화 시켜야 한다. 도시쇠퇴를 바라보는 관점을 재정의 하고 쇠퇴로부터 발생하는 물리 환경의 변화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도시의 발전방향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공간정책의 틀도 이를 반영해 마련할 필요가 있다.

Developing A Revitalization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 for Enhancing Land Use Performance of a Shrinking City

  • Yang, Shu;Kim, Jun-Hyun;Sohn, Wonmin;Kotval-K, Zeenat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7-398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Land vacancy is a persistent issue in most urban areas in the United States, yet few case studies have examined how vacant lots are used and the functions they serve in local commun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a new revitalization planning and design proposal for the Durant-Tuuri-Mott (DTM) target area in the shrinking city of Flint, MI, USA, and to assess the final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 through an analysis of vacant land redevelopment alternatives. Methods: For developing a revitalization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 this study developed several design modules with three main design themes. Then, landscape performance of the final design proposals was analyzed by three development scenarios, based on implementation level: 100%, 75%, and 50%. These development scenarios were based on the local context and different implementation budgets needed to adopt the proposed design modules. To generate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by optimizing design module allocation in the study area, this research employed a system-oriented approach, analyzing the existing cultural, natural, and built environments. A community participant process was adopted to collect stakeholders' opinions on future development. Results: By utilizing landscape performance metrics to quantify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developed optimized development scenarios and a master plan for the reuse and redevelopment of existing vacant lots across DTM neighborhoods and analyzed the benefits of each. Conclusion: This research offers a flexible design method for balancing objectives in vacant land redevelopment that can be applied in other shrinking cities.

환동해지역 거점도시에서의 시장성장과 경쟁 및 유통구조: 후쿠오카, 울산 및 옌지의 시장을 중심으로 (Market Growth, Competition, and Distribution Structure in Major Cities of the East Sea Rim)

  • 최영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95-104
    • /
    • 2015
  • Purpose -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rket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Ulsan in South Korea, Fukuoka in Japan, and Yanji in China, which are major East Sea Rim cities with adjacent areas of similar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and the country. Particularly, it considers these aspects while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networks that appear i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at the same time examining the institutions of market activation and regulations that are handled by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hanging logistics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concern of food safety, using a meso-analysis approach.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used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approach with a focus on case studies. It made us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local newspaper articles, reports, literature, interviews with experts, discussions with local merchants, discussions with customers, and so forth. Results - In the case of Fukuoka, from the 1960s, due to the entry of supermarkets, supermarkets expanded and they have now come to a dominant market position in the current market. They offer a convenie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while providing a large mall offering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for customers to meet the customers' needs, such as the preferences of Korean tourists, who appear to prefer Japanese foods. The Fukuoka City Central Wholesale Market has been exporting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seafood products to Korea, China, and so forth. In the case of Ulsan, as in the early 2000s, due to the expansion of supermarkets, the traditional markets have been shrinking and furthe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arkets was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th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In addition to the large discount malls, the expansion of SSM is expected to further drive the small trader bay. Shopping malls, department stores, and traditional markets contend with each other in Yanji, China, but a large number of citizens appear to prefer traditional markets and imported milk in the supermarket after the melamine scandal in China. Recently, the WanYuan (萬源) wholesale market has been partially completed and made an attempt to become a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 Conclusions -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retail industry, it is important to offer the government with proposals regarding desired regula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able the business of traditional markets, it requires an association for cultural tourism. At present, it would be better to provide a venture fund for the youth rather than infrastructure support.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s and policy to develop networks in the East Sea Rim. Future studies should conduct a survey on customers, managers, and merchants more carefully and systematically to understand the market situation whil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city and its evolution of markets, as well as policies and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