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rum lepti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5초

소아 종양 환아의 혈중 Ghrelin과 Leptin의 농도: 정상 소아와 비교 (Serum ghrelin and leptin concentrations in children with cancer : comparisons with normal children)

  • 박소현;정민호;정낙균;서병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9호
    • /
    • pp.905-911
    • /
    • 2007
  • 목 적 : Ghrelin은 위에서 주로 분비되는 펩타이드로,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을 증가시켜 에너지 균형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leptin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어 식욕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통해 체중 및 에너지 대사에 관여한다. 저자들은 소아 종양으로 진단받고 항암 요법중인 환아의 ghrelin과 leptin 농도를 정상아와 비교해 보았다. 방 법 : 2003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강남 성모병원과 성모병원에서 소아 종양을 진단 받고 방사선 조사나 항암 화학요법을 받은 환아들 중 43명(남아 31명, 여아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아군과 성별, 나이, 체중 및 신장이 비슷한 건강한 소아 45명(남아 26명, 여아 19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상아들의 혈중 leptin과 ghrelin 농도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환아군과 대조군에서 BMI와 leptin 농도는 환아군에서 더 높았으며, ghrelin은 대조군에서 더 높았다. 또한 leptin 농도는 환아군(r=0.61, P<0.05)과 대조군(r=0.40, P<0.05) 모두에서 BMI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ghrelin 농도는 정상군에서는 연령, 신장, 체중 및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환아군에서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한편, 방사선요법을 받은 군과 화학요법만을 받은 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에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군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군으로 나누었을 때 ghrelin의 농도가 골수성 백혈병군에서 훨씬 높았다. 결 론 : 소아 종양으로 항암 요법을 받고 있는 환아는 정상아에 비해 BMI가 더 높고, leptin 농도도 더 높았으나, ghrelin 농도는 더 낮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한 시점에서의 단기적이고 단편적인 연구이므로 추후 오랜 기간에 걸친 전향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댄스 스포츠가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ance Sports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nd Leptin in the Middle-Aged Women)

  • 김경숙;서혜림;김세종;이현미;조현숙;전병학;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3
    • /
    • 2004
  • 본 연구는 댄스 스포츠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B광역시 중년여성 24명을 선정하여, 비만실험군 및 통제군 각 8명, 정상실험군 8명으로 분류하여 60∼80%HRmax의 운동강도로, 주 3회, 일 60분의 운동시간으로 댄스스포츠를 실시하여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렙틴을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조성 1) 집단 간 %fat의 변화에서 OG가CG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집단 내 변화에서는 OG와 NG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LBM은 집단 간ㆍ집단 내에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혈중지질 1) T-C와LDL-C는 집단 간ㆍ집단내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집단 간 HDL-C의 변화에서는 OG와 NG가 CG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집 내에서도 OG와 NG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집단 간 TG의 변화에서는 OG와 NG가 CG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집 단 내에서는 OG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CG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렙틴 집단 간 렙틴의 변화에서는 OG와 NG가 CG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집단 내 에서도 OG와 NG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댄스 스포츠는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및 렙틴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렙틴과 HDL-C에 있어서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규칙적인 댄스 스포츠의 적용은 건강의 증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앞으로 중년여 성들의 신체 적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으로서 적극 권장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비만에서 Leptin, Adiponectin 및 Leptin/Adiponectin Ratio와 대사 장애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of Leptin, Adiponectin and Leptin/Adiponectin Ratio with Metabolic Disorders in the Childhood Obesity)

  • 조성종;김은영;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1호
    • /
    • pp.48-57
    • /
    • 2006
  • 목 적: 연구자는 adipocytokine의 일종인 leptin, adiponectin과 leptin/adiponectin 비를 이용하여 비만아에서 신체 계측치와 인슐린, 지질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방문한 BMI 95백분위수 이상인 7~15세 사이의 비만군 25명(남: 20명, 여: 5명)과 정상 체중 아동인 대조군 25명(남: 20명, 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신장, 체중, 팔둘레, 피부주름두께, 체지방률)을 시행하고 공복상태에서 채혈하여 adiponectin, leptin과 혈당, 인슐린,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는 Student t-test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 과: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팔둘레, 삼두박근 피부주름두께 및 견갑골하 피부주름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인슐린 농도($17.9{\pm}15.6{\mu}U/mL$ vs $6.5{\pm}2.7{\mu}U/mL$, p<0.05)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밀도 지질 단백 콜레스테롤($50.0{\pm}12.4mg/dL$ vs $68.9{\pm}15.9mg/dL$, p<0.005)은 유의하게 낮았다. Leptin은 비만군에서 $10.6{\pm}5.1ng/m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01),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2.85{\pm}0.7{\mu}g/mL$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비만군에서 lep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adiponectin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조군에서 leptin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인자가 없었으나, adiponectin은 인슐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4.03{\pm}2.8$ vs $1.53{\pm}0.74$, p<0.01), 비만군에서는 체지방률, leptin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소아비만에서 leptin과 adiponectin은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사장애를 나타내는 인자들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Leptin/adiponectin 비는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비만군뿐만 아니라 대조군에서도 비만지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Prostate Cancer, High Cortisol Levels and Complex Hormonal Interaction

  • Fabre, Bibiana;Grosman, Halina;Gonzalez, Diego;Machulsky, Nahuel Fernandez;Repetto, Esteban M;Mesch, Viviana;Lopez, Miguel Angel;Mazza, Osvaldo;Berg, Gabrie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167-3171
    • /
    • 2016
  • Prostate cancer (PCa)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in men. It is important to assess prognostic factors and whether high cortisol levels and complex hormonal interactions could be responsible for PCa development.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tisol, leptin and estrogens in 141 men, 71 with PCa and the remaining 70 constituting a low risk group (LRG). They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from a total of 2906 middle-aged men (ages 45-70 years) who completed an evaluation for prostatic diseases at the Urology Division, Hospital de Clínicas "$Jos{\acute{e}}$ de San $Mart{\acute{i}}n$", University of Buenos Aires, in May 2009.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cortisol, PSA, total-testosterone, free-testosterone, bioavailable testosterone, LH and estradiol were measured in serum. We observed increased cortisol levels in PCa patients as compared to LRG cases (p=0.004,). Leptin and estradiol levels were also higher in PCa patients (p=0.048; p<0.0001, respective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rum cortisol (OR: 1.110 (95% CI 1.016-1.213), p=0.022), estradiol (OR: 1.044 (95% CI 1.008-1.081), p=0.016) and leptin (OR: 1.248 (95% CI 1.048-1.487), p=0.013) explained 27% of the variance of dependent variables, even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 found increased cortisol levels in PCa patients as compared to LRG, as well as an altered circulating hormonal profile.

감비(減肥) 4호방(號方)이 비만이 유도된 생쥐에 미치는 영향 (The Anti-obesity Effects of Gambi-bang 4(減肥 4號方) on Obesity-induced Mice)

  • 황재필;윤일지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0-46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Gambi-bang 4 (GBB4) on obesity-induced mice. Methods: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high fat diet with control, high fat diet with Reductil, high fat diet with GBB4 extract) and fed for 8 weeks. We observed body weight change, the weight change of the adipocytes in body,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serum leptin level, expression of ${\beta}3AR$ and leptin genes in 3T3-L1 adipocytes and adipose tissue, and histological changes of adipose tissue and liver cells. Results: 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GBB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body weight, weight of adipocytes, and amount of glucose. 2. The GBB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mount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nd HDL-cholesterol compared with the control. 3.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GBB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mount of serum leptin. 4. The GBB4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velation of ${\beta}3AR$ and leptin in 3T3-L1 adipocytes and primary adipose cells compared with the control. 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GBB4 group was smaller in the size of adipocytes in adipose tissue and the adipose vacuoles in liver tissue were decrease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BB4 has inhibitory effects on obesity. GBB4 might be applied in treatment of obesity, so further studies analyzing its effects are needed.

감비(減肥) 3호방(號方)이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로 비만이 유도된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s of Gambibang-3 on the Obese-Mice Induced by High-Fat Diet)

  • 김용걸;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9-93
    • /
    • 2009
  •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bibang-3(here in after referred to GBB3) on the obese gene and obese inhibitory, C57BL/6 mice were induced by high fat diet. Methods :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normal, high fat diet with control, high fat diet with Reductil(here in after referred to RDT), high fat diet with GBB3 extract) and fed for 8 weeks. And observed that, the weight change of the adipocytes in body and liver,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glucose, leptin change in the serum, the expression of ${\beta}3AR$ and leptin gene in 3T3 cell and primary adipocyte cell. Results & conclusion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GBB3 and RDT group showed that the revelation of ${\beta}3AR$ in primary adipose cell and 3T3 cell were increased considerably, and that the revelation of leptin in primary adipose cell and 3T3 cell were decreased considerably. 2. GBB3 and RDT group showed that the weight of adipocyte and liver were not different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3. GBB3 and RDT group showed that the amount of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considerably, the amount of glucose,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considerably. 4. GBB3 group showed that the amount of leptin in the serum were decreased considerably.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쥐의 비만과 혈중 생화학적 지표 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Lycii folium Leaves on Obesity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in High-fat Diet Induced Obese Rats)

  • 최미경;이재순;박원종;김미현;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07-1711
    • /
    • 2009
  • 13주 동안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비만쥐에게 10%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을 1 mL/day로 8주간 경구투여한 후비만도, 혈중 지질, homocysteine, leptin, ghrelin, glucose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구기엽 추출물의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비만도의 경우 일반식이 비만군의 Rohrer index와 Lee index는 FO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M. index는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FLEO 군은 모든 비만지수가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구기엽 추출물이 비만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BO 군의 혈중 중성지질은 FO 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반면,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은 혈청 지질, homocysteine, leptin, ghrelin, glucose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만쥐에서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의 섭취는 혈중 지질이 나 비만관련 생화학적 지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만도를 낮춰 비만치료 효과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뽕잎추출물이 Zucker Rat의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lberry-Leaf Extract on the Body Fat Accumulation in Obese fa/fa Male Zucker Rats)

  • 김순경;김선여;김휘준;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6-52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obesity of obese fa/fa male Zucker rats can be ameliorated by mulberry leav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berry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It also showed decreases on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trol and mulberry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leaves reduce serum lipid levels, but do not effect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 PDF

단삼투여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via miltiorrhiz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e Diabetic Mouse Model)

  • 최선욱;김동훈;최승범;박근희;김용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29-437
    • /
    • 2012
  • Objectives : Obesity is an important cause of diabetes, and lipotoxicity causes insulin resi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lvia miltiorrhiza on high fat diet-induced obese type 2 diabetic mouse models. Methods : Diabetes was induced in ICR male mouse (23~25 g) with Surwit's high fat, high sucrose diet.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n=10) of normal, control, Salvia miltiorrhiza, and metformin. After 8 weeks, body weight, OGTT, fructosamine, lipid profile, serum level of adiponectin and leptin, epididymal fat pad, liver weight and epididymal adipocyte size were measured. Results : Salvia miltiorrhiza significantly reduced oral glucose tolerance levels, fructosamine serum level, epididymal fat weight, and epididymal adipocyte size. Salvia miltiorrhiza also increased HDL-cholesterol, adiponectin and leptin serum level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Salvia miltiorrhiza improves insulin resista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Salvia miltiorrhiza would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고지방식이와 병행 섭취한 뽕잎가루가 흰쥐의 혈중 지질관계 인자와 간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Lipid Profile and Liver Function in Mice Fed a High Fat Diet)

  • 최경순;김용환;신경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1-419
    • /
    • 2016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mulberry leaf powder on blood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of mice fed a high fat diet. The mulberry leaf showed a moisture content of $10.74{\pm}0.56%$, ash $9.67{\pm}0.56%$, crude protein $25.24{\pm}1.02%$, and crude fat $2.66{\pm}0.08%$. In the group with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mulberry leaf powder,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also, serum phospholipid and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Serum insulin and leptin levels were high in mice fed a high fat diet; however, addition of mulberry leaf powder 10% in the die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lood insulin and leptin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plant sterols in mulberry leaf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ICR-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