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olescent's Self-Esteem,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Interaction of Positive Self-Evaluation and Negative Self-Evaluation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

  • Received : 2015.07.21
  • Accepted : 2015.08.20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2,040 middle school senior student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2 Data (KCYPS 2012)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the ecological perspectives, this study considers two factors which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one factor i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parent intimacy, friend intimacy, teacher intimacy and study adaptation, and the other factor i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elf-esteem as one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categories, positive self and negative self. The two categories are found to have some interaction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evaluation level. The effects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ppear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As the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becomes higher, the effects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becomes higher as the level of the negative self-evaluation is lower, and the life satisfaction is not high relatively at the low level of the positive self-eval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ving the adolescent's negative self-formation problem can not bring out the positive self-formation and there should be some plans for the positive self-formation more than simply solving the negative self- formation problem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3차년도(2012)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2,040명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환경특성(부모친밀도, 친구친밀도, 교사친밀도, 학습적응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였다. 개인특성으로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에 대한 평가라는 별개의 두 차원으로 구분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서 두 평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다. 즉 부정적 자아평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자아평가 수준에 따라 달랐는데, 긍정적 자아를 높이 평가할수록 부정적 자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음(-)의 영향은 감소했다. 또한 부정적 자아평가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긍정적 자아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긍정적 자아 형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자아 형성의 문제해결을 넘어 긍정적 자아 형성을 위한 방안과 정책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방정환재단, 2014년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 2014.
  2. 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3, 2013.
  3. E. Diener and D. Diener,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No.4, pp.653-663,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8.4.653
  4. F. Fujita and E. Diener, "Life satisfaction set point;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8, No.1, pp.158-164, 2005. https://doi.org/10.1037/0022-3514.88.1.158
  5. 송정화, 다충 모형을 적용한 학생 행복의 설명요인 탐색,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1.
  6. 전미경, 장재숙,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3호, pp.103-118, 2009.
  7.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9.
  8. 홍연란, 이가언, 박현숙,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구조모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333-346, 2000.
  9.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Inc, 1979.
  10. 이미리,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변인들의 적응도 :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2호, pp.263-293, 2005.
  11. 성은모, 김균희,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적응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4호, pp.177-202, 2013.
  12. 윤민지, 유성경,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적응도에서 긍정사고, 의미발견 및 의미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21권, 제1호, pp.147-167, 2013.
  13. 윤숙진, "청소년의 긍정적 정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신경증과 외향성 척도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6권, 제2호, pp.325-338, 2008.
  14. 조성연, 김혜연, 김민, "생태학적 맥락에따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3호, pp.87-98,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3.087
  15. R. J. Larsen, and T. Ketlaar, "Personality and susceptibility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1, pp.132-140,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1.132
  16. B. L. Fredrickson,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Vol.56, pp.218-226, 2001.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18
  17. S. Harter and B. J. Budd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simultaneity of two emotions: A five-stage developmental acquisition sequ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3, No.3, pp.388-399, 1987. https://doi.org/10.1037/0012-1649.23.3.388
  18.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6권, 제1호, 2006.
  19. 이순성,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0.
  20.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5.
  21. 박선영, "대학생들의 자기관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서울과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2권, 제3호, pp.71-92, 2005.
  22. E. Diener and M. E. Seligman,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Vol.13, No.1, pp.81-84, 2002. https://doi.org/10.1111/1467-9280.00415
  23. U. Bronfenbrenner,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R. Vasta(Ed.), Annals of child development, Vol. 6. Six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Revised reformulations and current issues," pp.187-249, London: JAI Press. 1989.
  24. S. Lyubomirsky, L. king, and E. Diener,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31, No.1, pp.803-855, 2005. https://doi.org/10.1037/0033-2909.131.6.803
  25. 유안진, 이점숙, 정현심, "정서조절 양식과 부모 애착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67-181, 2006.
  26. 이윤화, "조손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낙인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4호, pp.137-158, 2010.
  27. 김윤나, 박옥식,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 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1호, pp.79-99, 2009.
  28. 신미, "청소년 삶의 질 척도 타당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1호, pp.163-194, 2012.
  2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2012a.
  3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패널 1-3차년도 User's Guide, 2012b.
  31. 김신영 외, 청소년 발달지표 조사 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32.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0.
  33. G. C. Armsden and M. T. Greenber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6, No.5, pp.427-454, 1987.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4.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1.
  35. 박영신, 김의철,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4호, pp.973-1003, 2004.
  36. D. Watson,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analys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their relation to health complaints, perceived stress and daily activit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6, pp.1020-1030,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4.6.1020
  37. 윤철경, 청소년정책 총괄조정 방안, NYPI 청소년정책 리포트, p.3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