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College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중국,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노인의 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the Health Status Between Korean Seniors and Overseas Korean Seniors in China and Japan)

  • 조미경;이옥철;신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079-20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국 및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 및 한국에서 출생 한 후 중국과 일본으로 이주한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노인 231명, 일본노인 126명, 중국노인 246명으로 총 60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4.4세였다. 한국, 중국, 노인의 건강상태는 한국 노인이 중국과 일본 노인에 비해서 건강상태의 평균점수가 높았다. 노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으로는 연령, 성별, 결혼상태, 종교, 교육정도, 용돈, 흡연과 음주, 수면시간 및 건강관리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거주하는 노인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노인의 건강증진 방안 모델 제시에는 노인들의 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 지역 경로대학 노인의 외로움과 영적 요구 (Loneliness and Spiritual Needs of the Senior School Elderly in a Certain Area)

  • 김주옥;류언나;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21-1727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노인의 외로움 정도와 영적 요구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심리적인 건강과 영적 건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영적 돌봄의 필요성을 재확인하여 간호사의 역할 확대 및 노인전문간호사 역할 확립에 기여함은 물론 도시지역 경로대학의 건강 관련 교육프로그램 또는 영적 돌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K구에 거주하면서 S교회 경로대학에 다니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본 연구에 동참하기를 수락한 노인 159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외로움 정도는 평균 2.02점(4점 만점)이었으며, 영적 요구는 평균 4.51점(5점 만점)으로 조사되었고 사랑과 유대감 영역이 가장 높았다(4.66). 외로움과 영적 요구는 역 상관관계가 있어서(r=-.31, p<.001) 외로움이 클수록 영적 요구도는 낮았고 종교 예식에 참여하는 경우(p=0.032), 80세 이상 생활보조금을 받는 여성의 영적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외로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영적 간호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f Core Nursing Competence by Senior Nursing Students)

  • 정영순;임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4-82
    • /
    • 2021
  •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울산광역시 소재 C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 4학년 학생 178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과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7.75, p<.001), 전공만족도(��=0.44, p<.001), 비판적사고(��=0.29, p=.003), 전문직관(��=0.22, p=.009), 셀프리더십(��=0.17, p<.001)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핵심간호역량에 대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23.4%이었다. 따라서 졸업 학년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포토보이스를 통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해소방안 파악 (Identifying Stress and its Solutions in Nursing Students Using Photovoice)

  • 김현선;최은희;김지연;정애리;이지혜;정진하;정지연;이재은;장민경;이희수;박진오;정재은;진소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0-51
    • /
    • 2023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ess levels and their solutions in MZ(Millennials + generation Z) nursing students by using photovoice through the medium of photograph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2 among freshmen to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major universi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telephone, email, and social media. Originally, four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each year of nursing school, but it resulted in a total of 19 participants: three freshmen students, nine sophomore students, four junior students, and three senior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pictures of things in their surroundings that bothered them and things that helped them overcome the bothering things and to have group discussions in groups of 4-5 to analyze the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mes: 'Difficulties and worries as a nursing student', 'Striving to go beyond yourself', 'Unhealthy factors', 'Ways to relieve stress', and 'Meaning of stress'. For each of the themes, there were five subcategories under 'difficulties and worries as a nursing student', four under 'fighting with oneself', seven under 'ways to relieve stress', five under 'unhealthy factors', and two under 'meaning of stress', resulting in 21 subcategor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there is a need to educate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unhealthy behaviors and how to deal with stress in a healthy wa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grams that allow student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울주군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지 및 수준에 관한 조사 (A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Status of the Elderly in Ulju-gun)

  • 이정화;성미경;강현경;조갑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1-28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구강건강 인지 및 수준을 파악하고자 만 60세 이상 노인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직접 면접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 방법은 남자의 경우 횡마법, 여자의 경우 회전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60~69세에서는 회전법 68.1%, 70세 이상에서는 횡마법 8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 < 0.001). 2. 성별 치과방문 실태는 60~69세에서 이가 아플 때 내원한다가 49.1%로 높았고, 70세 이상에서 1년에 한번 내원한다가 47.9%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구강 내 보철장착 필요성 인식여부는 여자가 75.4%로 남자보다 높았고, 60~69세에서 74.1%로 70세 이상 보다 60~69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학력별 구강 내 보철장착 필요성 인식여부는 무학 77.2%, 초등학교 졸업이상에서 57.0%로 무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4. 현재 의치사용 유무는 남자가 92.6%로 여자보다 의치 사용율이 더 높았고, 60~69세에서 62.9%, 70세 이상에서 85.0%로 연령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01). 5. 의치 관리 실태는 세척 후 찬물에 보관한다가 여자가 9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 < 0.001), 연령별, 학력별 의치사용 유무는 세척 후 찬물에 보관한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

한국 노인의 DMFS, DMFT 지수와 FS-T 지수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DMFS, DMFT and FS-T Indexes in the Korean Elderly)

  • 신명숙;원영순;권미영;김윤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1-257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한국 노인 1,356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보건인식 및 행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강보건지수인 DMFS, DMFT, FS-T 지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노인의 평균 DMFS 지수는 26.62면, DMFT 지수는 6.76개, FS-T 지수는 21.51개였다. 2. 한국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교육수준에서는 DMFS(p<0.05)와 FS-T(p<0.001) 지수에서, 경제활동상태에서는 DMFT(p<0.01), DMFS와 FS-T(0.001) 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한국 노인의 구강보건인식(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 치과진료 필요여부, 구강건강 염려수준, 씹기 문제)과 DMFS, DMFT, FS-T 지수와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한국 노인 구강보건행태 중 1년간 구강검진 여부에서 DMFT(p<0.01), DMFS와 FS-T(p<0.001) 지수에서, 어제 하루 칫솔질 횟수에서는 DMFT와 FST(p<0.01), DMFS(p<0.001) 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치과병의원 방문 시기에서는 FS-T(p<0.01) 지수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아로마 롤온 흡입법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통증, 우울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roma Roll-on Inhalation Method on Stress, Pain, Depression and Blood Pressure in the Elderly in a Senior Citizen Clubs )

  • 한은경;조수아;박가을;김지은;이수연;최은경;채연주;오은빈;김조현;이하영;양지우;정영주;박수아;권진아;김민정;최은서;양주언;조가은;양지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23
    • /
    • 2023
  • 본 연구는 아로마 롤온 흡입법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통증, 우울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위치한 경로당 2곳에 등록된 노인 가운데 선정기준에 부합한 33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 14일부터 2022년 12월 19일까지 시행하였다. 아로마 롤온 흡입 전후에 경로당에 직접 방문하여 혈압 측정 후 자가설문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통증, 우울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에게 적용한 에센셜 오일은 마조람, 제라늄, 페페민트, 오렌지 스위트를 캐리어 오일인 호호바오일에 희석한 것으로 하였다. 중재는 4주 동안 1일 3회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로마 롤온 흡입법은 대상자의 스트레스(t=2.63, p=.013), 통증(t=2.46, p=.019), 수축기 혈압(t=3.01,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아로마 롤온 흡입법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스트레스 감소 및 통증 완화, 혈압 관리에 유용한 간호중재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멘토링이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of college life adapting in freshman students)

  • 이선명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98-1008
    • /
    • 2017
  • Purpose. The effect of mentoring program on the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occupational therapy freshmen. Method. Pre-post-test design was performed, and 20 experimental group were selected. Six students in the senior grade of occupational therapy, who can serve as a mentor to experimental groups, were selected from March 28, 2017 to April 26, 2017 conducted a mentoring program. They used BDI, SACQ, Interpersonal relation 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Conclusion. The mentor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in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freshman.

간호대학생의 건강관련생활양식과 건강상태와의 관계 - 일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of Student Nurses)

  • 조현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93-50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220 student nurses who were selected from G College, Incheon, Korea.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Results: First year student nurse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health related lifestyle than senior students. But the social health status of senior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rst year students. Social health status was shown to be high for the students who had never been ill, who lived in their own house, and whose economic status was at the median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health status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Conclusion: Health related lifestyl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health. Also health conception, disease experience and economic status are related to physical, social health, and where the student lives has an effect on health related lifestyle.

  • PDF

일부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f Elderly Depression in Rural Areas)

  • 노국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4-116
    • /
    • 1998
  • The paper was studied those aged of 65 years or over who were attending 11 senior citizen's centers and 4 nursing home centers for the aged during the day in Junla-buk d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by using the 20 part Zung's self-rating interview schedu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ized using an SAS program. Data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 percent, average, S.D, ANOVA, T-test, Person's simpl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depression was 45.54 out of a total of 80 and the mean depression scale was 2.28 on a Likert scale. Those over a 50 degree depression rate was 37.7%. 2.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depression when monthly pocket money increased. 3.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degree when they think their health is good and they have no chronic disease. 4.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degree wh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reased, r= -0.537 and p=0.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degree whe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creased, r= -0.752 and p=0.0001. 5.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degree when social activities increased, in meeting a relatives and attending a senior citizen's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