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confusu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광합성율과 생물량에 기초한 Sargassum confusum의 생산성 계산 모델 (An Estimation of the Algal Production of Sargassum confusum (Phaeophyta) on the Coast of Ohori, East Sea, Korea, by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Photosynthetic Rates and Biomass Changes)

  • 고철환;조성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8-116
    • /
    • 1991
  • 동해안 오호리에 서식하는 Sargassum confusum을 대상으로 광합성율과 생물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여 해조류의 년생산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즉 년생산량 P/SUB yr/를 P/SUB yr/ = .int.P/SUB t/·B/SUB t/dt (이때 P/SUB t/와 B/SUB t/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광합성율과 생물량을 나타낸다)의 식을 설정하여 구하 였다. P/SUB t/는 수온과 광량의 함수로 보아 서로 다른 수온과 광도의 조건에서 광합 성을 측정하여 P/SUB t/에 대입하였다. 수온과 Sargassum confusum이 서식하는 수심 3 m를 기준으로 하였다. 모델에 의한 모의 결과는 수온이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구름을 가정하여 30%의 광량을 무작위로 감소시켰을 때 해조류의 년생산량은 5%감소하였다.

  • PDF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주정추출물이 성인여성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on reduction of body fat in obese women)

  • 민기성;한 대석;권상오;여경목;김복남;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23-32
    • /
    • 2014
  • 해조류인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의 섭취로 인한 체지방 감소 효능을 평가하고자 이중맹검법을 사용하여 BMI 23 이상의 과체중 혹은 비만 성인 여성에게 8주간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을 섭취하게 한 후 체격지수, 혈액 분석, 식사섭취상황 등을 조사하였다. 최종 대조군은 14명, 실험군은 16명이었으며 1일3회 각 4개의 캡슐을 섭취시켰다. 인체시험 결과 시험전후 비교시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군의 체지방률과 체지방량, 허리둘레가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청 트리글리세롤과 렙틴농도가 더욱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변배설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여 지방 배설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시험기간 동안 7명의 피험자가 심각하지 않은 부작용으로 시험에서 탈락하였으나 건강상 불편함을 호소하는 피험자 수의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알쏭이 모자반 추출물은 8주간 섭취 시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피험자의 허리둘레, 체지방율과 함께 혈청 렘틴 수치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배변횟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켜 특히 복부비만을 해소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기능성 소재로 기대되므로 작용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로 된다.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죽도, 동해안) III. 알쏭이오자반(갈조류)의 생장과 생산성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ckdo (Eastern Coast of Korea) III. Growth Pattern and Productivity of Sargassum confusum (Phaeophyta))

  • 고철환;안인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19-126
    • /
    • 1985
  • Sargassum confusum을 대상으로 동해안 오호리 지역에서 1983년 3월 부더 1984년 4월까지 이 종의 생장 및 일차생산력을 조사하였다. S. confusum은 2월에 생장하기 시작하여 여름에 최대생장을 나타낸 후 빠른 속도로 쇠퇴하는 생육주기를 가진다. 생식활동은 6월에 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생장양상은 수온과 밀접한 관제를 갖는다. 최대성장율은 5월의 1.3cm/day이며 최대길이는 8월의 120cm이다. 산소명암병법으로 측정된 S. confusum의 일순생산력은 6월에 11.2 gC/dry wt/day이며 이를 기초로 추정한 연생산력은 745 gC/$m^2$/yr이다. 한편 현존량의 변화에만 의존하여 추정된 연생산력은 745 gC/$m^2$/yr로서 탈락에 의한 손실이 약 60%에 달하고 있다.

  • PDF

알송이 모자반, Sargassum confusum을 이용한 Pb 및 Cr의 생물학적 흡착 및 탈착 (Sargassum confusum for Biosorption of Pb and Cr)

  • 서근학;안갑환;조문철;조진구;진형주;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01
  • 우리나라 인근 해역에서 가장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해조류 중의하나인 S. confusum을 이용한 Pb 및 Cr의 생체홉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중금속 모두 흡착 평형에는 15분 안에 도달하였으며, 평형 흡착량은 각각 197.5mg Pb/g biomass 및 133.1mg Cr/g biomass이었다. Pb 및 Cr의 생물학적 흡착은 Langmuir모델에 더 잘 적용되었다. Pb 흡착시에 Ca가 500mg/L 존재하여도 $20\%$ 정도 흡착량이 감소하였고, Mg는 Pb 흡착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b 및 Cr 흡착 후에 0.1 M HCI, 0.1 M $HNO_3$, 및 0.1 M EDTA를 이용하여 탈착시 Pb의 탈착율은 $93\%$ 이상이었으나, Cr의 탈착율은 $30\%$ 이하였다. Pb 흡착 후에 0.1 M HCl, 0.1 M $HNO_3$, 0.1 M EDTA 및 0.1 M NaOH를 이용하여 탈착실험을 수행하고 다시 재흡착을 시키는 과정을 6회 반복한 결과 최대 누적 흡착량은 761.4mg/g biomass였고, HCl 및 $HNO_3$를 이용한 경우에 Pb의 탈착 및 S. confusum의 재생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었다.

  • PDF

알쏭이모자반 주정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argassum confusum Ethanol Extract in Obese Rats)

  • 장여정;권상오;여경목;홍미정;김복남;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9-194
    • /
    • 2011
  • 항비만 소재 개발을 위해 알쏭이모자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흰쥐의 증체량 감소 및 지질저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정상식이군(n=10)을 제외한 20마리의 Spraque-Dawley 계통의 수컷 흰쥐에게 총 칼로리의 42.5%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를 5주간 급여시킴으로써 비만을 유도하였다. 비만해진 흰쥐는 고지방식이군(HFD)과 알쏭이모자반 3%를 첨가한 고지방식이군(HFDSC)으로 군당 10마리씩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고지방식이를 급여시킨 HFD군의 증체량은 $2.96{\pm}0.31g/day$으로 ND군의 증체량 $2.19{\pm}0.17g/day$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부고환지방, 신장지방, 내장지방 조직의 중량 역시 ND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HFDSC군의 증체량은 $2.36{\pm}0.24g/day$으로 HFD군에 비해 21% 낮게 나타났으며, 부고환 및 신장지방 조직 중량 역시 HFD군보다 각각 15%, 16% 낮게 관찰되었다. 또한 HFDSC군의 혈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유리지방산 등 비만관련 인자의 농도도 HFD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알쏭이모자반 추출물의 급여가 체중 및 지방조직의 증가를 억제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는 항비만 효과를 지니는 유효한 소재로 판단된다.

알쏭이 모자반(Sargassum confusum C. Agardh) 알긴산 분해 조효소 분해물의 알코올 침전에 의한 기호성 증진 효과 (Palatability-Enhancing Effect of the Alcohol Precipitate of Sargassum confusum C. Agardh Extracts Using an Alginate-degrading Crude Enzyme)

  • 나현식;김동현;이하영;유현지;박미성;우가은;조미정;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04-21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enhancing effects of the alcohol precipitate, in the enzymatic extracts of Sargassum confusum C. Agardh (SC), obsained using the crude enzyme of Shewanella oneidensis PKA 1008. We analyzed the oligosaccharides recovered from the alcohol precipitate using a thin-layer chromatography for SC-degrading extracts, pH, color, reducing sugar, and viscosity. Thin-layer chromatography showed that after treating with the crude enzyme for 60 h, the polysaccharides were degraded into tetramers, dimers, and trimers and pH increased in the alcohol precipitate (EtOH Sedi). In terms of color, the redness and yellowness of alcohol precipitate/supernatant (EtOH Sedi+Super) and the brightness of EtOH Sedi were the highest among enzyme treated for 0 h and 60 h, EtOH Sedi, and EtOH Sedi+Super. In the reducing sugar analysis, EtOH Sedi showed the lowest value of 13.63 ㎍/mL, and the lowest viscosity of 1.13. In terms of the sensory evaluation, EtOH Sedi+Super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respect to the overall prefer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rude enzyme of S. oneidensis PKA 1008 is effective at degrading polysaccharides, and its recovery increases the palatability of the alcohol precipitate.

한국산 갈조식물 모자반속(Sargassum)의 분류 I. Bactrophycus아속 Teretia절 (Taxonomy of the Genus Sargassum (Fucales, Phaeophyceae) from Korea I.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 옥정현;이인규
    • ALGAE
    • /
    • 제20권2호
    • /
    • pp.77-90
    • /
    • 2005
  • Eight species of Sargassum subgenus Bactrophycus section Teret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S. confusum C. Agardh, S. pallidum (Turner) C. Agardh, S. muticum (Yendo) Fensholt, S. thunbergii (Mertens ex Roth) Kuntze, S. fulvellum (Turner) C. Agardh, S. hemiphyllum (Turner) C. Agardh, S. nipponicum Yendo, and S. miyabei Yendo. These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Korea. The valuable taxonomic characters between similar species of this section were discuss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ickness of leaves, types of holdfasts, shape of leaves and vesicle, and length of rhizoids.

갈조류의 일미기록종 Elachista tenuis Yamada(알쏭이 모자반털: 신칭) (Elachista tenuis Yamada (Phaeophyta) from Kangneung, Eastern Coast of Korea)

  • 유순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9권3호
    • /
    • pp.92-94
    • /
    • 1976
  • Elachista tenuis Yamada, epiphytic on Sargassum confusum,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forms hemispherical tufts by pseudoparenchymatous medulla and assimilatory filaments. The cells ofassimilatory filament are not constricted at septa, and nearly equal in breadth from base to apex. Plurilocular sporangia are rather abundant, while unilocular sporangia rare.

  • PDF

부산 연안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스크리닝 (Screening for Antioxidizing and Tyrosinase-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Marine Algae from Busan Coastal Area)

  • 서영완;유종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129-132
    • /
    • 2003
  • The crude extracts of marine algae were screened for tyrosinase-inhibitor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Among the samples tested,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Gloiopeltis furcata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while Gigatina tenella, Sargassum thunbergii, and Sargassum sp. were moderately active. For the inhibition against mushroom tyrosinase,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Sargassum confusum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Codium adhaerens, Corallina pilulifera, Carpopeltis cornea, Halymenia acuminata, Hizikia fuziformis, Porphyra suborbiculata, and Enteromorpha linza exhibited mild inhibitory potency.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0-1647
    • /
    • 2010
  • 혈전성 질환을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항혈전제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혈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용 해조류 35종(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thrombin time (TT),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였다. 트롬빈 저해(TT)의 경우 35종 중에서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야마다모자반에서 강력한 활성을, 프로트롬빈 저해(PT)의 경우 트롬빈 저해활성이 나타난 7종 중 야마다모자반을 제외한 6종에서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aPTT)에서는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톳에서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선별된 8종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에서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알송이모자반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곰피, 대황 및 넓패가 효과적이었다. 항혈전 활성과 해조류 추출물의 총 flavonoid, 총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과의 상관 관계를 검토한 결과, 활성물질은 flavonoid성 물질로 추측되었으며, 선별된 8종은 총 flavonoid 함량 및 총 polyphenol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이면서 대량공급이 가능한 식용 해조류로부터 신규의 안전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야마다모자반과 톳은 트롬빈 또는 혈장내 응고 인자에 대한 특이 저해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