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of Learners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4초

우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별 인식 (Perceptions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Satisfaction on Online Lecture Content by Age Group)

  • 정혜령;우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의 온라인 강의콘텐츠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만족 요소 및 불만족 요소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우수한 온라인 강의콘텐츠 요소로 지적 자극을 제공하는 내용, 이해하기 쉬운 교수자의 설명, 열정적이고 학생을 존중하는 교수자의 태도, 길지 않은 강의시간을 전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는데 20, 30대는 실무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강의내용, 시청각에 민감한 화면구성, 최근 강의 영상인지에 대한 여부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교수자의 열정과 태도, 이해를 돕는 교수자의 설명을 우수한 온라인 강의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강의콘텐츠가 우수하다는 인식이 학습자의 연령대로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최근 코로나19로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강의콘텐츠 제작시 학습자의 연령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ED 활용 영어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PLS-SEM 적용 (Analyz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English Classes Using TED : using PLS-SEM)

  • 주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59-36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TED talk을 활용한 영어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TED talk이 수업 재료로의 활용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양영어 과목으로 50-60분간 한 학기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의 영어학습동기, TED talk 활용학습에 대한 학습 흥미도, 학습 태도, 학습 만족도, 학습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PLS-SEM 모델을 적용하여 SMART PLS 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학습동기는 수업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학습태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태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 영어수업에서 TED talk은 학습자에게 흥미와 만족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학습효과가 있으며 영어교육에서 활용할만한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MOOC 강좌 개발과 학습자 만족도 분석 -어패럴패턴캐드 교육을 중심으로- (K-MOOC Course Development and Learners' Satisfaction Analysis -Focusing on Apparel Pattern CAD Education-)

  • 최영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69-383
    • /
    • 2020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effectively teaching technic for pattern development and virtual garment manufacturing by adopting the K-MOOC platform for the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According to K-MOOC guidelines,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through the K-MOOC platform. A questionnaire survey was utilized to evaluate K-MOOC platform features in terms of learner satisfaction when adopting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52 colleg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urvey found that most of the attributes of the K-MOOC platform were highly rated in term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The user interface of the K-MOOC platform were shown to be satisfactory in terms of usability. Participants gave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benefits of online lectures when comparing online and offline lectures.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for online lectures in computer-related courses such as CAD was higher than the offline. It was concluded that the Apparel Pattern CAD curriculum based on the K-MOOC platform was effective and satisfactory for learners in various aspects.

여성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인터넷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Learning by Female Learner's Characteristics in Internet Education Program)

  • 임광명;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1호
    • /
    • pp.25-40
    • /
    • 2001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learning by femal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in interne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is study attempted to employ two way approaches by observing the degree of achievement for learning, which represents an instructor-oriented approach,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which represents a learner-oriented approach to enhance the quality of internet education for female learners. As an approach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learning(Tyler's classical approach),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Scriven's consumer-oriented evaluation model) were utilized. A survey form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fter reviewing the various tools originated from Boshier, Cross, Gagne and Choi, and distributed to a panel of judges that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samp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160 female learner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nd capital area, and the survey form was used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e SPSS WIN program was used in analyzing the data and a series of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from this study of female internet education. First, it was evident that female internet learners tend to utilize information from internet,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ticipants' positive attitud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Second, educational facilities and services should be improved in the future, because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low in these areas compared to curriculum and educational methodology. Third, the participating factors influenced by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the 'form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willingness to change' and the 'needs for education on internet', thus appeared that both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influenced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 Fourth,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learning was higher in the order of 1) attitude 2) function 3) knowledge, thus, attitude change was the most important in achievement of learning. Fifth, the individual background that influenced the level of achievement in learning were ag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s for the individual level of achievement for learning, the younger and more educated group were more satisfied.

  • PDF

뷰티디자인 교육에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유형이 라포 및 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Type on Rapport and Class Satisfaction in Beauty Design Education)

  • 박선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5-56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type on class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4 people taking classes related to beauty desig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5.0.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rapport with learners and class satisfaction. As the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ositively affects the formation of rapport and enhances class satisfaction, efforts are be needed to improve these aspect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type is a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rapport. Therefore, instructors need to use appropriate communication types, and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with learners can be enhanced through non-verbal cues, such as exchanging gazes, while having a natural posture, and smiling.

줌과 스페이셜의 학습자 경험 비교 평가 (Comparison of a Learner's Experience on Zoom and Spatial)

  • 이예진;정광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35-541
    • /
    • 2022
  • 줌(zoom)은 COVID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도구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메타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수업 목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메타버스 플랫폼은 로블록스, 제페토, 스페이셜 등의 여러가지 유형이 있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수업에서 스페이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고, 특히 줌과 비교한 스페이셜의 학습자경험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경험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사용성, 몰입감, 만족도의 정량 분석과 학습자 의견에 대한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SUS(System Usability Scale)를 활용하였고, 몰입감과 만족도 평가를 위하여 Magnitude Estim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했던 35명이 본 연구의 피실험자로 참여하였다. 줌과 스페이셜에 대한 사용성과 만족도는 줌이 스페이셜보다 유의수준 0.0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업에 대한 몰입감은 스페이셜이 줌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줌을 스페이셜보다 더 편하고 만족스럽게 생각하였다. 하지만, 스페이셜은 온라인 강의실 생성과 다양한 학습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교수자와 학습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인터랙션과 재미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업에의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스페이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대학 수업에서 줌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ork Application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rner Posit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 강려은;양성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169-196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IT(inform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다양한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품질의 IT관련 교육서비스 제공의 필요성 및 중요성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교육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다양한 맥락에서 활발히 진행된 바 있으나, IT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RVPERF 모형 및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및 공감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세부 IT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습자의 교육만족도, 나아가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학습자 직위(실무자 집단/관리자 집단) 및 참여동기(자발적 참여집단/비자발적 참여집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추가분석도 실시하였다. 서울 소재 'M'교육기관 203명의 IT교육 참가자 대상 설문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IT교육 서비스품질의 다섯 가지 차원 가운데 유형성, 신뢰성 및 확신성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교육만족도는 현업적용의도와 추천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IT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가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ERVPERF 모형을 활용하여 IT교육 맥락에서 IT교육 서비스품질의 영향력을 실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가 IT교육 서비스 제공기관의 교육만족도 제고 및 효율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Learner-Generated Digital Listening Materials Using Text-to-Speech for Self-Directed Listening Practice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148-15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learners' perceptions of using self-generated listening materials based on Text to Speech. After taking an online training session to learn how to make listening materials for extensive listening practice outside the classroom, the learners were engaged in practice with self-generated listening materials for 10 weeks in a self-directed way. The results show that a majority of the learners found the TTS-based listening materials helpful to reduce anxiety toward listening and enhance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with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listening ability. The learners' general satisfaction can be attributed to some beneficial features of TTS-based listening material, including freedom to choose what they want to learn, convenient accessibility to the material, availability of various native speakers' voices, and novelty of digital tools. This suggests that TTS-based digital listening materials can be a useful educational tool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istening practice outside the classroom in EFL settings.

e-러닝과 m-러닝 환경에서 영어학습자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심리적 행동에 대한 차이 (The experimental study of understanding English learners' psychological attitudes: A comparison between e-러닝 and m-러닝)

  • 정희정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375-393
    • /
    • 2011
  • Many aspects of e-러닝 and m-러닝 have been conducted in language learning settings while few studies have examined learners'psychological attitudes in both Internet-based languages learning environment. Althoughe-Learning and m-Learningin the content of language learningshares many common aspects, the study that particularly examinesEnglish learners' psychological attitudes from both learning environments has not been conduc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roup difference between e-러닝 and m-러닝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both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Contextual Offer, Interactivity, Enjoyment, Usefulness, Easiness, Variety, Connectivity,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even if there was little difference within and among groups in English learners' feelings, learners have different attitude on Enjoyment, Easiness, and Connectivity.

  • PDF

블렌디드 러닝 수업 참여형태에 따른 성인대학생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ult Colleg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Blended Class Participation)

  • 정복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97-907
    • /
    • 2023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수업 참여형태에 따른 성인대학생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성인학습자의 블렌디드러닝 수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LiFE 사업(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2개교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경우 블렌디드 러닝 과목으로는 교양+전공수업에 참여하는 비율이 77.8%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을 참여하는 장소로 자택이 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 교·강사 교수법 만족도는 '보통'이상이 95.2%로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방식을 적용한 수업 만족도에 대해서는 '그렇다' 이상이 96.8%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은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 성인맞춤형으로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 중요한 교수학습방법 중의 하나이다. 블렌디드 러닝 교수법은 전통적 강의실의 교수중심의 일방향적 내용전달식 수업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