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of Student's School Life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충남지역 치위생(학)과 학생의 여가활동인식과 대학생활만족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towards leisur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in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Chungcheongnam-do area)

  • 유진아;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47-656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y recognition and campus lif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94 dental hygiene students at eight universities from January 11 to January 29, 2016. The questionnaire used a five point Likert scale to measure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towards leisure activitie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for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and perception towards leisure activities were 3.15 and 3.73, respectively, wich were both higher than the average. The campus life satisfaction of facilities, study, lif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isure activity recognition. Conclusions: Perception towards leisure activities wa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versity authoritie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active leisure time such as by establishing leisure programs and club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awareness of leisure activities and encourage them to make the most of university life.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의 실제와 정책적 시사점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Practices and Policy Implication)

  • 박승;이인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83-9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육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변지역 3개 고등학교 60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은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둘째, 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 가운데 사회적 요인보다 개인요인인 자기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이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담임교사는 먼저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제고시켜야 한다. 향후연구에서는 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포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일부 고등학생들의 일상생활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와 피로자각증상의 평가 (A Study on the Stress and Fatigue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Life Styles)

  • 이주영;송인순;정용준;조영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2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tial on stress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based on school life environments and daily life styl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2,381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sexes in Taejon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eriod from Mar. 1st to Jun. 30th, 2000. The analysis of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1.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stress, the normal subjects were 3.1%, the groups with potential stress were 64.7%, and the groups at high risk for stress were 32.2%. Higher level of stress existed in the female than the male students, and in the third grader than the 1st and 2nd grad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ypical constitutional symptoms of fatigue, category III (group with bodily projection of fatigue) was the most frequent and it was followed by category II (group with difficulty in concentration) and category I (group with dullness and sleepiness) in a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which showed that the predominant pattern of fatigue arose from the body parts. 2. With regard to the school life characteristics and stress score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shown in the groups with the lower grades, with worse friend's relation and with the lower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life. The scores for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male, in the low graders, in the better friend's relation, and in the satisfactory group than the respective counterparts. 3. Concerning home life characteristic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characterized by the recognized poor economic conditions, lower interests of parents, lack of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the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scores for the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student groups with good economic conditions, higher interests of parents, pres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and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4. Concerning daily life styles, the higher scores of stress were in the students who had inappropriate sleep hours, skipped breakfasts, daily consumption of intermeal snacks, lack of exercise, daily smoking, normal indices of obesity, and lower indices of health habit. Conversely, the scores of subjective fatigue symptoms were higher in the groups who had daily breakfasts, no intermeal snacks, daily exercise, no smoking than their counterparts. 5. The factors exerting influence upon the stress included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riend's relation,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exercise, school grades, interests of parents, school year, sex, scores of health habit, degree of obesity, economic conditions of home. Those influencing on the degree os stress included stress, intermeal snacks, smoking, friend's rela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home life.

6년제 약대 학제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및 향후 전략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6-year Pharmacy Program and Strategic Planning)

  • 이희정;심미경;하정은;김현아;문홍섭;곽혜선;최경업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8-295
    • /
    • 2014
  • Background: The pharmacy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has changed from four-year degree program to two-year pre-pharmacy program plus four-year professional degree program (a total of six years) since 2009.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final year student's satisfaction on this new pharmacy education system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student satisfaction. Methods: A paper-and-pencil survey instrument was administered to all final year pharmacy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South Korea during September of 2014.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tained 39 items. In part 1,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 regards to school utilities, education system, human resources, and communication domains were measured. In part 2, overall satisfactions with the new education system were asked to students. Responses were recorded on a seven point Likert scale. Results: A total of 207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showed low satisfaction on school utilities and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while they display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the faculty members and preceptors at clerkship site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education servic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students' satisfaction followed by facilities, standardized education, communication, administration, pharmacy practice (p<0.05). Conclusion: The qualification of faculty and preceptors ranked number one in students' satisfaction and i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School facilities were found to be the second most significant factor in students' satisfaction while students displayed poor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might need to be reflected in future education planning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일반긴장이론(GST)을 이용한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General Strain Theory approach to the Use of Cellular Phone 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심현진;이일현;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55-363
    • /
    • 2014
  • 본 연구는 Agnew의 GST에 기반하여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0 중1 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총 2,151명을 최종 연구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AMOS 21 Ver.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1398.997$, df=144, GFI=.937, NNFI(TLI)=.902, CFI=.918, RMSEA=.061으로 나타나 GST이론을 통해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대해 검증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긴장요인이 부정적 삶의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부정적 삶의 만족도는 휴대폰 의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폰 의존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중재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제공하려 한다.

학생 건강에 대한 OECD와 한국의 통계지표 (The Statistical Indicators of OECD and Korea for Student Health)

  • 신선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5-11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istical indicators of OECD and Korea for student health among Korea's approval statistics. Methods: Searching for health indicators by using Health at a Glance 2009, Society at a Glance 2009, and Education at a Glance 2009 through the formal OECD web site in 2010, and investigating the approval statistics through the Korean formal organizational web sites and published data in 2012. Results: Among OECD indicators, indicators for adolescent health wer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nutrition, physical activity, overweight and obesity, bullying, risk behaviors, and poverty children. However, most of Korea student health indicators were missing except poverty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because OECD has taken chiefly data from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survey (HBSC), international study, which has not been carried out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Korea have produced the major statistics for student health which was only 11 (1.3%) among 858 approval statistics. Conclusion: Identifying a current Korea school health is essential through participating actively to OECD whose statistic indicators are internationally comparable with Students Physical Development Survey, MEST's approval statistics, using Korea Student Health Examination. It was also suggested th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s for Korea student health statistics by the activation of approval statistics including processed statistics, and by researchers' easy expanded access to a raw data.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Life Stres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강용주;이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52-362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우울감,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경남 소재 J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공만족도 점수는 3.65±.59점, 우울감 점수는 1.74±.43점, 자아존중감 점수는 3.59±.70점, 대학생활 스트레스 점수는 1.50±.33점이었다. 대학생활 스트레스는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과는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우울감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소득, 전공만족도, 우울감이었다. 그 결과, 치위생과 학생들의 대학생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하며,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부모구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on Parental Composition)

  • 허자연;이민영;이미경;엄정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61-176
    • /
    • 2020
  • 본 연구는 부모구성(부모, 한부모)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KCYPS 초4 패널 데이터에서 총 310명의 데이터를 활용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는 부모구성에 상관없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양육태도(애정, 감독)는 한부모가정 집단에서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모가정 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한부모가정 집단에서만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아동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부모구성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짐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실무적 개입방법, 후속 연구에서의 방향성 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s)

  • 이진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21-330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청소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이차자료이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 1학년 자료(n=1,979)를 분석하였다.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술 분석,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건강수준은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26, p<.05). 주관적 건강수준(β=.18, p<.05)과 자아탄력성(β=.45, p<.05)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주관적 건강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데 있다. 이로써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수준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게임이론에 기초한 교사.학생 체벌합의안 적용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an agreement based on game theory about corporal punishment to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 신동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1-1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적절하고 타당한 체벌 방법을 구안하여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체벌상황을 게임이론를 적용하여 분석하여 어떤 경우에 체벌이 가장 최소화되면서 학교생활만족도가 증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교사와 학생 간에 체벌관련 정보의 공개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학생은 체벌 받을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불완전 정보가 주어지는 게임상황하에서는 50% 이상의 체벌 받을 행동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완전정보가 주어지는 게임상황 하에서는 체벌 받을 행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넷째, 완전정보가 주어지는 체벌사용지침이 규정되는 상황 하에서는 체벌의 빈도가 줄어들면서 학교생활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요약컨대 체벌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정책보다는 체별사용규정안과 같은 문서를 작성하는 등 체벌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어야 체벌 받을 행동을 억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