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e Change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4초

가변 시상수를 이용한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 (Auto Exposure Control System using Variable Time Constants)

  • 김현식;이성목;장원우;하주영;김주현;강봉순;이기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7-264
    • /
    • 2007
  •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는 보기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 자동 초점거리 조정(Auto Focus), 자동 색온도 보정(Auto White Balance), 자동 노출 조정(Auto Exposure)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리한 기능들 중 하나로서 새로운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은 가변 시상수(Variable Time Constant)를 가지는 IIR Filter를 이용한다. 먼저 노출제어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사진에서 밝기변화와 Zone System에서 보여주는 사물의 휘도정보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휘도변화 특성 그래프를 얻는다. 얻어진 이상적인 휘도 변화 그래프와 현재의 노출설정을 비교하여 적정 노출의 설정을 찾는다. 제안하는 자동 노출제어 시스템은 적정 노출을 얻을 수 있는 설정으로 조정하기 위해 기존의 마이크로 콘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방법과 달리 IIR Filter를 사용하므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콤팩트 이미지 센서모듈(ISM)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producing Summarized Video Contents based on Camera Framing and Focus

  • Hyung Lee;E-Jung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85-9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장편의 드라마나 영화에서 스토리 기반의 축약된 요약본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촬영 단계에서 황금분할을 고려한 공간감 있는 프레임 구성과 내용 전달 차원에서 시청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한 관심 대상에 대한 초점을 기본 전제로 했다. 이에 적정한 프레임들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하기 위해서 기존의 씬(scene) 및 숏(shot) 검출에 대한 연구, 초점과 관련된 블러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들에서 활용되었던 요소 기술들을 활용했다. 유튜브에서 공유되는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변환한 후 프레임별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영역으로 프레임 전체 영역과 3개의 부분 영역으로 구분했고, 해당 영역별로 각각 라플라시안 연산자와 FFT를 적용한 결과들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관성 있고 강건한 FFT를 선택했다. 프레임 전체에 대한 계산값과 3개 영역의 계산값들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선명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조건을 기반으로 대상 프레임을 선별했다. 이렇게 선별된 결과를 토대로 숏 내에서 프레임들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프라인 변화점 탐지기법을 적용한 결과와 접목시켜 최종 프레임들을 추출했고, 이를 기반으로 편집결정리스트를 구성하였으며, F1-스코어 75.9%를 갖는 62.77%로 축약된 요약본을 제작했다.

3D 미디어아트의 시각적 몰입감 극대화 방안 (A Plan to Maximizing the Visual Immersion of 3D Media Art)

  • 김기범;김경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59-669
    • /
    • 2015
  • 최근 미디어아트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2D에서 '3D'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3D 미디어아트는 미디어파사드, 홀로그램, 가상현실, 앱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콘텐츠 장르와 융합하며 활용의 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가장 우수한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Pirx Ars Electronica의 3D 수상작들을 대상으로 '시각적 몰입감 요소'를 분석하여 미디어아트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감정을 고조시키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 시각적 콘셉트의 관점에서 3D 모델링 및 맵핑 등 '창의성'과 '다양성'이 있는 콘셉트를 개발하고, 모든 콘셉트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애니메이션, 포스트프로덕션 등 콘셉트의 '제한성'을 강화할수록 미디어아트 작품으로 관심이 집중되었다. 시각적 기승전결 관점에서 3D '형태'와 '재질' 등의 질적 변화가 기승전결로 배치하고, '개수'와 '크기' 등의 양적 변화가 점층적으로 증가하며, '화면전환' 등의 편집 변화가 체계화할수록 감정이 고조된다. 결국 3D 미디어아트의 시각적 몰입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3D 시각적 '콘셉트를 개발'하면서 '일치화'하고, 3D 시각적 '기승전결을 강화'하면서 '체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장면의 유사도 패턴 비교를 이용한 내용기반 동영상 분할 알고리즘 (Content based Video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Comparison of Pattern Similarity)

  • 원인수;조주희;나상일;진주경;정재협;정동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252-1261
    • /
    • 2011
  • 본 논문은 내용기반 동영상 분할을 위한 장면의 유사도 패턴 비교 방법을 제안한다. 동영상 장면 전환의 종류는 크게 급진적 전환과 디졸브(dissolve),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 와이프 전환(wipe transition)을 포함하는 점진적 전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모든 종류의 장면 전환 검출 문제를 단지 발생 유무의 문제로 간단 정의하고, 장면 전환 종류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장면 전환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프레임간의 유사도를 정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 내 유사도(within similarity)와 장면 간 유사도(between similarity)를 정의하며 두 유사도의 통계적 패턴 비교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장면 전환을 검출하게 된다. 장면 내 유사도와 장면 간 유사도의 비율을 구하는 방법을 통해 플래시라이트나영상 내 물체 움직임에 대한 거짓 양성 검출을 별도의 후처리 과정 없이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프레임의 특징 값으로는 컬러 히스토그램과 프레임 내 평균 화소값을 이용하였다. TREC-2001, TREC-2002 동영상 셋을 포함한 실험 셋에서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경우 총 91.84%의 재현율(recall)과 86.43%의 정확도(precision)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정 구운몽>의 서사 전개 및 주제 구현 양상과 그 의미 (The narrative and theme of )

  • 엄태웅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99-144
    • /
    • 2017
  • 이 논문은 <구운몽>의 활자본 고전소설 이본인 <연정 구운몽>에 주목하여, 이 이본이 지니고 있는 서사 전개 및 주제 구현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전소설 연구에서 이본은 선본을 확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연정 구운몽>의 특징을 이본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면모로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본의 특징적 성격을 희곡적 측면에서 찾았다. 우선 연정(演訂)이라는 단어가 제목에 부기된 이유를, 다른 작품의 제목에 연정(演訂)이 부기된 경우로부터 그리고 이본 내의 몇몇 표지로부터 찾았다. 다음으로는 이본의 서사 전개 양상에서 그 특징을 찾았다. 이는 '풍부한 상황 서술', '직접 발화의 빈번한 등장', '대화 내용의 구체적 서술', '시 상소문의 제시'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선본 계열과 비교하여 <연정 구운몽>의 차이점을 도출하였고, 이 차이점이 <연정 구운몽>의 서사적 의미망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였는지 따져보았다. 다음으로 주제 구현 양상에서 그 특징을 찾았다. 이 이본은 선본 계열과 유사한 주제 의식을 지니고 있으되, 각몽에서 가시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장면 전환 부분을 생략하는 대신 이를 성진의 인식적 차원의 변화로 갈음하였다. 이로 인해 주제 구현의 과정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했고, 수용자들은 변화된 서사에 보다 공감했으리라고 보았다. 요컨대 <연정 구운몽>은 곳곳에서 희곡적 성격을 드러내는 바, 이 이본이 정밀한 연극 대본은 아니지만 공연 상황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했다.

인공위성 영상의 객체인식을 위한 영상 특징 분석 (Feature-based Image Analysis for Object Recognition on Satellite Photograph)

  • 이석준;정순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5-43
    • /
    • 2007
  • 본 논문은 특징검출(feature detection)과 특징해석(feature description)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 매칭 (matching)과 인식(recognition)에 필요한 다양한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인식률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내용을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특징분석과 매칭프로세스를 위해, Lowe의 SIFT(Scale-Invariant Transform Feature)를 이용하며,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검출하고 해석하여 특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다. 특징 데이터베이스는 구글 어스를 통해 획득한 위성영상으로부터 50여개 건물에 대해 구축되는데, 이는 각 건물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점들의 좌표와 128차원의 벡터의 값으로 이루어진 특징 해석데이터로 저장된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각 건물에 대한 정보가 태그의 형식으로 함께 저장되는데, 이는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입력영상과의 비교를 통해 입력영상이 가리키는 지역 내에 존재하는 건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실험은 영상 매칭과 인식과정에서 작용하는 내-외부적 요소들을 제시하고, 각 요소의 상태변화에 따라 인식률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최종적인 시스템은 모바일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지도상의 객체를 인식하고, 해당 객체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간호중재로서의 원예요법에 관한 고찰 (Study Review of Horticultural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 김부영;김정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9-419
    • /
    • 2001
  • The referenc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rsing importance which was based a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horticultural therapy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which horticultural therapy was applicable as a nursing intervention through analysis on a preceding study. The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the areas of horticultural therapy which related as a nursing intervention, were psychologic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psycho-social aspects. It is judg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is effective in treating depression, emotional disruption or anxiety. It seems to be also effective in increasing the muscular tension and, thereby, expanding the scope of joint movements. Such theories show that horticultural therapy may be a good alternative nursing means. Plants act to create a pleasant interior atmosphere by generating anion,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purifying the air, and therefore, the horticultural therapy may be applied to clinic or environmental therapy. When horticultural therapy is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patients' sociopsychological needs may be fulfilled. It has been found that horticultural therapy is instrumental in treating perceptive or emotional disruption, depression, loss of self-respect, disrupted everyday activities and social behaviors. In particular, horticultural therapy seems to be effective in managing chronic patients' crisis or improving life quality. Intervention method applied on a preceding study was activity therapy and scene therapy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environmental horticultural therapy is useful as a new paradigm of nursing or holistic nursing conducive to improvement of health. So, it is desirable to prove its effects by applying it in the clinic. In order to apply horticultural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nurses on principles and methods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encourage them to apply it in nursing and clinics. Moreover, it may well be necessary to develop landscape therapy as nursing intervention as well as a variety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befitting the clin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provide for some scientific ground for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continued stud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patients' health improvement through change of environment. may well provide for a framework for such studies.

  • PDF

계절별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Viewers' Visual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

  • 정윤희;신지훈;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27
    • /
    • 2002
  • When we research a landscape or make a Landscape Impact Assessment, we use the image of a specific season like summer or fall. Since there are four distinct seasons, each with a different landscape, researchers need to understand viewers′visual preferences for individual seasonal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iewers′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and the respondent′s age, gender and profession. In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eason: suing, summer, fall, winter and snowy winter. Three landscape types used in the experiment: forest, street and agriculture. Each landscape type has two sites for reliability. The assessment media for this research are pictures featuring landscapes taken in each of the four seasons. The study used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for taking the score of visual pre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ummer landscape has the highest visual preference score. However, spring and fall landscape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visual landscape evaluation. 2. The visual preference of winter landscape covered with snow is very high, but since snow is temporal and irregular,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is factor for visual landscape evaluation. 3. The visual preference score of winter is the lowest of four seasons. The attractive factors of spring are flowers, summer is greenery and fall is autumnal tints. But these are not present in winter. 4. The result of visual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groups, gender and profession have no serious differences. 5. Visual preference to scenery of 4 seasons by age group was not different from general preference and thus was concluded to have no connection with age. 6. As a result from the research of visual preference to scenery of 4 seasons by sex, women were shown to like snow-scene more than men. This study presents an indication of general preferences of seasonal landscapes. It is expected that more advanced study will proceed after this one.

해마신경망을 이용한 관심 객체 기반의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Multimedia Retrieval System of the Object-Based using the Hippocampal Neural Network)

  • 정석훈;강대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2호
    • /
    • pp.57-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해마신경망(HCNN:HippoCampal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객체 기반 멀티미디어 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내용 기반 검색(Content-based Retrieval)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의 질의 방법은 입력 영상에 의한 질의 또는 컬러(color), 형태(shape), 질감(texture)등과 같은 low-level의 특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MPEG 기반의 압축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장면 전환 검출을 수행하여 샷을 검출한다. 이 샷 프레임에서 컬러 객체의 자동 추출을 위하여 similar colorization과 ACE(Adaptive Circular filter and Edge)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특징을 해마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한 후 멀티미디어 검색 시스템을 구성한다. 제안하는 해마 신경망은 호감도 조정에 의해서 입력되는 영상패턴의 특징들을 흥분학습과 억제학습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특징은 억제시키고 중요한 특징은 흥분학습을 통해 장기기억 시켜서 적응성 있는 실시간 검색 시스템을 구현한다.

비-파라미터 기반의 움직임 분류를 통한 비디오 검색 기법 (Video retrieval method using non-parametric based motion classification)

  • 김낙우;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2호
    • /
    • pp.1-1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샷(shot) 기반 비디오 색인 구조에서 비-파라미터(non-parametric) 기반의 움직임 분류를 통한 비디오 영상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장면 전환 기법을 통해 얻은 샷 단위의 짧은 비디오로부터 대표 프레임과 움직임 정보를 취득한 후, 이를 통해 시각적 특징과 움직임 특징을 추출하여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시-공간적 특징을 이용한 실시간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비-파라미터 기반의 움직임 특징의 추출은 MPEG 압축 스트림으로부터 정규화된 움직임 벡터계(界)를 추출한 후, 각각의 정규화된 움직임 벡터를 여러 개의 각도 빈(bin)으로 양자화하고 이의 평균과 분산, 방향 등을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대표 프레임에서의 시각 특징 검출을 위해서는 에지 기반의 공간 기술자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영상 색인 및 검색에 있어서 제안된 시스템이 매우 효과적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 영상의 색인을 위해서는 R*-tree 구조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