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Recognition and Needs about STEA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 Received : 2013.08.11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recognition and needs of STEAM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For this study, survey using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This study includes the recognition and the needs on STEAM education of general and industrial subject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In order to carry on this study, 65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of 16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echnical fields in the whole country. Practically, 611 questionnaires (257 of normal subject teachers and 398 of industrial subject teacher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it is known that the needs of STEAM education is larger to industrial subject teachers than general subject teachers. But it is disclosed that STEAM education is more difficult to general subject teachers than industrial subject teachers. In requirements of teaching-learning, general subject teachers only required reference materials, but industrial subject teachers needed STEAM lesson under the same subjects and data sharing system as a priority. General and industrial subject teachers also considere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a priority. Finally, i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requirement, both of them demand to reduce administrative tasks as a priority.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16개 시 도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750명에게 설문지를 발송하여 655매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611매(보통교과 234매, 전문교과 377매)의 응답지를 바탕으로 실태, 인식,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교과 교사에 비해 전문교과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STEAM 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은 보통교과 교사가 전문교과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요구에서는 보통교과 교사는 참고자료 보급을, 전문교과 교사는 동일 교과 간 STEAM 수업 및 자료 공유 시스템 마련이 최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 재정적 요구에서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사 모두 행정적 업무경감이 우선 요구도 순위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공업계열 전문 교과(상).
  2. 교육과학기술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공업계열 전문 교과(하).
  3. 교육과학기술부(2012.4.2). 2012년 STEAM 리더스쿨 및 교사연구회 발대식 자료집, 1-38, COEX.
  4. 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도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현황. http://www.mest.go.kr/web/1105/ko/board/view.do?bbsId=147&boardSeq=37877&mode=view에서 검색함(2013.7.31).
  5. 교육부(2013).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특성화고등학교).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6535&efYd=20130323#0000에서 검색함(2013.7.31).
  6. 금영충, 배선아(2012).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57-76.
  7. 김근혜(2012).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실태 조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김선태, 유병로(2002). 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방법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2), 12-45.
  9. 김선태(2012). 201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II). 교육과학기술부 연구보고서.
  10.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11.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12.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13. 문대영(2007). 기술 교육의 미래 전망: 네 가지 시나리오.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1), 119-132.
  14. 방성혜(2012). 통합교육과 STEM 교육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배선아, 금영충(2010).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44-67.
  16.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17.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8. 안혜령(2011). 통합교육과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옥준필(1999). 직업교육분야 특성화 고등학교의 최근 현황과 발전 과제. 직업능력개발연구, 2(1), 37-69.
  20. 이동윤, 김기수, 이창훈(2011). STEM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59-180.
  21.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22. 장현진(2012). 융합교육(STEA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융합인재교육 정책 설명. 2012년 STEAM 리더스쿨(연구시범학교) 및 교사연구회 발대식 자료집.
  24. 한혜숙, 이화정(2012). STEAM 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25.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