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izure-free period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급성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중독환자에서 혈중 Neuron specific enolase 수치와 경련발생 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Serum Neuron Specific Enolase Level and Seizure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 안교진;이윤석;차용성;김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6
    • /
    • 2018
  • Purpos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can cause seizures, even after a symptom-free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neuron specific enolase (NSE) level and the occurrence of seizures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data from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016 and June 2016. Serum NSE was measured within 2 hours of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seizure group and a non-seizure group. Results: The seizure group included eight of the 15 total patients (53.3%). The serum NS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izure group than in the non-seizure group ($32.4{\pm}11.9ng/mL$ vs. $19.5{\pm}5ng/mL$, p=0.019). The amount of glufosinate ingested and initial and peak serum ammoni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izure group than in the non-seizur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serum NSE level or the initial and peak serum ammonia levels in terms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eizures. Conclusion: In acute glufosinate poisoning, initial serum NSE levels may help in prediction of seizures.

Effect of Vagus Nerve Stimulation in Post-Traumatic Epilepsy and Failed Epilepsy Surgery : Preliminary Report

  • Lee, Hai-Ong;Koh, Eun-Jeong;Oh, Young-Min;Park, Seung-Soo;Kwon, Ki-Hun;Choi, Ha-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4호
    • /
    • pp.196-198
    • /
    • 2008
  • Objective : Vagus nerve stimulation (VNS) has been used in epilepsy patients refractory to standard medical treatments and unsuitable candidates for resective or disconnective surge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VNS to patients who had refractory result to epilepsy surgery and patients with post-traumatic epilepsy. Methods : We analyzed the effect of VNS in 11 patients who had undergone previous epilepsy surgery and patients with intractable post-traumatic epilepsy associated with brain injury. All patients underwent VNS implantation between October 2005 and December 2006. Results : We evaluated seizure frequency before and after implantation of VNS and maximum follow up period was 24 months. In the first 6 months, 11 patients showed an average of 74.3% seizure reduction. After 12 months, 10 patients showed 85.2% seizure reduction. Eighteen months after implantation, 9 patients showed 92.4% seizure reduction and 7 patients showed 97.2% seizure reduction after 24 months. Six patients were seizure-free at this tim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VNS is a helpful treatment modality in patients with surgically refractory epilepsy and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epilepsy due to severe brain injury.

복잡한 사고에 의해 유발되는 간질발작 2예 (Two Patients with Epilepsy Induced by Complex Thinking)

  • 김재문;이경목;손은희;정기영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27-30
    • /
    • 2000
  • Reflex epilepsies are distinct but not clearly understood clinical entity. Various cerebral activities induced by simple stimulation including visual, auditory, somatosensory stimulation, as well as diverse functional tasks such as reading, calculation, complex thinking are believed to be seizure-inducing factors. We experienced two patients whose seizures were readily precipitated by complex, strenuous thinking. Both patients was teen-aged boy at the onset of seizure(13, and 15 years of age each) with normal physical and mental growth. Although first seizure was precipitated by watching TV and playing puzzles in each patient, initial diagnosis was 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possibly juvenile myoclonic epilepsy( JME). For the first few years, seizures were infrequent but mostly precipitated by the tasks needs concentration such as playing computer games, decision-making, mathematics, reading, or during the examination. EEG revealed various thinking process including reading hard books, drawing complex figure, complex calculation induced epileptic discharges even if it usually needs certain period of concentration. Phenytoin, valproic acid, clonazepam, vigabatrin, and lamotrigine sometimes abated their seizures but none of these made them seizure-free. Complex reflex epilepsy induced by thinking was proposed to be a separate type of epilepsy or a variant of JME. Age, sex, stereotypic seizure-inducing factors, clinical course, and refractory epilepsies in these patients highly suggested this type of epilepsy as a variant of JME but its refractoriness and unique provocation still needs more speculation.

  • PDF

항전간제로 조절된 간질 환아에서 약물 중지 후 추적 관찰 - 재발위험인자 (A Follow-Up Study after Discontinuation of Antiepileptic Drug Therapy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Epilepsy :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currence)

  • 정사준;정혜전;최영미;조의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59-1570
    • /
    • 2002
  • 목 적 : 간질 치료에 있어서 치료 중 무 발작 기간이 장기간 지속되는 환자에서 항전간제를 언제까지 투여할 것인가에 대한 답은 아직 확실히 제시된 바없다. 따라서 무 발작기간이 지속되는 환자들에서 항전간제 투여 중지 후 재발에 관계된 위험인자를 분석-평가함으로서 항전간제 중지시기에 대한 안내 지침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3년부터 1998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간질로 진단받고 항전간제 투여 후 최소 2년 동안 무 발작으로 조절되어 약물투여가 중지된 환아 169명(남자 102명, 여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질의 진단은 임상 병력, 신경학적 및 이학적 소견, 검사실 소견과 발작 간기에 기록한 뇌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뇌의 구조병변의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두부 전산화 촬영이나 자기공명상을 실시하였다. 재발 위험 인자는 성별, 초 발작 연령, 간질 가족력, 열성 경련의 병력, 간질의 원인, 발작형, 치료 전 발작 횟수, 신경학적 이상 여부, 발작 발생부터 치료 시작까지의 기간, 항전간제 사용에서 최종 발작까지의 기간, 총 약물 치료 기간, 약물 치료 중 재발여부, 항전간제 치료 중지 직전의 뇌파, 항전간제의 수, 항전간제 중지 시 연령, 무 발작 기간, 등 총 16가지를 선정하여 Kaplan-Meier 생존 분석에 의한 단 인자분석(전체, 특발성, 증후성)과 Cox-regression 모형에 의한 다 인자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169명 중 재발한 경우가 49명(28.9%)에서 나타났으며, 항전간제 치료기간은 평균 4.1년(2-13년)이었고 항전간제 치료 중지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1년, 무 발작 기간은 평균 3.3년(2-5년)이었다. 각 위험인자에 따른 단 인자 분석에서 초 발작 연령이 1세 미만인 경우, 간질의 원인이 증후성, 발작형이 영아연축 및 레녹스 증후군>부분 발작군>전신 발작군=롤락딕 발작군 순으로 재발률이 높았다. 또한 신경학적 이상을 보인 군과 발작 조절기간이 0인 경우보다 2년 이상인 군과 조절에 사용한 약물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약물 중지 시 연령이 6세 이하인 군과 무 발작 기간이 2년>3-4년>4년 이상인 순으로 재발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항전간제로 치료 시작 후 2년을 초과한 기간동안 무 발작이 계속되고 있는 6세 이상의 간질 환아에서는, 발작초발 연령이나 발작형, 사용하고 있는 항전간제의 수, 치료 시작 후 발작조절에 걸린 기간, 총 치료기간, 발작의 원인, 신경학적 이상 여부 등을 고려하여, 또 항전간제를 끊고자 하는 환아나 보호자의 의지 등에 따라 항전간제의 중단을 고려하여야 한다.

배뇨 유발 반사 발작 : 소아에서 발작시 뇌파를 시행한 1예 (Reflex seizures induced by micturition : A pediatric case and ictal EEG finding)

  • 노영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46-1349
    • /
    • 2008
  • 배뇨 유발 반사발작은 매우 드물며, 문헌상에서 단지 8례가 보고되었으며, 발작기 뇌파로 진단한 예는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다. 7세 남아가 이차전신화 부분발작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발작은 단지 배뇨 수초 후에 시작되었으며 손의 자동증과 함께 비틀거리며 쓰러지면서 의식소실과 함께 이차적으로 전신 강직 발작을 하였다. 발작기 뇌파에서 왼측 전두부와 측두부에서 다극서파가 보이다가 오른쪽 전두부와 측두부로 퍼져나가는 소견을 보여 배뇨 유발성 이차 전신화 부분발작으로 진단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해면상 혈관종의 자연 경과와 치료 전략 (Cavernous Angioma : Natural History and Management Strategies)

  • 임효주;권양;안재성;김정훈;김창진;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01-1007
    • /
    • 2000
  • Objective : We analysed diverse clinical features of the cavernous angioma. Also, we report the experience in differ-ent methods of the management and their results. Method : Data from 80 patients who were confirmed pathologically or diagnosed radiologically between Jan. 1990 and Sept. 1998 at our hospital were analysed. Variable factors that were examined were : clinical features, effects of treatment, and complications. Results : There were 47 male and 33 female patients. The age at the first presentation was from 3 to 57(mean 34.1) years old. Clinical features were seizure in 28 cases(38%), bleeding in 24 cases(32%), neurologic deficits in 12 cases(16%), headache in 10 cases(14%), and six incidental cases. The locations of lesion were cerebral and cerebellar hemisphere in 45 cases(56.2%), brainstem, basal ganglia, and thalamus in 32 cases(40%), multiple in 3 cases (3.8%). Seizure was common at the third decade and occurred frequently with the cavernous angioma in temporal (43%) or frontal lobe(39%). Bleeding was frequent after the third decade with peak at the fourth decade and had high incidence in brainstem or thalamus. The gamma-knife radiosurgery was done in 47 cases. Rebleeding occurred in 3 cases, but it was within postradiosurgery 1 year. Symptomatic radiation change occurred in 2 cases of 8 radiation change on MRI. On follow-up MRI, no evidence of rebleeding was found in 30 cases. Also, The lesion size was decreased in 3 cases. Resection was performed in 23 cases ; total 20, subtotal 2, partial 1. Postoperative complication occurred in 6 cases(26.1%). After surgery, 7(63.6%) of 11 seizure patients had outcome of seizure-free. Subclinical rebleeding occurred in one of two subtotal resected cases. In 11 patients, conservative management was done. There was neither rebleeding nor symptom aggravation during follow-up period of mean 17.2 months. Conclusion : The solution for prevention of rebleeding is complete removal of the lesion located at noneloquent area or accessible region, especially for the patients who presented symptoms or intractable seizure. However, the Gamma knife radiosurgery is considered when the lesions are located at eloquent area or when severe postoperative morbidity is expected.

  • PDF

장기간 방치된 경막하 농양을 동반한 복합 두피 및 두개골 결손 환자에서 광배근 유리 근피부피판을 이용한 치험례 (Reconstruction of Long Term Neglected, Complicated Scalp and Calvarial Defects with Subdural Abscess Using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 A Case Report)

  • 노용준;이상형;정의철;박지웅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0
    • /
    • 2011
  • Purpose: There have been few case reports regarding treatment plans for long-term, neglected scalp defects and calvarial defects with subdural abscess.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present our experience with a fre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for scalp and calvarial defects and to discuss flap options in comparison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A 60-year-old man who fell down from a four-story-height that resulted in a craniotomy in 1979; he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for a chronic, purulent scalp and calvarial defects with unidentified artificial bone. The artificial bone was removed by a neurosurgeon and reconstructed with a free latissimus dorsi musculocutaneous flap. The deep temporal artery was used as a recipient artery. The postoperative flap status was excellent until the 6th day post-operation when the patient experienced a seizure, and an arterial insufficiency occurred at the flap probably due to an arterial spasm. Emergency exploration with arterial re-anastomosis was performed and the flap status was stabilized. Results: Complete wound healing was achieved after 3 weeks without infectious and systemic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ring the 6 month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Conclusion: We suggest the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ree flap as a good treatment option for a chronic, purulent, complicated scalp with calvarial defect, as a well as treatment for an acute traumatic defect.

대뇌 피질 발달 기형을 동반한 난치성 소아 간질에서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효과 (The efficacy of ketogenic diet in childhood intractable epilepsy with malformation of cortical development)

  • 이영목;강두철;정다은;강훈철;김흥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87-191
    • /
    • 2006
  • 목 적 : MCD는 항경련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의 중요한 원인으로 수술적 치료의 대상으로 고려되어지지만, 병변의 범위나 분포에 따라 제한적이고 치료효과에 있어서도 차이가 보고되고 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은 최근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뛰어난 간질 억제효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MCD 병변을 보이는 난치성 간질을 대상으로 시행한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보고는 국내외적으로 지금까지 없는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이 환자군들에 대해 간질 수술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법인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간질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이후 난치성 간질로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행하였던 소아 환아들 중 뇌 MRI상 MCD 소견을 보이는 3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과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케톤 생성 식이요법 시행 후 경련의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 30명 환아들의 남녀비는 1 : 1.1이었고, 경련을 처음 시작한 연령은 평균 $2.0{\pm}2.9$세,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한 평균 연령은 $5.4{\pm}4.6$세,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할 때까지의 경련 지속기간은 평균 $3.5{\pm}3.3$년, 환아들의 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29.0{\pm}21.0$개월이었다. MCD의 종류는 대뇌 피질 이형성증(cortical dysplasia)이 24명(80.0%)으로 가장 많았고, MCD의 분포는 일측 대뇌 반구에만 있는 경우가 23명(76.7%), 양측 대뇌 반구 모두에 병변이 있는 경우가 7명(23.3%)이었다. 케톤생성 식이요법에 의한 경련의 감소 정도는 전체 30명의 환아 중 9명(30.0%)에서 경련이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50% 이상 경련이 감소된 경우는 14명(46.7%)이었는데, 경련을 처음 시작한 연령이나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할 때까지의 경련 지속기간은 경련의 감소효과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고, 케톤생성 식이요법을 시작한 나이가 어릴수록,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기간이 길수록 경련의 감소효과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MCD의 분포에 따른 특별한 연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케톤생성 식이요법이 MCD 소견을 동반하고 있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되어지는 난치성 소아 간질 환아에서도 간질 수술의 여러 가지 제한적인 측면과 침습성을 고려해 볼 때 효과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MCD를 동반한 난치성 소아 간질 환아에 대한 케톤생성 식이요법의 효과에 대한 자료가 미미한 상태이므로 전향적인 대규모의 비교 연구 및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암(豹菴)의 「호가유금원기(扈駕遊禁苑記)」에 나타난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 (Content and Meaning of Royal Garden Sightseeing Event in Pyoam's 「Hogayugeumwongi」)

  • 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표암의 "호가유금원기"에 담긴 궁원 유람행사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사료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왕이 친히 신하들에게 궁원을 안내하고 설명한 일을 기록한 "호가유금원기"는 한국의 조경문화사에 있어 매우 귀한 사료이다. 이러한 일은 중국은 물론 조선시대에도 전무후무한 일이다. 2. 특히 이 일을 기록한 사람이 당대에는 시 서 화 삼절로 이름이 높았고 후대에는 '예원(藝苑)의 총수(總帥)'로 평가받는 표암 강세황이라는 점은 이 사료의 가치를 더한다. 3. 이 유람 행사의 성격은 정조의 집권 초반기에 친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규장각의 완비, 왕의 위엄을 나타내는 어진 도사 등에 기여한 근신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자리였다. 정조는 자신의 정치 이념을 실현하는데 공이 큰 근신들의 노고에 대한 은전을 베풀기 위해 궁중 내에 금단의 공간인 금원을 활용하였다. 4. 창덕궁 후원에 대한 유람 동선의 하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후원을 유람하는 동선이 고정적이지는 않았으나 이것은 이날의 가을 정취를 즐기기 위해 정조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최선의 유람 동선이었을 것이다. 5. 이 행사의 특징은 격식이 없고 다소 즉흥적인 '유람'이었다. 즉 정조 치세 중반 이후에 신하들에게 베푼 '상화어조연(賞花漁釣宴)'은 꽃구경과 낚시, 시 짓기 등 행사의 개최시기와 형식, 참가자격 등의 틀을 갖춘 궁중 '연회'였음에 비해 이날의 행사는 비교적 사적이고 자유로운 '놀이(遊)'였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관련 사료들의 고찰을 통해 "호가유금원기"를 쓴 전후 맥락을 비롯해 이에 담긴 내용과 의미를 고찰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호가유금원기"는 귀중한 문화콘텐츠로서 추후 궁원 관람에 있어 스토리텔링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피렌체 르네상스와 메디치가 도서관 연구 (A Study on the Florence Renaissance and the Medici's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73-94
    • /
    • 2022
  •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람이다. 그것은 중세 인문주의자들의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식문화 탐구, 위대한 군주와 성직자의 문예적 소양과 리더십, 메디치 가문 등의 문화예술 후원,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사유와 창의성, 시민의 비판적 의식과 문화적 욕구 등이 조합된 결과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이 고대 필사본과 중세 번역본을 수집하지 않았다면, 도서관을 건립하여 고전을 보존하고 제공하지 않았으면, 피렌체 르네상스는 개화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피렌체 르네상스와 역사도서관을 개관한 다음에 메디치가의 고전자료 수집·구성을 분석하고, 메디치 도서관의 건축적 특징과 메타포를 추적하였다. 산 마르코 도서관(미켈로초 도서관), 바디아 피에졸라 도서관, 산 로렌츠 도서관(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지진, 화재, 복원, 이관, 압수, 폐쇄 등 무수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중물이자 산실이었다. 특히 코시모·로렌초의 재정 지원, 미켈로초 설계, 니콜리 개인장서를 기반으로 1444년 개관한 산 마르코 도서관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초 공용도서관이었다. 그리고 줄리오 주도 하에 1571년 개관한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건축적 백미는 '무지에서 지혜로'를 상징하는 미켈란젤로 계단이고, 내용적 진가는 인문주의자 니콜리와 메디치가가 수집한 고대 필사본과 초기 인쇄본이다. 요컨대 피렌체 르네상스를 논할 때 메디치가 장서와 역사도서관은 매우 중시해야 할 포인트다. 고전은 구시대 박제품이 아니라 통시적 기호학이며, 도서관은 인류 지식문화사를 조감하는 망원경이자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현미경이기 때문이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면 도서관은 기록을 집적한다. 따라서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국내 도서관의 소급장서 개발과 보존에도 긴 호흡과 타임캡슐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