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Gifted Student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5초

Renzulli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남영만;박동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379-397
    • /
    • 2009
  • In this paper we apply to Renzulli'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Gifted students were very positive reaction in solving problems creatively using this program, and they were challenging and very confident performing new tasks. They reacted variously in debates with their classmates, in self-initiative studying. So more positive changes are needed for the activities using the gifted learning-teaching program to let each student have full use of his or her possibility and potential.

A Case Study Exploring the Roles of Mawhiba in Supporting and Saudi Verbal Gifted in the English Language

  • Alharthi, Noha Abdull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304-322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a case of a gifted Saudi student, X, who was early detected through Mawhiba (The Saudi Institution of Gifted) when he was eight years old. Then, the journey continued until he became a Tamayuz member and received a scholarship in 2022 to pursue his bachelor's at one of the prestige, high-ranking universities in the USA to study Mathematics and Economic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Saudi verbal gifted maked X case a model to explore the roles of Mawhiba's programs in supporting Saudi verbal giftedness in general and particularly in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plus seeking the opportunities Mawhiba provided for Saudi verbal gifted to enrich their giftedness in the English language through providing extended social networking and finally stating the sample's perspective about the opportunities and services Mawhiba provided him. The three core instruments to accumulate elaboration and interpre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academic records, writing samples, family observation, and a written interview.

과학 분야 사사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수들의 인식 조사 (Student apprentices' and mentors' perceptions on a science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

  • 임희준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29-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영재 학생을 위한 미국의 한 과학 분야 사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이 사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유, 학생들이 사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배운 점, 그리고 학생 프로젝트의 평가와 지도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사사 프로그램은 여름방학 7주 동안에 걸쳐 단기적이고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었으며, 연구를 위한 자료로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관련 산출물, 생활일지, 실험실 및 전체 토의 시간에 대한 참관 노트, 학생 및 일부 지도 교수들에 대한 면담 자료 등이 사용되었다.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유는 대학의 전문 과학자와의 연구 수행, 실제 과학 연구에 대한 이해, 진로 탐색 등 주로 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과 내적 동기에 기반한 것이었다. 사사 프로그램에의 참여를 통하여 학생들이 배운 점은 실제 과학 연구의 본성, 과학 분야의 지식, 진로 확인 및 탐색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생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지도는 교수와 학생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인지적 도제 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Cas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145-115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수업 3곳의 총 27차시 수업에 참여하여 녹화하였으며, 전사 및 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석틀은 Sinclair와 Coulthard(1975)의 이론에 근거한 정민수 등(2007)의 분석틀에서 교사 피드백 부분을 김영순(2010)의 분석틀로 일부 수정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이었다. 분석 후 분석결과 확인 및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수업자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IRF 패턴 유형은 관리적 질문-단답형 응답 유형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수업 외적인 측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사례를 통해 과학영재의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인 몇 가지 패턴 유형을 확인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은 막연히 개방적 질문, 지연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여 각각 좋다는 인식보다 학습 내용의 난이도 및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적합한 패턴 전략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 3명은 평소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하여 막연히 편안한 분위기, 개방적 질문과 지연적 피드백 정도로 인식하거나 전략이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과학영재 담당 교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에 대한 연수 등 다양한 전문성 향상 기회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대한 삼원지능과 사고양식의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Science-gifted Student's Triarchic Intelligence,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Performance)

  • 임재령;유구식;나동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95-117
    • /
    • 2003
  • 본 연구는 영재의 특성을 심리측정적인 전통적인 지능에 의해서 밝혀온 것에 대한 한계성을 극복하기위한 대안으로서 스턴버그가 제안한 삼원지능과 사고양식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3개 과학 고등학교 2학년 122 명을 대상으로 스턴버그 이론을 국내에서 표준화 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는 전반적으로 분석, 창의, 일상지능 모두 높은 패턴이 많이 표출되고 사법, 행정, 계층적 사고양식을 선호하며, 보수적 사고양식을 덜 선호한다. 과학영재의 전체 학업성취와 삼원지능은 자동화 영역을 제외하고 세 지능영역과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사법, 계층, 행정적 스타일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과학영재는 삼원지능의 패턴, 창의성과 관계되는 사고양식의 유무에 따라 학업성취와는 차이가 없었고, 성취에 대한 두 변인의 상호작용 역시 없었다. 전체 학업성취는 일상지능이 잘 설명하였다. 그리고 지능과 함께 고려할 경우에 행정, 사법적 사고양식이 예언변인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과학영재의 선발과정에서 기존 지능검사를 확장한 삼원지능과 비 인지적 개념의 사고양식 구인이 과학영재 선발의 중요한 준거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고, 창조적-생산적 과학영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현재 국내 과학영재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 고등학교의 교육개혁이 절실히 요구됨이 논의되었다.

사이비과학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인식 (Cognition of Students Gifted in Science on Pseudo Science)

  • 전영석;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3-363
    • /
    • 2005
  • 과학교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비과학에 대한 태도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이비과학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 중, 고등학교에서 일반 학생과 과학영재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 학생에 비해서 과학 영재학생이 사이비과학에 대해 더 부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으나 학년이 올라가더라도 인식의 진전이 거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6개월 동안 3번에 걸쳐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생각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이 조사를 통해 사이비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이 견고하지 않으며 적절한 지도과정을 통해 합리적 논리적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사이비 과학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사고 형성에는 TV나 서적과 같은 매체와 함께 개인의 경험이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매체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훈련이 필요하며 특히 점성술과 관련해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가졌던 긍정적 경험을 다시 돌아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제공하여야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Comparison on the Consciousness Level of the Social Contribution and Career Awareness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화정;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0-1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reer awar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between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this, survey was taken by 201 gifted students and 216 general students. Methods used are Cronbach alpha,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gifted students have higher career awareness than the general students.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 their own interests, aptitudes and talents which they are concerned. 2. The gifted students have higher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than the another. This shows that the gifted students have desire to be respected and positive view of social contribution. 3.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awareness and the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past studies, students' household economic status affect their view or grade which they ge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areer awar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which can improve gifted student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is necessary.

초등 단위 학교 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논증 과정에 대한 탐색 (Investigation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e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 임현주;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4호
    • /
    • pp.513-531
    • /
    • 2012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es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fifth graders and 9 sixth graders, 14 in total, from the basic unit schools for gifted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city. And it constituted small scale groups made up of 2~3 students with similar or identical ability in scientific reasoning. It had set up hypothesis for each group before the experiment, and students had a group discussion as a whole after the experiment. Classes were conducted 4 times, all courses were recorded as a sound/video. The ability in scientific reasoning of the students was inspected, making use of SRT II by means of pre-survey, and their argumentation levels were analyzed, utilizing 'Rubric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course assessment.' As a result, argumentations did not incurred in every class. Analysis in argumentations of the students resulted in low level argumentation. This means argumentation cannot incur based on that with the limit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experiments over the threshold of textbook no matter that he is an gifted student or not. The student both in formal operational period and transition period (2B/3A), the ability of scientific thinking in upper level, was improved of his argumentative ability in an overall aspect. However, a student of concrete operational period, the ability of scientific thinking in lower level, had argumentation with still lower level even after the experiment at the moment of discussing with the students on the upper level of scientific thinking ability.

초등학교 과학영재학급 학생선발을 위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최선영;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27-3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st of a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election of gifted science stud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net homepages 23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s of universities and 16 city. province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a multi-step examination process. The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records by recommendation of a principal or a classroom teacher in their school, by operation of standardized tests (ex. intelligence quotient score, achievements in science and mathematics, interest and attitude/aptitude for science as well as through other means), as well as through intensive observation of those gifted science students who are selected by interview and oral tests.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was not evaluated through creativity testing; giftedness in city.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Testing of CPS was found to be especially lacking in these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st items of CPS in science, the five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ramework for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PS: problem exploration, problem statement, solution thinking, experiment design, and assesment.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an appropriate scoring system for the test of the CPS. As the result of the developed test was applied to the 4th grade of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 we found that gifted students were superior to general students. In conclusion, it was that the CPS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PS for the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 PDF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eature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 이정희;우규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4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과학영재 21명을 대상으로 6 개월간 온라인으로 과학일지를 쓰게 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일지에서 글쓰기 형식에 따라 과학개념이 드러나는 양상과 함께 과학영재의 심리 ${\cdot}$ 행동적 특성이 정적 양상과 부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일지 쓰기는 인지적 측면에서 과학영재의 과학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력을 향상시키며, 정의적 측면에서 관찰력이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글쓰기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과학일지 쓰기는 과학영재의 인지적 ${\cdot}$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영재는 과학일지 쓰기가 매우 유익하며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이러한 결과는 과학일지 쓰기 활동이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