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untilizing TAI model based on module, used in survey subject of construction department - By applying standard-based assessment system for technical subject

건설계열 측량교과에서 활용할 모듈 기반의 TAI 모형 적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 전문교과 성취평가제를 적용하여

  • Received : 2013.08.09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that learners should be basically equipped to quickly respond to changes in demand for future human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an attitude to take part in learning voluntarily should thus be cultivated. To this end, the author applied the TAI model based on a module as a class strategy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several classes occurred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his application of the TAI model was also motivated by the necessity for designing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encourages improvement of self-learning capacity, consistent learning motivation, and willingness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Through this work, the author aims to heighten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improve endurance in learni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unit was structuralized as a module and then learning stages were proceeded with so that capacity to adapt to learning would improve. The achievement standard (learning goal) was structuralized in a module type by analyzing and reorganizing the textbook considering the link between the actual practice field and a curriculum based on subject characteristics. Through the process of module type learning stages, the student's capacity to ascertain characteristics of units and to adapt to learning both improved. Second, through application of a TAI model based on a module,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and capacity to adapt to a new field improved. By applying the module, Self-Directed Learning could be accomplished more effectively than in the existing passive learning environment. By grafting cooperative learning of the TAI model, students had greater interest and achievement in classes, self-confidenc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ir thinking. In particular,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is effective in cultivating the capacity required in industrial society to transcend the learning of simple functions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capacity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Third, by solving tasks focused on fields related to industrial sites, not only actual survey capacity but also additional capacity to identify and solve task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mproved. Furthermore, it was helpful for students to have interest and motivation about their own life and learning to cultivate the qualities and capacity to adapt to the working world where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rapidly change. Fourth, by applying a standard-based assessment system for technical subjects introduced in 2012 to model design for learning plans, clearer and more objective assessment criteria were arranged, and individual learning through instruction at each achievement level could be accomplished. This improved achievement level of individual learners was helpful in reaching achievement goals at specific levels by overcoming the disadvantages of cooperative learning in each group.

본 연구에서는 미래 인력 수요 변화에 대하여 효율적 효과적으로 신속 대응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학습자의 태도로 자발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는 자세를 길러야 한다는 점에 주안점을 갖고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어떤 외부적인 요인보다 자기학습능력 신장과 지속적인 학습동기 및 의지를 가질 수 있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고안의 필요성과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수업관련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수업 전략으로 모듈기반의 팀 보조 개별학습(이하, TAI)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 내고, 학습 지속력을 높여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단원을 모듈식으로 구조화하여 학습단계를 진행함으로써 학습적응 능력이 향상되었다. 성취기준(학습목표)은 교과 특성상 실무 현장과 교과 간 연계를 고려하여 교재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모듈식으로 구조화함으로써 모듈식 학습단계의 과정을 통해 단원의 특성 파악과 학습 적응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모듈 기반의 TAI 모형 적용을 통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현장 적응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모듈식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종래의 수동적인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었으며, TAI 모형과 협동학습의 접목으로 함께하는 수업에서의 흥미와 성취감, 자신감과 공동체 의식, 그리고 사고의 폭을 넓히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특히 자신감의 향상은 단순 기능 및 지식의 습득에서 벗어나 산업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산업현장과 관련된 보다 현장 중심적인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측량실기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과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등 부가적인 능력 또한 신장되었다. 나아가 학생 스스로 자신의 생애와 학습에 대한 관심과 동기를 일으키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길러내는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2012년부터 도입된 전문교과 성취평가제를 학습지도안 모형 구안에 적용하여, 보다 명료하고 객관화된 평가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성취수준별 지도를 통해 개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상하였다. 이는 모둠별 협동학습의 단점을 보완하여 학습자 개인의 성취수준을 높이고, 일정 수준의 성취목표에 도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소진(2004).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TAI모형의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김선태 외(2001). 직업교육훈련 학습환경변화에 따른 모듈식 교재체제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김선태 (2002). 공고 전기.전자 분야 전문교과 모듈식 컨텐츠 체제 개발 방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7(1), 36-53.
  4. 김선태 외(2013).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및 안착방안 모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김학식, 정광영(2003). 공업기술 모듈교재 개발 및 웹 컨텐츠연계학습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1), 127-138.
  6. 김헌규, 이상혁(2007). 공업계 고등학교 "자동차기관" 과목의 흡, 배기 장치 정비 수업에서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1), 33-54.
  7. 나승일 외(2010). 고교 직업교육 선진화 추진을 위한 교육역량 강화 방안 탐색세미나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박지연 외(2012). 정교화 이론에 의한 건설교과서의 교과내용 비교.분석-7차 교육과정,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국정교과서 중심으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99-125.
  9. 손주민, 김판욱(2006). 공업계 고등학교 실기 교육에서 동료지도법을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전략.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1), 23-45.
  10. 손주민 (2010). 이고그램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협동학습 교류패턴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1), 68-86.
  11. 이경엽, 이상봉(2002). 공업계고등학교 "역학"과목 "보의 단면력" 단원에서 STAD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7(2), 22-34.
  12. 이무근(2003). 직업교육학 원론(제3판). 교육과학사.
  13. 이수경 외(1999).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이수경 외(2000).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이영민, 최완식(2004). 공업교육을 위한 비동기 학습 네트워크기반 모듈식 교수-학습 모델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9(2), 51-65.
  16. 정성욱(2005). 공업고 '공작기계I' 교과의 모듈식 교수-학습지도안 설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