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 positioning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21초

이미지 센서 및 가시광 통신 기반 위치 추정 기술 (Localization Techniques Based on Image Sensor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Le, Nam-Tuan;Ifthekhar, Md. Shareef;Mondal, Ratan Kumar;Jang, Yeong Mi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37-41
    • /
    • 2016
  • Localization is one of the key issues of demandable applications, especially smart services. Beside the traditional GPS based localization technique, the localization issue by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is promising market because of possibility of combin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with positioning technique for a high accurate, especially indoor localization service. This paper provides the overview and new image sensor scheme for localization issue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he survey is introduced from core techniques to enhancement issues of localization. We hope these will be the essential references for the impact selection method in implementation and standardization issues.

자이로 도플러 센서와 USBL을 통한 수중체 위치추적 알고리즘개발 (Development of Underwater Vehicle Position Tracking Algorithm by using a Gyro-Doppler Sensor and Ultra Short Base Line)

  • 김덕진;박동원;박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973-197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IMU(Inertial Motion Unit), DVL(Doppler Velocity Log), USBL(Ultra Short Base Line)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융합하여 ROV(Remotely Operated Vehicle)와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와 같은 수중체의 위치를 지구 전체영역에서 추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 소개된 알고리즘은 6,000m급 과학 조사용 심해무인잠수정인 해미래[1]의 수중 위치추적에 사용될 예정이다.

Compensation Method of Position Signal Error with Misaligned Hall-Effect Sensors of BLDC Motor

  • Park, Joon Sung;Choi, Jun-Hyuk;Lee, Ju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889-897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approach for compensating rotor position signal displacement in brushless DC (BLDC) motors with misaligned hall-effect sensors. Typically, the hall-effect sensors in BLDC motors are located in each phase and positioned exactly 120 electrical degrees apart. However, limitations in mechanical tolerances make it difficult to place hall-effect sensors at the correct location. In this paper, a position error compensator to counteract the hall-effect sensor positioning error is proposed. The proposed position error compensator uses least squares error analysis to adjust the relative position error and back-EMF information to reduce the absolute offset error.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is verifi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무선 환경의 위치 정보 오차 개선을 위한 스마트폰 센서 기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Smart Phone Sensor-Based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Improving the Location Error of the Radio Environment)

  • 이대영;강영흥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4-7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실내 위치 추적의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AP (access point)의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미약한 지점에서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정보를 검출하여 실내 위치 추적 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의 보행 중 활동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폭과 이동 거리를 검출할 수 있고, 방향 센서는 디지털 나침반으로써 활용되어 사용자의 이동 방향을 검출한다. 실험을 통해 센서를 이용한 보행 정보 검출 결과 걸음 수와 이동방향 검출에 대해 정확도를 높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장비와 비용 없이 센서와 RSSI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방향과 거리를 추정하고 기존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IS기반 무선 센서노드 배치에서 경로손실을 고려한 위치 보정 방법 (A Position Revision Method by Path-Loss Factor in GIS based Wireless Sensor Node Deployments)

  • 배명남;권혁종;강진아;이인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111-121
    • /
    • 2011
  • 본 논문은 GIS를 기반으로 도시 무선 통신환경에서 지형 공간 요소를 활용하고, 전파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 간섭 요인을 고려한 무선 센서노드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경기도 고양시 일산의 주요 도로에서 전파 손실 실험을 수행하고, 얻어진 실험 결과는 지리정보 시스템으로 부터 추출 가능한 주변 환경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이의 활용을 통해 무선 센서노드의 무선 커버리지 결정 및 배치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세부 동작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 결과, 전파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건물이나 도로의 선형 구조의 반영을 통해, 5dB 이하의 오류 수준으로 경로손실을 평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센서노드 배치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동작센싱 스마트레깅스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ing a Prototype of Motion-sensing Smart Leggings)

  • 황진희;지승현;김선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4-706
    • /
    • 2022
  • This study focusses on the development of a motion-sensing smart leggings prototype with the help of a module that monitors motion using a fiber-type stretch sensor. Additionally, it acquires data on Electrocardiogram (ECG), respiration, and body temperature signal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used in online exercise coaching and customized healthcare systems.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 Fabrication of a fiber-type elastic strain sensor for motion monitoring, 2) Positioning and attaching the sensor, 3) Pattern development and three-dimensional (3D) design, 4) Prototyping 5) Wearability test, and 6) Expert evaluation. The 3D design method was used to develop an aesthetic design, and for sensing accurate signal acquisition functions, wearability tests, and expert evaluation. As a result, first, the selection or manufacturing of an appropriate sensor for the function is of utmost importance. Second, the selection and attachment method of a location that can maximize the function of the sensor without interfering with any activity should be studied. Third, the signal line selection and connec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and fourth, the aesthetic design should be reflected along with functional verification.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material is important, and tests for washability and durability must be made. This study presented a manufacturing method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design of smart clothing,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prototype of motion-sensing smart leggings.

포텐셜 필드 기법을 이용한 무인차량의 자율항법 개발 (Navigation Technique of Unmanned Vehicle Using Potential Field Method)

  • 이상원;문영근;김성현;이민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8-15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real-time navigation algorithm which integrates the artificial potential field (APF) for an unmanned vehicle in the unknown environment. This approach uses repulsive potential function around the obstacles to force the vehicle away and an attractive potential function around the goal to attract the vehicle. In this research, laser range finder is used as range sensor. An obstacle detected by the sensor creates repulsive vector.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DGPS) and digital compass are used to measure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nd orientation. The measured vehicle position is also used to create attractive vector.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cept of potential field based navigation which controls unmanned vehicle's speed and steering. The magnitude of repulsive force based on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not to be over the magnitude of attractive force while the magnitude is increased linearly as being closer to obstacle. Consequently, the vehicle experiences a generalized force toward the negative gradient of the total potential. This force drives the vehicle downhill towards its goal configuration until the vehicle reaches minimum potential and it stop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F for unmanned vehicle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

GPS/INS 센서 자료를 이용한 도로 평면선형인식 알고리즘 개발 (Algorithm for Identifying Highway Horizontal Alignment using GPS/INS Sensor Data)

  • 정은비;주신혜;오철;윤덕근;박재홍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75-185
    • /
    • 2011
  • 도로기하구조정보는 도로의 안전성평가 및 도로의 유지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센서가 탑재된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기하구조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차량의 자세정보 중 평면선형과 관련된 Roll, Heading 자료를 이용하여 직선, 원곡선, 완화곡선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면선형 인식 이전에 전처리 과정으로 이동평균법을 통하여 자료를 평활화함으로써 원시자료의 이상치를 제거하여 평면선형 인식의 신뢰성을 제고하였다. 유전알고리즘(GA,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분류정확도(CCR, Correct Classification Rate)를 최대로 하는 알고리즘 파라미터를 설정한 결과 100%의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고속도로와 국도 주행자료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평가한 결과 90.48%와 88.24%의 분류정확도를 보여, 제안된 평면선형인식 알고리즘은 현장에서 적용 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정보를 제공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면선형인식 알고리즘은 조사차량에 GPS/INS센서의 소프트웨어로 탑재되어 도로 및 교통기술자에게 도로기하구조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NSS Airborne Multipath Error Modeling Under UAV Platform and Operating Environment

  • Kim, Minchan;Kim, Kiwan;Lee, Dong-Kyeong;Lee, Jiy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4권1호
    • /
    • pp.1-7
    • /
    • 2015
  • In the case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quipped with a GNSS sensor, a boundary line where the vehicle can actually exist can be calculated using a navigation error model, and safe navigation (e.g., precise landing and collision prevention) can be supported based on this boundary line. Therefore, for the safe operation of UAV, a model for the position error of UAV needs to be established in advance. In this study, the multipath error of a GNSS sensor installed at UAV was modeled through a flight test, and this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error model of an existing manned aircraft. The flight test was conducted based on a scenario in which UAV performs hovering at an altitude of 40 m, and it was found that the multipath error value was well bound by the error model of an existing manned aircraf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rror model of an existing manned aircraft can be used in operation environments similar to the scenario for the flight test. Also, in this study, a scenario for the operation of multiple UAVs was conside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path errors of the UAVs was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path errors of the UAVs was not large, indicating that the multipath errors of the UAVs cannot be canceled out.

MEMS INS 기반 건설현장작업자의 3D 위치결정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MEMS INS Based 3D Positioning Technologies for Workers in Construction Field)

  • 장용구;김현수;도승복;전흥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1-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압 센서의 특성과 기존의 차분 기법을 결합하여 임의의 건설현장에서 작업자의 절대고도를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이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물은 실제 건설 현장에서 작업자의 3D좌표 추출에 적용하기 위한 실용 기술로 개발된 것으로써 스마트폰에 내장된 각종 MEMS 센서들의 사양과 특징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실내외에서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를 각종 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제 스마트폰으로부터 센서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PC인터페이스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방안 등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