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 김영훈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태훈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 Received : 2013.08.08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right concept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identify recogni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analyz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in Korea. Using random sampling technique, 50 classes of 61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used Semantic Differential(SD) suggested by Osgood(1957). SD consisted of a number of adjective pairs, finally, this study used 11 adjective pairs to have validity. 1,198 out of 1,441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 return rate of 83.14%), among which 93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Wi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Higher average is female students'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an male students' tha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only 20% that receive career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3. They have positive images who hope for going on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education than the others. 4.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becaus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y have the more possitiv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more know it, to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 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 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 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8). 한국형 마이스터고 도입 및 육성 방안.
  2.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중등교육법시행령 개정안.
  3. 김기수, 이창훈(2010). 의미분별법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2), 25-42.
  4. 김나리(2010).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대진(2009). 컴퓨터 게임 개발 교육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컴퓨터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선희(2007). 경기도 지역 초, 중, 고등학생의 실과(기술, 가정) 교과에 대한 이미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류영현(2005). 의미분별법에 의한 중, 고등학생의 기술교과에 대한 이미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박순식(2012). 마이스터고등학교의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9. 박은혜(2012).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배상훈, 김효선, 김국군(2011).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 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열린교육연구, 19(3), 149-175.
  11. 서혜진(2012). 국가 이미지가 한식의 이미지, 한식의 태도와 한식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신필식(2012). 초등학교 일반학생과 발명영재반 학생이 인식하는 발명에 대한 이미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신현석, 정주영(2009). 전문계 직업교육의 대안으로서 마이스터고 정책의 방향과 과제, 직업교육연구, 28(4), 157-182.
  14. 유세진(2010). 중학생의 국어 교과에 대한 이미지 조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윤계봉(2009). 특성화고 학교장의 역할수행과 역할기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윤성원(2000). 주한 외국 유학생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 조사연구.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이동근(2011). 일반 전문계 고등학교와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이명훈, 조동헌(2011).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직업교육연구, 30(1), 291-311.
  19. 이종승(2009).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 정의훈(2011).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및 진로 인식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최경희(2010). 특성화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도자공예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2. 최기종(2002). 도시 이미지와 환경단서, 가치지각, 관광행동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14, 185-208.
  23. 황윤주(2005).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선택시 개인.사회적 환경요인 및 결정요인간의 차이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24. Charles E. Osgood, Gearge J. Suci, Percy H. Tannenbaum(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illinois.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마이스터고 지원센터. http://www.meiste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