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Organic Content in the Dalpo Wetland

달포늪의 퇴적물과 유기물함량 특성 연구

  • 강동환 (부경대학교 BK21 지구환경시스템사업단) ;
  • 김성수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정휘제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권병혁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 김일규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of organic content with particle size and type of sediment was found out.Particle size, stratigraphic section and organic content of sediments sampled from Dalpo wetland was analyzed. Dalpo wetland consists of three wetlands, and the area of Dalpo wetland is about $31,295m^2$. The particle size analyses for sampled sediments of 7 points (3 points in wetland A, 3 points in wetland B and 1 point in wetland C) were tested. As results of the particle size analyses, the sediment particle size becomes larger as to the edge of the wetland. It is revealed in order of wetland A > wetland C > wetland B. Borehole surveys with horizontal distance in the major and minor axes of wetland A, the major and minor axes of wetland B and the major axis of wetland C were accomplished. Clayey peat deposit is distributed at 10~90 cm depth below ground surface in the major axis of wetland A. The clayey peat deposit was the most thick at the center of wetland A that horizontal distance is 100 m. As the depth below ground surface of clayey peat deposit is less than 27 cm in the wetland B, we can infer that the life for the wetland B is being finished. Sediment composition of wetland C is simple because wetland C is small scale, and clayey peat deposit is distributed at 10~34 cm depth below ground surface. Sediment sampled by borehole survey in the Dalpo wetland was cut at interval of 10 cm, then organic content was analyzed. Organic content of wetland A sediment showed more than 40% until 70 cm depth below ground surface, also sediment of wetland B is similar to wetland A until 10 cm depth below ground surface, but is showed within 20 % above 30 cm depth below ground surface. Organic content of wetland B is showed the lowest as organic content near the ground surface is about 40%. All of the three wetlands, organic content is showed higher at clayey peat deposit near to ground surface. This is caused by finer particles of the clayey peat deposit, also organic materials were supplied from dead vegetation. Organic content of the Dalpo wetland showed in order of wetland A > wetland C > wetland B. This result is caused by thickness of clayey peat deposit in sedi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organic content of the Dalpo wetland sediment was dominated by particle size of sediment and vegetation of the upper part.

본 연구에서는 양산 신불산 고층습원인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 주상도 및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여 퇴적물 입도와 종류에 따른 유기물함량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인 달포늪은 3개 습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지면적은 약 $31,295m^2$ 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입도분석은 7개 지점(습지A 3개, 습지B 3개 및 습지C 1개)에서 채취된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건식체분석과 피펫분석이 수행되었다. 입도분석 의하면 퇴적물 입도는 습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크고,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다. 습지A와 습지B의 장축 및 단축과 습지C의 장축 방향에서 수평거리별 시추조사가 수행되었다. 습지A의 장축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90cm 정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습지 중앙부인 수평거리 100 m 지점에서 지표면하 심도 90 cm로서 가장 두꺼웠다. 습지B에서는 점토질 이탄층의 지표면하 심도가 27 cm 이하로서 습지로서의 수명이 다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습지C는 규모가 적어 퇴적물의 조성이 단순하였으며, 점토질 이탄층이 지표면하 심도 10~34 cm 정도에 분포하고 있다. 달포늪에서 시추조사에 의해 채취된 퇴적물을 10 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유기물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지A 퇴적물에서는 지표면하 심도 70 cm 정도까지 유기물함량이 4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지C 퇴적물에서도 지표면하 심도 10 cm 정도까지는 습지A와 유사하였으나 지표면하 심도가 30 cm 이상인 깊이에서는 20% 이내의 유기물함량을 보였다. 습지B는 지표면하 부근에서의 유기물함량이 40% 정도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개 습지 모두 지표면에 근접한 점토질 이탄층에서의 유기물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토질 이탄층의 입도가 세립질이며 또한 식생의 사체를 통해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이다.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습지A > 습지C > 습지B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퇴적물 내 점토질 이탄층의 형성 정도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달포늪 퇴적물의 유기물함량은 퇴적물의 입도와 상부 식생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