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 Principal's Cognition on his Job Performance in Meister High Schools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한 교장의 인식분석

  • 현수 (한국교원대학교, 수원하이텍고등학교) ;
  • 김진수 (한국교원대학교)
  • Received : 2013.08.11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the principals of meister high schools by analysing their perception of the standards of performance of their duties. To carry out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standards of performance of the duties of the principals of meister high schools through the systematic research on the realm of the duties of the principals of meister high schools, and analysed the principals' perception of their duties using the developed standards of performance of their du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 In the stage of planning the school management, the school management plan, the ways to get budget, the plan for evaluation and feedback of the accomplishment of the performance of school management plan should be included. Second, The area of the school management is subdivided into securing school budget, reviewing and arranging the budgets demanded by teachers, executing school budgets, obtaining school equipments and facilities, maintaining school equipments and facilities, managing school feeding, organizing and operating school steering committee, reflecting the opinions of school steering committee. Third,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y a job analysis and the teaching should reflect the analysis. Fourth, The area of the career path and the management of the career for young meisters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demand of students, parents, and companies, the development of meister growth route and program for managing their career, and the analysis of meister growth route and reflection o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fth, The field of guiding students includes supporting the students counseling service, and managing a variety of school events. 6th, In the realm of cooperation with communities are included designing programs for collaborating and training students with companies, building cooperation with companies, and obtaining supports from commun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7th, In the area of supporting teach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it figured out that supporting teachers' voluntary learning and studying should take a top prior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meister high school principals to have capability to deal with meister growth route and career management, supporting collaboration with other organizations, building and managing laboratories, encouraging teachers' professional improvement, and operating school curriculum and teaching activities.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기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여 역량을 갖추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직무수행 기준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직무수행기준을 토대로 전국 35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인식 분석을 하였다. 질문지는 직무수행빈도, 중요도 및 곤란도의 세 가지이었고 질문 내용은 10개 직무 영역의 80개 직무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인식분석결과 첫째, 학교 경영 계획 영역에서는 학교 경영계획 수립, 예산확보 계획 수립, 학교 경영실적 평가 및 피드백, 둘째, 학교 경영 관리 영역에서는 학교 예산 확보, 교직원의 예산 요구 검토 및 예산안 조정, 학교 예산 집행 및 관리, 학교 시설 설비 확보, 학교 시설 설비 유지 관리, 학교급식 관련 업무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구성 및 운영 관리, 학교 운영위원회 협의 결과를 학교 운영에 반영, 셋째, 교육과정 및 수업운영 영역에서는 산업체 직무분석, 교육과정 개발, 넷째,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영역에서는 학생, 학부모, 산업체의 요구 분석,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프로그램 개발, 마이스터 성장 경로 분석 및 학교 교육과정 반영, 다섯째, 학생 지도 영역에서는 학생 상담 활동 지원, 각종 학교 행사활동 관리, 여섯째, 대외 협력 지원 영역에서는 산학협력 연계 교육계획 수립, 산학협력 연계 교육 산업체를 확보, 지역사회지원 확보, 대외기관 지원 확보, 일곱째, 교직원 전문성 개발지원 영역에서는 교직원의 자율장학 및 연구 활동이 지원 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결론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이 보다 직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마이스터 성장경로 및 경력관리, 대외 협력 지원, 실습실 구성 및 운영, 교직원의 전문성 개발 지원, 교육과정 및 수업 운영 등과 관련된 능력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무섭(1990). 교육행정가 교육.훈련 체제 및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강인애, 문수모, 강민석(2007). 원격대학 교직원 직무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교육과학기술부(2008). 한국형 마이스터고 육성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08). 전문계고 발전을 선도하는 한국형 마이스터고등학교 육성계획.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09). 마이스터고등학교 선정 결과 발표 보도자료. 교육과학기술부.
  6. 김이경, 한만길, 박영숙, 홍영란, 백선희(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김이경, 한유경, 박상완(2011). OECD 국가 학교장 리더십 개선. 아카데미프레스
  8. 김진수(2006).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9. 김진수(2008). 공업계열 고등학교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학교컨설팅 모델 및 사례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1-25.
  10. 김진실(2007). 전문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분석; 2007년도 서울대학교 농생대 중등교육연수원 연수 참여자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29-57.
  11. 나민주, 이차영, 박상완, 김민희, 박수정(2009) 교장공모제의 공모교장 직무수행에 대한 효과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3), 297-320.
  12. 남한식(1992). 학교와 학급경영 총론. 형설출판사.
  13.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혜정(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14. 서정화, 서성옥, 김동희, 이수임(2002). 교장학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5. 오승균, 김진수(2008). 공업계열 고등학교 역할과 기능의 우선 순위에 관한 공업교육 전문가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3(2), 97-119.
  16. 장명희, 김종우, 민상기(2010). 마이스터고 육성 정책 성과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17. 정일화(2007). 교장의 직무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정일환(1996). 교육행정학: 이론과 적용. 중앙적성출판사.
  19. 정태범(2000). 학교경영론. 교육과학사.
  20. 조대연(2006).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연구동향 : 1990년-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21. 조대연(2009). 교사 발달단계별 직무역량 요구분석: 서울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2. 조대연, 유희종, 이재능, 이성순, 김인성, 정미영, 박용호(2010).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23. 주삼환(2005). 교장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4. 진동섭(1995). 중등학원교원 평가.보상 및 연수 체제 연구. 미출판 보고서.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 직업교육훈력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황성환, 김진수(2003). 산업체 경력을 가진 공업계고등학교 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조사(경기도 지역).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1), 103-113.
  27. Blumberg, A. & Greenfield, W.(1980). The effective principals: Perspectives on school leadership. Boston: Allyn and Bacon.
  28. Glassman, N. S. & Heck, R. H.(1987). Administrator engagement in education for decision making: The case of teacher assignment to classrooms. Administrator's Notebook, 32(5), pp.1-4.
  29. Kenneth, D. & Dunn, R.(1983). Spiritual leadership for principals. New Jersey: Prince Hall Inc.
  30. Lipham, J. M. & Hoeh, J. A.(1974). The principalship: Foundations and functions. New York: Harper & Row.
  31. Sergiovanni, T. J.(2001). The principalship: 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 (4th ed.). Boston: Allyn and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