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 Received : 2013.08.14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S) by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SS), school parents (SP),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HRDII)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HS education, about entering SH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HS. Seniors of middle school, SP and HRDII in Asan, Chungnam were the subject of this surve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SS and SP usually hop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such as SHS, meister high schools, and MSS considered school records and SP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for the factors to choose high school. Second, MSS, SP, and HRDII recognized purposes of SHS as improvement of talent and aptitude, and getting a job. As for posi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applying talent and aptitude to life early, getting good jobs easily, fast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and learning excellent technologies, and as for nega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students with bad school records enter them, disadvantages about promotion and wages, and being unfavorabl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ey also recognized education of SHS as being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asic and executive ability and key competency,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right personality and courteous manners. Third, many MSS and SP showed intention to enter SHS if it is established in Asan. They wished to enter SHS because they would like to apply their aptitude and talent to life early, learn excellent skill, and hope for early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wish to enter SHS because it was not suited for their aptitude and talent, awareness about SHS is low, it is unfavorable to enter universities, and there wer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y also similarly hoped for getting jobs and entering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from SHS. And the reason they wanted to get a job was usually because they want to be successful by advancing into society early, or because it is still hard to get a job even after graduate from the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ey want to enter university is because is usually in-depth education about major and social discrimination about level of education. The ability to perform duties forms the greatest part of the employment standard that MSS, SP, and HRDII aware. MSS and SP usually hoped for industrial,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and commercial majors in SHS, and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the promising future, and being favorable for employment for choosing major. The reason HRDII hire SHS student was to develop student into talent of industrial institution, ability of student, and need for manpower with high school graduation level, and there were also partial answer that they can hire SHS student if they have ability to perform duties. The proposal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H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 SHS should diversify major and curriculum to meet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 and parents, establish SHS admission system based on career guidance, an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duties by establishing work-based learning. The Government should organize work-to-school policy to enable practical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SHS, and promote relevant policy to reinforcing SHS educ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such as employment rate, and cooperative support from each government departments is required to make manpower with skill related to SHS to get proper evaluation and treatment.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성(2008). 전문계 고교 출신 대학 진학자의 진로현황 및 시사점. e-고용이슈, 제2008-16호,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 김동규(2012). 특성화고 선택의 자발성이 고졸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31(3), 25-42.
  3. 김상호(2008). 전문계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관한 비교연구 -상업정보 계열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소예(2009).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선택 만족 및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원 외(2011). 현 정부 핵심교육정책 진단 및 대책.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교육부(2013). 특성화고.마이스터고 '13년 졸업생 취업률 결과 발표. 2013년 5월 15일자 보도자료.
  7. 빙하나(2011). 광주광역시의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재영(2012). 현장 실습 요인이 특성화 고교생의 취업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재영, 이병욱(2013a).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 실습 효과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1), 145-161.
  10. 안재영, 이병욱(2013b).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직장 생활 만족도와 현장 실습 요인간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93-110.
  11. 오석영(201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직업교육연구, 31(3), 135-151.
  12. 이병욱(2012). MB정부의 중등교육단계 직업교육 성과와 차기 정부의 직업교육 방향. 2012 한국직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 9-31).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이병욱 외(2010).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직업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4. 이병욱, 노태천, 김춘길(2002). 공업계 고등학교 맥락에서의 직업교육 발전 방안-공고 교육의 현안문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7(2), 53-66.
  15. 이상준 외(2008).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이영대(2010). 중학생의 고교 진학유형별 고교 졸업 후 진로비교. 제 5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이정규(2011). 특성화 고등학교별 진로선택과 진로지도의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명희(2012). 고졸 취업 촉진 정책과 추진 경과와 방향.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주최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현장 간담회 자료.
  19. 조군제, 김선진(2009). 고등학교 상업계 학생의 진로의식을 통한 진로지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54, 1-22.
  20. 조용 외(2011). 특성화고 진로이력분석 연구 2011. 서울특별시교육청.
  21. 초.중등교육법시행령(2013). 타법개정 2013.3.23, 대통령령 제24423호.
  22. Finch, C. R. & Crunkilton, J. R. (1999).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5th ed). MA: Allyn & Bacon.
  23. OECD(2010). Learning for jobs. Paris: OECD.
  24. 아산시청 기업사랑 홈페이지(2013). http://giup.asan.go.kr.
  25. 충청남도교육청(2013). http://www.cne.go.kr.
  26. 한국교육개발원(각 년도), 교육통계연보. http://cesi.ke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