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Weight

검색결과 676건 처리시간 0.019초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during Seedling Development in Soybean

  • Seong, Rak-Chun;Choi, Kyu-Hoon;Harry C. Minor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5-100
    • /
    • 1998
  • Seedling establishment of soybean [Glycine mar (L.) Mer-rill] is an important factor for soybean production in the fiel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composition in the emerging organs during seedling development in soybeans. Three soybean cultivars (Hill, Paldalkong, and Jangyeobkong) were planted at the Research Farm of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on May 26, June 5, and June 14. Protein, oil, sugar, and starch contents were measured in each organ at each developing stage. Mean dry weight of three soybean cultivars decreased until VE stage and increased after this stage. Protein content of whole seedling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the seedling growth stage, but the amount in cotyledons markedly decreased with each growth stage increment. About 88% of the cotyledon protein was translocated to the other parts of the seedling at the V2 stage. Oil content of cotyledons sharply decreased until the V1 stage. Sugar content of the seedling was not detected at VE stage and starch content of seedlings increased slightly at VE and VC stages. For the changes of each metabolic component, the amount for whole plants decreased until the V1 stage and started to increase after this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breakdown of carbohydrates and oil at the initial stage of seedling growth.

  • PDF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xpanded Rice Husk Medium on Growth of Rice Seedling

  • Ko Jonghan;Ham Jin Kwan;Kim Yong Bok;Kim Kyung Hee;Lee Byun Woo;Lee Youn S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0-124
    • /
    • 2005
  • Expanded rice husk (ERR) is different from commercial rice seedling media i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H, permeability, and water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a possibility of improving rice seedling growth by improving the texture of ERR as a rice seedling medium. The seedling media used were a commercial seedling medium (CSM), rice husk, and ERR 1, 2, 3, and 4 with different expansion degrees. The pH of the ERHs ranged from 6.3 to 6.8. As the expansion rate increased, ERR particle sizes decreased, and water permeability and absorption rates impro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ot dry weight and rate of maturity were found among the seedlings cultivated in the different ERH media. However, the mat formation of seedling roots became loose as the expansion rates were decreas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cause of poor root growth in ERH media.

토양 중 인산수준이 미국삼 종자출아, 유모결주율 및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Phosphorus Levels on Seed Emergence, Seedling Mortality and Plant and Root Development of American Ginseng)

  • Thomas, S.L.Li;Michael, O.Wallis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34-136
    • /
    • 1994
  • The effects of soil phosphorus level on seed emergence, seedling mortality, plant and root development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were evaluated in a newly planted commercial ginseng garden. Phosphorus levels were increased from 58 ppm to 100, 150 and 200 ppm with triplephosphate (0-45-0). Higher phosphate levels increased, seed emergence and reduced seedling mortality. Root length, diameter, fresh root weight and total leaflet length were not affected by phosphate levels.

  • PDF

신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에 적합한 모 종류 구명 (Study of Seedling Type for Transplanting Culture in Rice Paddy Field at the Newly Reclaimed Land)

  • 최원영;김선;이장희;김시주;최민규;고종철;이규성;이경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66-170
    • /
    • 2012
  • 본 연구는 신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염 피해가 적으면서 안정적인 쌀수량 확보를 위하여 모 종류를 어린모, 치묘, 중묘, 폿트묘로 새로 조성된 간척지인 새만금 계화포장에 이앙하여 수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년 평균 토양염농도는 이앙전 0.16%에서 환수후 이앙 직후에는 0.04%로 낮아졌다. 2. 모 종류별 출수기는 폿트묘 이앙이 8월 14일인데 비해중묘이앙은 2일, 치묘이앙은 3일, 어린모이앙은 5일 늦게 출수되었다. 3. 도복관련형질에서 중묘이앙이 도복지수가 가장 높아 포장도복 역시 중묘이앙이 반도복 정도 되었다. 4.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이앙모 종류별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비슷하였고, 주당수수는 치묘>어린모>폿트묘>중묘이앙 순으로 많았으며, 쌀수량은 어린모=치묘>폿트묘>중묘이앙 순으로 많았다. 5. 이앙모 종류별 쌀 품질에서 완전립비율은 치묘>중묘=어린모>폿트묘 순으로 높았고, 아밀로스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이앙모 종류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 벼를 기계이앙재배할 때 안정적인 쌀 수량 확보를 위한 적정 이앙모는 어린모와 치묘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벼 건묘육성을 위한 볍씨 철분코팅기술 연구 (Research on Iron-coated Seeds on a Rice Seedling Raising Nursery in Machine Transplanting)

  • 박광호;강윤규;오대근;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육묘에서 이앙작업 단축을 위하여 본답육묘(못자리)에서 하우스 육묘(육묘공장)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이앙당시 유묘의 연약한 생장으로 모내기 약 2주전 별도로 본답 또는 외기로 육묘상자를 옮겨 경화를 시키는 번거로운 문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철분코팅볍씨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 육묘공장(못자리)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1. 철분코팅을 한 볍씨는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 출아, 유묘생장에 극히 정상적이었다. 2. 이앙당시 유묘의 초장 생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작아 육묘상자 운반과정, 이앙작업 시 손상이 줄어 들 것으로 보였다. 3. 유묘의 엽수 뿌리 생육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초기 유묘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4. 철분코팅을 한 유묘의 지상부, 지하부 생장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용 육모 상토로서의 지렁이 분립의 이용에 관한 연구 - 지령이 분립의 혼합비율이 고추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Studies on Potential utilization of Earthworm Cast as Vegetable Plant Growth Media - Effects of mixing ratios with earthworm cast in nursery soil on pepper(Capsicum annuum L.) seedling growth -)

  • 한정아;전하준;조익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65-73
    • /
    • 1994
  • 본 연구는 지렁이 분립의 혼합비율이 고추 플러그묘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분립은 20,30,40,50%로 투입하고 나머지는 peatmoss와 vermiculite로 보충하여 배합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수, 엽면적, 건물수량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0.1%의 통계적 유리성), 지렁이 분립의 혼합비율에 있어서는 엽수, 엽면적 및 경중에서 1%와 엽중, 근중 및 생물학적 건물수량에서는 5%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상토가 국내 시판중인 상토 보다 조사후기에 접어들수록 많은 엽수와 엽면적의 증거를 나타내었다. 3. 지렁이 분립을 처리한 상토에서 대조구보다 전 육묘기간을 통해 엽중, 경중 및 근중 등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지렁이 분립의 비율이 40% 이상에서 현저하였다. 4. 조사시작 후 3주째까지는 엽중이 경중보다 높았지만 4주째 부터는 경중이 더 높았으며, 또한 육묘후기에는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처리에서 대조구 보다 경중이 더 높았다. 5. 생물학적 건물수량은 조사초기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후기에는 지렁이 분립을 혼합한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았다.

  • PDF

벼 자동화(自動化)에서 육묘(育苗)에서 파종기(播種期)와 육묘기간(育苗期間)이 묘소질(苗素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wing Date and Days after Sowing on Rice Seedling Characters Raised in an Automatic Facility)

  • 성회경;피재승;손재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8권
    • /
    • pp.53-60
    • /
    • 2000
  • 벼 자동화 육묘시설에서 파종기별 알맞은 육묘기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안동, 의성 및 경산지역의 육묘시설에서 파종기와 육묘기간에 따른 묘소질, 육묘일수에 따른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성, 벼 품종별 묘소질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화 육묘시설내에서 파종기가 늦어지고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묘초장 신장 속도는 빨랐고, 지상부 건물중은 증가하였으나, 지상부건물 중/초장 비는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폭은 10일묘 이후에서 컸다. 묘초장과 묘소질을 근거로 한 각 지역별 파종기에 따른 적정 육묘기간은 4월 하순 파종의 경우 안동과 의성에서는 15~20일묘, 경산은 15 일묘이고, 5월 하순과 6월 파종의 경우는 지역에 관계없이 10일묘가 적합하였다. 육묘 기간에 따른 수량성은 육묘일수가 10일에서 20일로 연장될수록 감소하였는데, 10일묘의 10 a당 수량은 관행중묘에 비해 5% 증수되었지만 20일묘의 경우는 9% 감소되었다. '대산벼'외 12품종을 대상으로 자동화 육묘시설에서의 묘생육을 비교한 바, 10일묘의 초장은 '상미벼', '원황벼' 및 '일품벼'는 13.3~13.5 cm로 짧은데 비해 '만안벼', '화영벼', '대산벼' 및 '일미벼'는 16.6~17.5 cm로 걸었는데, 이들 품종중 '화영벼'와 '대산벼'는 10일묘의 지상부 건툴 중도 9.1~9.4 mg으로 무겁고 육묘일수에 따른 지상부건물중/초장 비의 감소 폭도 작았다.

  • PDF

고온 및 저온에서 육묘된 파프리카 묘의 소질과 정식 후 초기 생육 반응 (Qualities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Paprika Seedlings Grown in High and Low Temperatures)

  • 조윤희;김치선;김정만;구양규;김호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19-72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온 및 저온의 육묘 온도가 파프리카 묘의 소질 및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육묘 온도는 다용되고 있는 $23^{\circ}C$를 대조구로 하여 고온을 $31^{\circ}C$, 저온을 $15^{\circ}C$로 처리하였다. 육묘 온도에 따라 자란 묘의 초장, 줄기직경,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등은 $15^{\circ}C$$31^{\circ}C$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리고 그 묘들의 정식 4주 후 식물체 특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 대비 $15^{\circ}C$$31^{\circ}C$ 처리구의 단위 시간 당 건물중 및 엽면적의 증가 속도는 육묘 기간보다 정식 후에 크게 높아졌다. 정식 후 4주 간 자란 $15^{\circ}C$$31^{\circ}C$ 처리구의 식물체의 작물생장속도와 엽면적지수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상대생장율과 순동화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15^{\circ}C$처리구의 정식 후 생장 속도 및 순동화율의 증가는 정식 후 정식 전에 비해 크게 높아진 광합성 능력에서 기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파프리카의 저온 및 고온 육묘온도는 묘 및 정식 후 식물체의 생육을 저하시켰다. 그리고 정식 후의 식물체의 회복 속도는 $31^{\circ}C$보다 $15^{\circ}C$에서 육묘된 묘에서 빨랐다.

보리 유묘기의 염처리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 of Winter Barley to Salt Stress at Seedling Stage)

  • 최원열;권용웅;박종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4-538
    • /
    • 1997
  • 보리 품종들의 염해반응의 생리적 특성과 품종간 차이를 이해하여 간척지에서의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NaCl용액으로 염해를 유발하여 생장저해정도, 엽록소 및 유리 proline 함량, 그리고 엽수분 potential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품종간 생육저해 정도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조구에 비해 NaCl용액(Ψ/sub π/ =-20bar) 처리의 경우 초장은 2∼22%, 유묘건물중은 25∼39%가 감소되었다. 2.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대하여 염분처리구에서 33∼49% 감소되었고 엽건물 g당 유리 proline 함량은 대조구가 0.2∼0.3mg이나 염분처리 구는 9.6∼14.7mg으로 32∼74%나 증가되었다. 3. 엽수분 potential은 대조구가 -3.0 ∼ -4.1bar이나 염분처리구에서는 -7.4 ∼ -11.2bar와 -15.0 ∼ -17.9bar로 낮아졌으나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품종간 차이는 많지는 않았다. 4. 품종별로 엽생존율은 백동>밀양1002>올보리>두루보리>향맥의 순으로 높았으나 유묘 건물중 감소율은 백동>올보리>향맥>밀양1002>두루보리 순이었다. 5. 염처리구에서 제2엽의 유리 proline 증가율은 밀양1002>향맥>백동>두루보리>올보리의 순이 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