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particle siz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3초

낙동강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특성 (Th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rom Surface Sediment in Nakdong River)

  • 김은호;김형석;김석택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4호
    • /
    • pp.52-5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ith respect to the depth, particle size and Tessier et al. method in surface sediment of the Nakdong river. The contents of Cd, Cu & Pb were high or similar with increasing depth, but Mn & Zn were high to middle depth. Generally,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found to be high as the particle size become more small and more deep. Because the more particle size was small, the specific surface area was large,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as high for increasing affinity. It was estimated that the types of heavy metals contained in surface sediment by Tessier et al. method was dissimilar with anaerobic condition, pH and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etc.

  • PDF

주차장지역의 강우유출수로부터 발생된 퇴적물 특성 (Sediment Characteristics in Parking Lot Ditch)

  • 이소영;이은주;손현근;김철민;;손영규;김지형;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3-49
    • /
    • 2007
  • 최근 환경부의 환경정책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전국적인 확대를 앞두고 다양한 토지이용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의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도로, 고속도로 및 주차장 등의 포장된 지역은 수계 인근에 존재하고 있기에 비점오염원 관리에서 우선순위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의 토지이용인 주차장은 많은 차량의 운행, 정차 및 주차로 인하여 다량의 입자상 물질이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축적이 높은 토지이용이다. 또한 높은 포장율로 인하여 강우 발생시 다량의 강우유출수가 비점오염물질을 함유하여 배수구로 유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맨홀은 강우시 유출된 강우 유출수를 짧은 기간이지만 체류시켜 입자상 물질을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차장 맨홀에서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자상 물질 입도별 중금속의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맨홀에 의한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중금속으로 오염된 퇴적물의 효과적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채취된 퇴적물의 입도분석이 시행되었으며, 입도분포별 중금속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입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425-850{\mu}m$ 사이의 입도가 가장 많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도 크기와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입도크기가 적을수록 높은 중금속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중금속 중에서 Cu, Pb, Zn의 함량이 전체 중금속의 3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차량의 타이어와 엔진파트에 많이 함유된 중금속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주차장의 맨홀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에 많은 기여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주차장의 비점오염원 관리에 있어서 맨홀의 개량을 통해 더욱 더 높은 비점오염물질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position Properties of $^{137}Cs$ in Marine Sediments

  • Park, G.;Lin, X.J.;Kim, W.;Kang, H.D.;Lee, H.L.;Kim, Y.;Doh, S.H.;Kim, D.S.;Yun, S.G.;Kim, C.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353-360
    • /
    • 2003
  • The concentration of $^{137}Cs$, the particle size, and the contents of TOC, H, N and S were measured for sediments collected in the adjacent sea to Yangnam, Korea. The concentrations of $^{137}Cs$ in sediments are in the range of $^{137}Cs$ for sediments strongly depend on particle size and TOC content of sediment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humic substances may have great influence on the deposition of $^{137}Cs$ in sediment.

다양한 크기를 갖는 입자들의 유체 용기 내부에서의 침전에 대한 수치적 접근방법의 검증 (VALIDATION OF NUMERICAL APPROACH FOR THE SEDIMENT OF MULTI-SIZE PARTICLES IN A FLUID CONTAINER)

  • 지영무;최상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3-98
    • /
    • 2013
  • In this paper, we reported the verification of numerical simulation approach for sedimentation of the multi-size particles in a container.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ly measured values and numerically evaluated values on settle down process of fully mixed mixture is carried out. In an attempt to represent the natur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various diameters of single particles are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outcome of the multi-size computation. When the empirical formula for mean particle size estimation is adopted to define the sediment diameter, computation and comparison are conducted.

고속도로 노면퇴적물의 특성 및 도로청소에 의한 입도별 제거효율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Removal Efficiency of Road-deposited Sediment on Highway by Road Sweeping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 강희만;김황희;전지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6-295
    • /
    • 2021
  • The removal efficiency of road-deposited sediment (SDR) by road sweeping was analyzed by performing particle size analysis before and after road sweeping at four highways during May to December 2019. The SDR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range of 250 to 850 ㎛ and the degree of its proportion had an effect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urv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collected sediments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at all sites. Below 75 ㎛, the removal efficiency of SDR showed a constant value around 40%, but above 75 ㎛, it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d. The removal efficiency was 82-90% (average 86%) for gravel, 66-93% (average 79%) for coarse sand, 35-92% (average 64%) for fine sand, 29-69% (average 44%) for very fine sand, 19-58% (average 40%) for silt loading, 10-59% (average 40%) for TSP, 13-57% (average 40%) for PM10, and 15-61% (average 38%) for PM2.5. SDR removal efficiency showed an average of 69% for the four highways. It was found that if the amount of SDR was less than 100 g/m2, it was affected by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had a large regional deviation. As such, the amount of SDR an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The fine particles, which have relatively low removal efficiency, containe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water and air pollution. Therefore,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fine particles in SDR by road sweeping are needed.

원심분리기의 채널 설계(II) - 입자의 침강문제와 보울 길이 (Channel Design of Decanter-Type Centrifuge (II) - Particles' Sediment and the Bowl Length)

  • 서용권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08-116
    • /
    • 2003
  • In this paper, based on the concept of solid particles' sediment problem the working formula determining the bowl length of a Decanter-type centrifuge were derived. Assuming that particles are uniformly distributed along the vertical line of the liquid inlet position, it was possible to derive a constant value k used for determining the bowl length. It was shown from the sample calculations that the bowl length should be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to be removed from the liquid is decreased. The length also should be increased for the same particle size as the bowl diameter is decreased. To help the engineers choose a reasonable bowl diameter,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wl diameter and the capacity of the international products is obtained and presented.

달포늪의 퇴적물과 유기물함량 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Organic Content in the Dalpo Wetland)

  • 강동환;김성수;정휘제;권병혁;김일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산 신불산 고층습원인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 주상도 및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여 퇴적물 입도와 종류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인 달포늪은 3개 습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면적은 약 $31,295m^2$ 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7개 지점(습지A 3개, 습지B 3개 및 습지C 1개)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건식체분석과 피펫분석이 수행되었다. 입도분석 의하면 퇴적물 입도는 습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고,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다. 습지A와 습지B의 장축 및 단축과 습지C의 장축 방향에서 수평거리별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습지A의 장축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90cm 정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중앙부인 수평거리 100 m 지점에서 지표면하 심도 90 cm로서 가장 두꺼웠다. 습지B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의 지표면하 심도가 27 cm 이하로서 습지로서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지C는 규모가 적어 퇴적물의 조성이 단순하였으며,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34 cm 정도에 분포하고 있다. 달포늪에서 시추조사에 의해 채취된 퇴적물을 10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지A 퇴적물에서는 지표면하 심도 70 cm 정도까지 유기물함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C 퇴적물에서도 지표면하 심도 10 cm 정도까지는 습지A와 유사하였으나 지표면하 심도가 30 cm 이상인 깊이에서는 20% 이내의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습지B는 지표면하 부근에서의 유기물함량이 40% 정도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개 습지 모두 지표면에 근접한 점토질 이탄층에서의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토질 이탄층의 입도가 세립질이며 또한 식생의 사체를 통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퇴적물 내 점토질 이탄층의 형성 정도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와 상부 식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실내실험에 의한 혼합사로 구성된 하상 표층에서 지형변동에 따른 유사의 분급 특성 분석 (Experimental Study on the Sediment Sorting Processes of the Bed Surface by Geomorphic Changes in the Alluvial Channels with Mixed Grain Size)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2호
    • /
    • pp.1213-12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혼합사로 구성된 망상하천에서 사주의 변화와 하상토 분급현상을 실내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하상경사가 급한 하도에서 유사 유출량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매우 불규칙하지만, 경사가 완만한 하도에서 유사 유출량은 규칙적이고, 일정한 주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2중 퓨리에 해석을 통하여 지배적인 사주의 특성과 진폭을 분석하였다. 하상고가 상승하면 무차원 하상토 입경은 작아졌지만, 하상고가 저하되면 무차원 하상토 입경은 커졌다. 기층에서 무차원 한계소류력과 표층에서 무차원 한계 소류력의 비가 증가하면, 표층에서 평균입경과 무차원 하상토 중앙입경이 작아졌다. 또한 국부적으로 하상경사가 증가하면서, 유사의 선택적 이동에 의하여 하상토가 분급되고, 평면적으로 입경이 불균일하게 분포하는 분급 특성이 나타났다.

연안역 불투수지역 배수구 퇴적물의 오염특성에 관한 연구 (Pollutant Content of the Sediments in the Drain Channel of Paved Catchments in Coastal Areas)

  • 김연석;박기수;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23-534
    • /
    • 2011
  • 충남 서해 연안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수욕장, 항구, 박물관의 주차시설과 교량에서 발생되는 퇴적물의 입도분포 특성 및 오염물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퇴적물의 입경별 % 누적중량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106{\sim}500{\mu}m$사이의 입경범위가 많이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입경분석 결과 모든 지점에서 유효경 $D_{10}$의 범위는 $40{\sim}160{\mu}m$, $D_{50}$의 범위는 $200{\sim}810{\mu}m$, $D_{60}$$235{\sim}1005{\mu}m$로 나타났다. $D_{10}$의 경우 입경범위가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D_{50}$, $D_{60}$은 큰 차이를 보였다. 대체로 입자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오염물질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오염물질 흡착량이나 결합량이 증가하였거나 입자자체가 타이어나 배가스 분진입자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입경 크기가 ${\leq}63{\mu}m$입자에서 VS, $COD_{cr}$, TN, TP의 오염물질이 최저 2배에서 최고 14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Cu와 Pb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었으며 일반 오염물질과 마찬가지로 입경이 작을수록 함유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 함량은 지점 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Pb의 경우는 신진도 진입도로인 신진대교 지점에서 다른 곳에 비해 2배에서 3배 정도 높게 검출되었다. Cd은 해수욕장이나 서천해양 박물관 지점에서는 미세 입자에서만 검출되었으나 대천항 주차장과 신진도에서는 모든 크기의 퇴적물에서 검출되었다.

Identifying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in an Urban Coastal System: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of Particle Size Analysis

  • Ahn, Jong-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67-174
    • /
    • 2012
  • In situ particle size spectra are obtained from two sequent cruises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al consequence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caused by episodic storm runoff from the Santa Ana River watershed, an urbanized coastal watershed. Suspended particle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surface runoff, near-bed resuspension, and phytoplankton are identified in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alysis and an entropy-based parameterization (Shannon entropy). The first EOF mode is associated with high turbidity and fine particles as indicated by the elevated beam attenuation near the Santa Ana River and Newport Bay outlets, and the second EOF mode explains the suspended sediment dispersal and particle coarsening at the near-surface plume. Chlorophyll particles are also distinguished by negative magnitudes of the first EOF mode, which is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fluorescence and beam attenuation. The integrated observation between the first EOF mode and the Shannon entropy index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structures and/or sources of sediment particles; the near-surface plumes are originated from runoff water outflow, while the near-bottom particles are resuspended due to increased wave heights or mobilizing bottom turbidity currents. In a coastal pollution context, these methods may offer useful means of characterizing particle-associated pollutants for purposes of source tracking an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