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tional structure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28초

남.녀 대학생의 강간통념 수용도,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Female and Male University Students)

  • 오숙희;강희순;김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9-25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of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 First-year students at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nam and two three-year colleges in Jeonbuk (n=406)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Of these, responses from 386 (95.8%) were analyzed. Result: Rape myths acceptance in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5.400, p=.00). In terms of gender role stereotype,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3.869,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 was in the middle range of correlation: male studen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r=.520 (=p<.001), and female students' was r=.524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sex have not been properly established yet. Moreover, they highlight that in our society there still exists a male dominated social structure and inequality of sexes. To prevent sexual violation from occurring at th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hat programs to establish proper attitudes of students toward these two facto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results monitored frequently. In addition, cross sectional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rape myths accept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are needed.

Anatomical analysis of the resected roots of mandibular first molars after failed non-surgical retreatment

  • Yoon, Jiyoung;Cho, Byeong-Hoon;Bae, Jihyun;Choi, Y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2호
    • /
    • pp.16.1-16.9
    • /
    • 2018
  • Objectives: Understanding the reason for an unsuccessful non-surgical endodontic treatment outcome, as well as the complex anatomy of the root canal system,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sectional root canal structure of mandibular first molars confirmed to have failed non-surgical root canal treatment using digital images obtained during intentional replantation surgery, as well as the causative factors of the failed conventional endodontic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115 mandibular first molars. Digital photographic images of the resected surface were taken at the apical 3 mm level and examined. The discolored dentin area around the root canal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total surface area, the treated areas as determined by the endodontic filling material, and the discolored dentin area. Results: Forty 2-rooted teeth showed discolored root dentin in both the mesial and distal roots. Compared to the original filled area, significant expansion of root dentin discoloration was observed. Moreover, the mesial roots were significantly more discolored than the distal roots. Of the 115 molars, 92 had 2 roots. Among the mesial roots of the 2-rooted teeth, 95.7% of the roots had 2 canals and 79.4% had partial/complete isthmuses and/or accessory canals. Conclusions: Dentin discoloration that was not visible on periapical radiograph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as frequently found in mandibular first molars that failed endodontic treatment. The complex anatomy of the mesial root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s is another reason for the failure of conventional endodontic treatment.

긴급시공이 가능한 FRP 내진보강재 개발 및 최적 보강량 산정을 위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for Optimal Reinforcement Amount and Development of FRP Seismic Reinforcement that can be Emergency Construction)

  • 김진섭;권민호;서현수;임정희;김동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36-145
    • /
    • 2013
  • 최근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기둥은 취성적인 파괴로 구조물 전체붕괴를 유발하기 때문에 내진보강이 적용 되어야한다. 과거에는 단면증설법, 강판보강법등이 주로 적용되었고 최근에는 복합재료의 장점을 이용한 섬유보강법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법들은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을 유발하며, 작업공간과 시간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보강법의 단점을 보강하여 복합재료 (Fiber reinforced polymer)와 Aluminum 체결부 이용한 FRP 내진보강재를 개발하였다.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FRP 내진보강재의 최적 보강량을 결정하였다.

냉장고 멀리언부 구조보강용 철구조물의 열손실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Heat Loss Effect of Steel Structure in a Refrigerator Mullion)

  • 하지수
    • 에너지공학
    • /
    • 제23권2호
    • /
    • pp.35-41
    • /
    • 2014
  • 본 연구는 냉장고의 냉장실과 냉동실 사이에 있는 멀리언부의 가스켓 주위의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여 이 부분에서 열손실을 크게 하는 구조물인 구조보강용 철구조물 유무에 따른 전산해석을 통한 열전달 해석과 이의 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냉장고 내부 벽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열손실 분석을 통한 냉장고 열손실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철구조물이 있는 경우에 이를 통하여 고온의 Hotline과 외부 공기의 열이 잘 전달되어서 냉장고의 열손실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제거하면 냉장고 열손실이 24.8% 감소하여 철구조물을 제거하는 것이 냉장고 열손실 설계 개선을 크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에 따른 하천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Stream Landscape According to Hydromorpological Structures)

  • 최윤의;이정아;전진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1-31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생태적 특성이 나타난 하천구간에 대한 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구조 특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 평가를 위해 LAWA기법을 활용하여 하천의 생태성을 평가하고, SD평가법을 통해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를 조사하여 연구대상지의 물리적 구조 특성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차이를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생태성이 양호한 구간이 결여된 구간보다 조화롭고 아름다우며 자연적이고 깨끗한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밝혀졌으며,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는 물리적 구조는 하천식생 및 횡단형태, 인공구조물의 유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복원시 훼손대상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미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할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예측하고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력에너지 스펙트럼을 이용한 비좌굴 가새골조의 내진설계 (Energy-Based Seismic Design of Buckling-Restrained Braced Frame Using Hysteretic Energy Spectrum)

  • 최현훈;김진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63-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단자유도계 시스템에서 작성한 이력에너지 스펙트럼과 누적된 변위 연성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비좌굴 가새골조의 내진설계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목표 연성비에 해당하는 이력에너지 스펙트럼과 누적된 연성비 스펙트럼을 작성하였다. 주어진 목표 변위를 만족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새의 단면적은 이력에너지 요구량과 가새에 의하여 소산된 누적 소성에너지를 같다고 하여 산정하였다. 스펙트럼을 작성하고 설계절차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개의 지진기록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따라 설계된 3층과 8층 비좌굴 가새골조의 해석결과에 따르면 최상층 변위의 평균값이 성능 목표 변위에 잘 부합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층간변위는 구조물 높이에 따라 비교적 일정하였는데 이것은 손상 분포가 일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안된 에너지 설계법은 기존 강도설계법의 대안으로 비좌굴 가새골조의 신뢰할만한 설계법이라고 할 수 있다.

횡단 유동장으로 펄스 분사된 액체 제트의 분무 구조 및 단면 분포 특성 (Spray Structure and Cross-section Characteristics of Pulsed Liquid Jet Injected into a Cross-flow)

  • 이인철;구자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09
  • 횡단류로 펄스 분사되는 액체제트의 분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35.7 ~ 166.2Hz 범위의 분사 주파수와 횡단류 속도 42 ~ 136 m/s의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횡단 유동장에서 액체제트의 주된 분열 인자는 압력 펄스 주파수의 영향보다는 횡단류의 항력에 의존하며, 주기적인 압력 진동에 의해 횡단류로 분사된 액체제트는 상하 진동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액적의 집합체(liquid jet puff)가 횡단류 방향의 액체 제트 표면에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통해 유동장의 혼합을 예상할 수 있었다. 압력 펄스 주파수에 의한 SMD 특성은 연속 분사의 층상 구조와 다른 비층상 구조로 나타났으며, 체적 유속은 압력 펄스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old Shell Nanocluster Networks in Designing Four-Branch (1×4) Y-Shape Optical Power Splitters

  • Ahmadivand, Arash;Golmohammadi, Saeed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3호
    • /
    • pp.274-282
    • /
    • 2014
  • In this study, closely spaced Au nanoparticles which are arranged in nanocluster (heptamer) configurations have been employed to design efficient plasmonic subwavelength devices to function at the telecommunication spectrum (${\lambda}$~1550 nm). Utilizing two kinds of nanoparticles, the optical properties of heptamer clusters composed of Au rod and shell particles that are oriented in triphenylene molecular fashion have been investigated numerically, and the cross-sectional profiles of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of the optical power have been calculated based on a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method. Plasmon hybridization theory has been utilized as a theoretical approach to characterize the features and properties of the adjacent and mutual heptamer clusters. Using these given nanostructures, we designed a complex four-branch ($1{\times}4$) Y-shape splitter that is able to work at the near infrared region (NIR). This splitter divides and transmits the magnetic plasmon mode along the mutual heptamers arrays. Besides, as an important and crucial parameter, we studied the impact of arm spacing (offset distance) on the guiding and dividing of the magnetic plasmon resonance propagation an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ransported power in both nanorod and nanoshell-based structures. Finally, we have presented the optimal structure, that is the four-branch Y-splitter based on shell heptamers which yields the power ratio of 23.9% at each branch, 4.4 ${\mu}m$ decaying length, and 1450 nm offset distance. These results pave the way toward the use of nanoparticles clusters in molecular fashions in designing various efficient devices that are able to be efficient at NIR.

GeoMapApp 자료를 이용한 화산과 지진 학습에서 초등학생의 공간 능력에 따른 공간적 사고의 발현 양상 (Structuring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Thinking with Spatial Ability in Learning of Volcanoes and Earthquakes Using GeoMapApp-Based Materials)

  • 송동혁;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3호
    • /
    • pp.390-406
    • /
    • 2021
  • 이 연구는 화산과 지진 단원의 수업에 GeoMapApp을 활용한 학습 자료를 적용하고, 공간 능력이 서로 다른 초등학생들이 인지한 공간 개념, 표현한 공간적 표상의 도구, 지형 구조를 표현하는 데 적용한 공간적 추론을 추출하여 공간적 사고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공간 능력 상위 집단 학생들은 인지한 공간 개념 정보를 수평 거리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화산과 지진의 지형 구조에 관한 심리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내적 공간 표상을 활용하거나, 인식한 공간 개념을 그대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의 사례를 보였다. 또한, 지진 자료를 보고 공간 개념을 변형하여 공간적 추론을 수행하는 예도 있었다. 공간 능력 하위 집단 학생들은 공간 개념을 직접 지형 구조로 연결하는 공간적 추론을 보이거나, 공간 개념을 부분적으로 인식하여 지형을 파악하는 공간적 추론 사례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학생들이 GeoMapApp 자료에서 거리, 높이, 깊이와 같은 공간 개념을 정확히 인식해야 더 나은 공간적 사고를 구현할 수 있음을 밝혔다.

고막을 모방한 라텍스 샘플의 미세진동 측정을 위한 마이크로 바이브로 토모그라피 시스템 개발 (Micro Vibration Measurement in a Latex Sample Mimicking the Tympanic Membrane Using Micro Vibro Tomography)

  • 권재환;김필운;전만식;김지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23-2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비 침습적, 비 파괴적으로 샘플의 단층구조와 단층의 미세진동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영상화하는 마이크로 바이브로 토모그라피(micro vibro tomography: MVT) 시스템 개발 및 미세진동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광 간섭 단층촬영기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기반으로 하여, 샘플의 위상변이를 이용해 마이크로 단위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방법이다. 본 실험에서는 고막을 모방한 라텍스 샘플에 2~5 kHz 주파수의 음파를 인가시키고, 음파에 의한 샘플의 미세진동을 제안한 MVT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막 모방 샘플의 단층구조와 미세진동을 동시에 영상화할 수 있었고, 표면부의 미세진동을 MVT 표면 진동 이미지로 프로젝팅하여 고막 모방 샘플의 전체적인 진동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