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e of Cubic Effect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Depth perception enhancement based on chromostereopsis in a 3D display

  • Hong, JiYoung;Lee, HoYoung;Park, DuSik;Kim, ChangYeong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13권3호
    • /
    • pp.101-10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cubic effect by representing an image with a sense of three-dimensional (3D) depth, using chromostereopsi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perception. An algorithm that enhances the cubic effect,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cubic effect of the chromostereoptic effect and the chromostereoptic reversal effect depends on the lightness of the background, classifies the layers of the 3D image input into the foreground, middle, and background layers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image input. I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perception because it controls the color factor that was adaptively detected through experiments on each layer; and it can achieve an enhanced cubic effect that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put.

건축공간(建築空間) 구성(構成)에 있어서 시각적(視覺的) 깊이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sual Depth In Aspect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Architecture)

  • 백민석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8
    • /
    • 2003
  • Perceiving the depth of space i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architecture is perceiving spaces as well three dimensions as the fourth dimensions -perceive the time-. Physical depth in architectural space differs from perceptional depth in aspects of not only dimension but also perceptional effect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al depth is defined as visual depth and physical depth is depth of space.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are classifying the perceptional effects of visual depth -visual access, sense of variety, dynamic and cubic effect... - and the methods of spatial composition which causes visual depth in architectural space.

  • PDF

피카소의 입체주의적 작품에 나타난 무용의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nce Costume in Picasso's Cubic Works)

  • 정옥임;김경희
    • 복식
    • /
    • 제52권3호
    • /
    • pp.49-60
    • /
    • 2002
  • This study is to study the peculiar world of work that endeavored the stage setting and costume production in Ballet-russe centered around one of 20th representative artist Pablo Picasso and Diaghilev. Picasso worked four pieces ballets such as parade, Le Tricorne, Puchnella, and Le train bleu with Diaghilev. The originality of costume was well represented without losing the whole work's sense of unity. and designed foreasy movement as well as visual effect. As cubic is most common in parade especially, cubic stave costume were introduced at dancing costume of Paris manager and New York manager flrst time in Ballet's history. Picasso used the Cubism for dancer's beautiful appearance and primary color and decoration for oriental feeling. Picasso pursued the beauty and action at the same tome, and tried to represent the stage setting, impersonation and costume towards units, so the Importance of his work has still been referring.

중년여성을 위한 고부가가치 니트 조직 개발 (Development of a High Value Added Knit Structure for Middle-aged Women)

  • 이인숙;김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148-16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y about the necessary structure for knitwear design, and to propose it with the practical data through the actual development of a high value added knit structure. For this study, the market was conducted along with literature reviews on the existing studies and the relevant books about knit structures. The market research aimed at the products released in the spring/summer and fall/winter seasons of 2012-2013, focusing on brand for middle aged women. The utilization of the structure by i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knit design were studi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S/S products in May and July, and F/W products in October and December. As a result of the market research, it was shown that the lightweight structures with permeability such as plain, lace, links and links, this is repeated and rib structure were frequently utilized during the S/S season, while double structures with good shape stability were greatly utilized during the F/W season. Also, during the F/W season, a cable structure and tubular jacquard that emphasized the volume or cubic effect were frequently used, and there were many jacquard structures where a change of color sense and motive were added. Concerning the knit structures development, the researcher designed the knit structure at the actual production site of the knit fashion. A total of 5 pieces of knit structures were developed by asking a professional for programming and knitting. To the developed structures, the study added a multi-gauged effect, herringbone transformation effect, 3-dimensional surface effect, color effects, geometric patterns, lace penetration effect, and soft surface effect in a water-drop shape. In addition, the structures had differences in the added values by mixing various structures and diversely expressing color sense on the knitting line.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for 21st century knitwear product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high value added knit structure.

수치사진측량 기반 3차원영상생성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3D Image Generation by Digital Photogrammetry)

  • 강준묵;엄대용;임영빈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3
  • The 3D Image which embodies real object to 3D space of computer enables various geometrical analysis as well as visualization of complex 3D shape by giving sense for the real and cubic effect that can not be offered in 2D image. Human gives real object to same physical properties in 3D space imagination world of computer,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enables offering of various information by user strengthening interface between human-computer to observe object in real condition. In this study, formal style routine of 3D image creation applying digital photogrammetry was designed for more practical, highly trusty 3D image creation, and the system was emboded using object-oriented technique which strengthen user interface. Also, the discontinuity information about rock slope using 3D image is acquired that is orientation, persistence, spacing and aperture etc.

  • PDF

중심시점 일치 알고리즘 기반 원격제어 굴삭기의 파노라믹 입체 모니터링 시스템 (Panoramic-Stereopic Monitoring System for Tele-Operating Excavator by Using Center-viewpoint Corresponding Algorithm)

  • 김봉석;박창우;전세웅;이종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4-77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which can display panoramic-stereopic image for tele-operating excavator. the system was implemented by using center-viewpoint corresponding algorithm and image mosaic process. We could obtain remarkable result from the survey among the ex-pert of excavator. We also design a control station with RF transfer module, H.264 codec module and suggested algorithm. Especially, our system shows a superb performance on cubic effect and presence sense of a field of excavating work.

  • PDF

영역별 데이터 추출에의한 효과적인 그림자 표현 (Shadow Generation By Extracted Point data on Subregion)

  • 고찬;강정호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17-226
    • /
    • 2002
  • 3차원 공간에 물체를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물체를 사실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원근감, 입체감, 물체의 재질, 그림자, 빛의 세기 등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 중 그림자는 물체의 사실적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림자를 그리기 위한 방법에는 반복적인 수많은 연산을 해야하고 이것은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한다. 즉 수많은 점들에 대한 그림자 영역 판단과 빛의 세기 판단 등을 해야하고 이것으로 인해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그림자를 영역별로 분리해 빠르게 계산하여 표현해 주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깊이정보를 활용한 입체 편집 프로세스 연구 (The study of stereoscopic editing process with applying depth information)

  • 백광호;김민서;한명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25-233
    • /
    • 2012
  • <아바타>이후 3D 입체영상은 차세대 콘텐츠 산업의 블루칩으로 떠올라있다. 그에 반해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제작하였던 모든 입체 콘텐츠들이 흥행에 실패 하였다. 이는 국내 입체콘텐츠의 완성도가 해외의 콘텐츠에 비하여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며, 현행되고 있는 2D기반의 입체 후반작업 프로세스가 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입체 편집프로세스는 콘텐츠의 질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화<나탈리>의 제작사례를 통해 알아본 현행 입체 편집프로세스는 2D기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편집을 진행한 후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확인하며 이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고자 좌 우 영상의 분석을 통해 합성에서 사용되고 있는 변위지도와 깊이지도 등의 깊이정보를 시각화 하여 현행 입체 편집 프로세스에 적용하였으며, 보다 객관성 있는 입체편집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프로세스를 실제 뮤직드라마 <기억의 조각>제작에 활용하여 영화<나탈리>와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나탈리>의 경우 컷과 컷 사이의 입체 값 변화가 매우 큰 것을 볼 수 있었으나 <기억의 조각>의 경우 입체 값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현행 프로세스의 경우 주관적인 입체감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컨디션과 상태에 따라 그 값이 달라 질수 있다. 또한 Positive영역에 대한 예상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일한 공간 혹은 한정된 공간에서 컷에 따라 각기 다른 입체 값을 보임으로써 공간의 입체감을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 반면 깊이정보의 시각화를 활용한 객관적인 입체 편집은 동일한 공간에 대한 입체감과 콘텐츠 전체의 입체감을 균일하게 맞추어 입체 콘텐츠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 입체감 왜곡, 시각적 피로 등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

  • 민경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127-142
    • /
    • 2005
  • Study of Animation 3-Dimensional Motion Picture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수백만의 인구가 영상을 접하고 있다. 영상은 움직이는 형상을 시각화 하는 것에서 지식, 정보 전달의 매체로서 자리 매김 하였다. 과학의 발전은 온라인(Online)시대를 열어주었고 온라인 시대의 정보습득은 지속적으로 고속화 되어, 과량의 정보 속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관객들을 함께 가속화 시키고 있다. 선택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인 전달 방법은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맞게 변화하게 된다. 다량의 정보 속에서 순간의 선택을 받기 위한 일한으로, 1차적인 요건은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이며, 그에 상응하는 만족감을 선사하는 것이다. 영상의 초기는 실제로 자신이 보고 있는 상황을 그대로 옮기고자 하는 욕구에서 출발한 것이다. 정지화면에서 만족하지 못한 인간은 움직이는 화면(Film)을 개발하였고 양안의 시점의 차이와 광선의 자극 반응을 감안한 실제 인지하는 시점보다 더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영상을 가늠 해내는 연구를 하게 된다. 이는 컬러 필름(Color Film)에서 입체영상 개발까지 놀라운 성과를 누리게 된다. 인간의 가시적인 면에 대한 욕망의 추구 즉, 극대화된 실재감(Reality) 있는 볼거리 추구는 영상이 포함되는 모든 분야에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지금 수백만의 인구가 보편적으로 보고 있는 영상들은 평면적이다. 화면의 깊이 감(Depth)과 착시현상(Optical Illusion)은 효과적으로 현실감을 주며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인간의 양안 시점차이로 인식하는 입체감은 평면속에서 만들어 내는 깊이 감으로는 현실감 있게 인식하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만족시킬 입체 영상) 입체영상은 영화에서 시작되었으나, 20c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애니메이션 분야와 모바일, 광고 패널, 텔레비전등의 매체를 이용한 입체 영상의 개발로 인하여 특정 분야에 한정 시킬 수 없으므로 영상으로 칭한다. 입체 영상은 21c에 들어서면서 영상매체의 한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1900년 무렵부터 연구된 입체영화(3-Dimensional motion Picture)는 In여 년이 지난 지금 대중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놀이 동산이나 박물관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HDW등의 대중화로 화질의 발전을 이룬 텔레비전 분야 등에서 실용화 될 전망이다. 국제적인 흐름과 함께 국내에서도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영상산업의 한 주류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Contents)의 개발은 기술적인 진보에 발맞추어 준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인 계보에 발맞춘 영상 콘텐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앞으로의 발전분야에 대한 기술적인 면과 기법적인 면을 제시하여 기술만 앞서고 내용은 수입하는 수입국이기 보다는 미리 준비하여 비전문가나 타국의 기술에 선점 당하지 않는 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진보적인 영상 인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를 독려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