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Evaluation Policy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24초

영상 공유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따른 사용자 경험 연구 -유튜브(YouTube)와 비메오(Vimeo)를 중심으로-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Interface Design of Video-Sharing Website -Mainly with Analysis on 'YouTube' and 'Vimeo'-)

  • 이승윤;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23-429
    • /
    • 2016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튜브와 비메오를 사용자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따른 사용자 경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현황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서비스 전망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2차로 스티븐 앤더슨(Stephen Anderson)의 Creating Pleasurable Interfaces 6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튜브의 경우 기능에 대한 접근성 저하와 광고량 과다로 편의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비메오의 경우 대중적 콘텐츠 부족으로 인한 대중성 향상과 개인 방송 시스템, 커뮤니티 등과 같은 관계성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영상 공유 사이트의 사용자 경험 개선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이후 진행될 다른 분야의 사용자 경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국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소셜 데이팅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음과 정오의 데이트를 중심으로- (Evaluation for User Experience about Social Dating Mobile Application Service in Korea -Focusing on I-um and Noondate-)

  • 안효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35-341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대표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인 이음과 정오의 데이트를 사용자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고,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유형 분석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서비스 현황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차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델(Honey comb model)을 6가지 사용성 원칙으로 재구성하여 설문을 설계한 뒤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음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사나 취미에 기초한 프로필을 추가로 도입하여 매칭의 정확도 개선이 필요하였다. 정오의 데이트 경우 사용자 스스로가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카드 분류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소셜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 개선 방안을 위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이후 진행될 다른 분야의 사용자 경험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모빌리티 O2O 서비스 사용성 평가 연구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Usability on Mobility O2O Service -Focused on Kakao T Application-)

  • 조장환;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327-332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서 활발히 사용 중인 모빌리티 O2O 서비스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카카오T만의 차별성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로 모빌리티 O2O 서비스 시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2차로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과 전반적인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피터 모빌(Peter Morvile)의 허니콤 모델(Honeycomb model) 사용성 평가 원칙을 5가지로 재구성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 모빌리티 서비스로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에서 오는 문제점이 있지만 앞으로 추가될 기능인 카풀을 통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는 기존의 기능별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카카오T에 합쳐진 기능들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개선방안은 모빌리티 O2O 서비스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플랫폼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brary Websites in Myanmar

  • Thet Mon Swe;Siluo Yan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21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technological framework anchored in a theoretical model to assess user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brary websites (ULWs) in Myanmar. Adopting a quantitative approach, data were obtained via convenience sampling and subsequent inferential analysis. The target population for this study investigated users of various ULWs in Myanmar who were utilizing six university libraries. Of the collected responses, 273 valid survey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 and AMOS. Tools such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layed pivotal roles in data interpretation and hypothesis validation. The proposed model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librarian services in influencing both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 culminating in user satisfaction. Notably, information quality and librarian services primarily impact PU, while system quality is more influential on PEOU. Interestingly, while PU has a direct bearing on user satisfaction, PEOU does not. Moreover, demographic elements such as age, gender, and education level introduc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of ULW services. Drawing from the study's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ULW managers in Myanmar to bolster services, aligning with user preferences. The resulting framework offers tangible benefits to Myanmar's educational sector, including academia, government entities, librarians, and policy framers. This pioneering research delves into the realm of ULWs in Myanmar's higher education sector. Practically, the research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stakeholders, encompassing Myanmar's library experts and governing bodies, to elevate the standard of ULWs. Theoretically, a salient takeaway is the direct linkage between heightened usefulness and increased user satisfaction.

Audio Generative AI Usage Pattern Analysis by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Participatory Assessment Process

  • Hanjin Lee;Yeeu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47-54
    • /
    • 2024
  • 첨단기술을 활용한 문화예술 교육은 기술에 대한 문해력 향상과 자기표현, 그리고 융합적 역량 개발의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혁신적인 멀티모달 AI의 생성과정과 결과평가는 확대된 시청각 경험을 제공하고 창의적 영감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AI와 함께 음악을 만드는 과정은 멜로디와 악상을 떠올리는 것부터 가사 개선, 편집과 변주, 악기 연주 등 모든 영역에 걸쳐 혁신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 생성 AI 플랫폼을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하고 동료 학습자와 토론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발적 참여를 통해 12개의 서비스와 10개의 평가기준 유형을 수집하여 사용패턴과 목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 관점의 AI 기반 교양교육을 위한 학술적, 기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기술과 해부학 실습 설명의 융합 : 의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평가 요소와 학문적 성취감의 상관관계 (Convergence of Explanation Meeting in Cadaveric Dissection with Communication Skill :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Students)

  • 박정현;임희경;김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63-37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실습에서 의과대학 학생들의 설명을 도입하여 만족도, 전공과의 연계성, 운영의 적절성,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포함한 자기평가요인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과대학 학생들은 보건관련학과 학생들에게 해부학 실습을 통해 시신의 구조를 설명과 토의를 하였다. 그 직후, 102명의 의과대학 학생들은 자기 평가요인과 의사소통의 영향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6월부터 9월까지였다. 자료는 빈도 분석, t-test, 변량분석으로 처리되었다. 성별, 나이, 해부학 설명회의 경험에 관계없이 학생들은 자기평가요인의 모든 질문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그 중에서, 전공과의 연계성, 언어적 의사소통 요인은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p<0.05).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요인 또한 0.580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해부학 설명 과정은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태도로 더 배우려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학업 동기를 부여하였다.

최근성과 참조 횟수에 기반한 페이지 교체 기법 (A Page Replacement Scheme Based on Recency and Frequency)

  • 이승훈;이종우;조성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8A권4호
    • /
    • pp.469-478
    • /
    • 2001
  • 운영체제의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 적용할 페이지 교체 정책은 요구 페이징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메모리 페이지 교체 정책으로는 LRU와 LFU가 있다. LRU 정책은 많은 경우에 좋은 성능을 보이며 시스템 부하 변화에 잘 적응하지만,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와 가끔 참조되는 페이지를 구별하지 못한다. LFU 정책은 참조 횟수가 가장 작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으로, 과거의 모든 참조를 반영하지만 이전에 참조된 페이지와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를 식별하지 못한다. 따라서 LFU는 변화하는 작업 부하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8개의 응용에 대해 메모리 참조 패턴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참조 패턴을 보면 어떤 경우에는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가 계속 참조되며, 또 다른 경우에는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다. 즉, 응용에 의해 참조되는 메모리 페이지는 최근성과 참조 횟수 모두에 의해 가치가 결정되며, LRU나 LFU 정책 한 가지만으로는 페이지 교체 정책을 최적화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RU 기법과 LFU 기법을 결합한 새로운 교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페이지 리스트를 LRU 리스트와 LFU 리스트를 나누어 관리하는데, 이 두 리스트에서는 각각 최근성과 참조 횟수를 기반으로 페이지 리스트 순서가 유지된다. 과거에 자주 참조되었던 페이지가 LRU 정책에 의해 교체되어 빠져나가는 경우를 LFU 정책 병행 사용을 통해 줄임으로써, 최근성 가치에 의해 참조 횟수 가치가 훼손되는 경우를 줄인다. 트레이스-기반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기법이 이전에 알려진 페이지 교체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일 때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과거에 자주 참조했던 페이지를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다시 참조하는 패턴을 보이는 응용들에서 제안 기법이 기존의 기법들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 (Adolescent's Self-Estee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Interaction of Positive Self-Evaluation and Negative Self-Evaluation)

  • 정득;이종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73-284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환경특성(부모친밀도, 친구친밀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두 평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다. 즉 부정적 자아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에 따라 달랐는데, 긍정적 자아를 높이 평가할수록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감소했다. 또한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긍정적 자아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해결을 넘어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과 정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8-67
    • /
    • 201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다면 AHP 방법론을 활용한 역량 모델링과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Competency Modeling Using AHP Methodology and Improvement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 이재열;황승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1-20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gineer competency model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o improv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Korea has managed technical human resources at the government level through the operation of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that certifies engineers with national certificates or technical grades by laws. However, there have been increasing concerns that the government system is separated from global standards and does not reflect an engineer's comprehensive capabilities. For these reasons, the new architecture of the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and becomes a major policy issue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gineer competency model, domestic and global models were separately structured using 554 valid questionnaires with a consistency ratio (CR) of 0.1 or les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ngineer competency factors in a domestic model was career (0.383), qualification (0.253), academic degree (0.195), and job training (0.169) whereas the order in the global model was career (0.308), global ability (0.237), job training (0.175), domestic qualification (0.147), and academic degree (0.134). The results of AH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factors and methods recognized by engineers were different from a current government model focusing on domestic qualifications. There was also perceptua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ngineer evaluation factor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s and markets.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s and markets when evaluating engineer competency. Based on AHP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s, this paper discussed how to develop a new engineer competency index (ECI) and presented two effective index models verified by simulation test using 59,721 engineers' information. Lastly, the paper discussed major findings of our empirical research and proposed policy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a national engineer qualification system. The paper contributes to the management of technical human resources since it provides quantitative competency models that are objectively developed by reflecting market recognition and can be effectively used by the policy makers or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