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via officinal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가든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 Sage (Salvia officinalis L.))

  • 조영제;주인식;윤동혁;천성숙;안봉전;김정환;김명욱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96-301
    • /
    • 2008
  • 가든 세이지 추출물의 추출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가든 세이지는 60% ethane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최적 추출조건으로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phenol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 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4.4%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96.9%,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30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entrol의 $0.62{\times}10^2\;{\mu}M$에 비해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8{\times}10^2\;{\mu}M$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100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활성억제 효과는 75.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활성도 $200\;{\mu}g/ml$ 농도의 액체배지에서 63.4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생리활성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리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Cherry Sage (Salvia officinalis L.))

  • 차원섭;주인식;윤동혁;천성숙;김정환;조영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0-396
    • /
    • 2009
  • 시료추출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먼저 추출용매별로 비교한 결과물 추출물에서 36.2 mg/g, 60% ethanol, 60% methanol, 60% acetone 추출물에서 각각 42.7, 40.3, 39.6 mg/g의 함유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체리 세이지를 60% ethanol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6.3%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97.6%로 나타났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26 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ontrol값이 $0.62{\times}10^2{\mu}M$로 나타났고,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9{\times}10^2{\mu}M$의 TBARS값을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78%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 활성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7.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50, 100, 150, $200{\mu}g/ml$ 농도별로 각각 10, 12, 13, 15 mm의 clear zone을 형성되었다.

4종 촤화류에 대한 pH 수준별 처리가 잎의 완충능력, chlorophyll 함량 및 무기성분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Solution on Acid Buffering Capacity, Chlorophyll Content and Nutrient Leaching in the Leaves fo 4 Herb Species)

  • 김학윤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7-20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solution(SAS) on acid buffering capacity, chlorophyll content and butrient leacking in 4 herb species(Petunia hybrida Vilm, Gomphrena globosa L. Celosia cristat L. Salvia officinallis L) . The acid buffering capacity in the leves was increased in the treatment of pH 3.0 in Celosia L., whereas it was increased at pH 4.0 in Petunia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rean globosa L.. But, the acid buffering capacity of the leaves did not work at ph 2.0 treatment in 4 herb species. With decreasing pH level, the chlorophyll content of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hrena globosa L. Was markedly decreased than that of Gelosia cristata L. and Savia officinalis L. As the pH levels decreased from 5.6 to 2.0 the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4 herb species. In pH 4.0 and 5.6,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leaching from leaves were higher in Perunia hybrida Vilm. and Gomphrean globosa L. than Gelosia cristata L. and Salvia officinalis L., Based on the result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s in response to SAS among the 4 herb species. Im general, Gelosia cristata L. and Salvia officinalis L. represented a higher tolerance to SAS Petunia hybrida Vilm, and Gomphrena globosa L..

  • PDF

Herb식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 탐색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Herb Plants)

  • 조영제;천성숙;윤소정;김정환;김태완;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61-165
    • /
    • 2005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herb 40종을 대상으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물질 개발의 일환으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검색한 결과, herb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효과는 24종의 herb 추출물에서 clear zone이 형성이 되었고, 액체배양에 의한 생육저해실험에서도 26종의 herb에서 억제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들 중 저해 활성이 강한 것으로는 가든세이지, 예루살렘세이지, 크리핑로즈마리, 라벤더, 레몬그라스, 로즈마리, 체리세이지, 세인트존스워트, 루, 타임, 오레가노 및 세이지 등 약 12종의 herb가 H. pylori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erb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134.13-533.33\;{\mu}g/ml$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phenol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생 식물로 부터 Cyclin-dependent Kinase 4/Cyclin D1 저해물질의 탐색 (Searching of Cyclin-Dependent Kinase 4/Cyclin D1 Enzyme Inhibition Materials from the Native Plants)

  • 김미란;하지홍;권병목;정하원;안병태;유시용;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74-178
    • /
    • 2000
  • 인체 세포의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Cyclin-dependent Kinase(CDK) 중 CDK4/Cyclin D1 효소 저해 물질을 찾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37과 87종의 식물 추출물을 탐색한 결과, 50%$(5\;{\mu}g/ml)$ 이상의 CDK4/Cyclin D1 호소 저해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Salvia miltiorrhiza),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삼백초(Saurus chinensis), 목단(Paeonia suffruticosa) 및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이었다. 이들 중에서 목단과 오이풀 추출물이 가장 높은 56%의 저해율을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에서 활성물질을 추출 정제하여 2차원 NMR 등을 포함한 각종 기기분석을 통하여 cryptotanshinone으로 동정하였다.

  • PDF

RAW 264.7 Cell에서 세이지에 의한 염증성 Cytokine 및 iNOS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Salvia officinalis on the Inflammatory Cytokines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is in Murine Macrophage RAW264.7)

  • 현은아;이혜자;윤원종;박수영;강희경;김세재;유은숙
    • 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9-164
    • /
    • 2004
  • Primary pro-inflammatory cytokines are a trio: tumor necrosis- $\alpha$ (TNF-$\alpha$), interleukine-$\beta$ (IL-$\beta$), and interleukine-6 (IL-6). These cytokines initiate and regulate the acute-phase inflammatory response during infection, trauma, or stress and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process. Nitric oxide (NO) is a multi-functional media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various biological functions in vivo. NO production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 macrophages is essential for the defense mechanisms against microorganisms and tumor cells. However, over-expression of iNOS by various stimuli, resulting in over-production of NO, contributes to the pathogenesis of septic shock and some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ease. Solvent fractions of sage ( Salvia officinalis L.), which is cultivated in Jeju-Do, was assayed for their effects on TNF-$\alpha$ and IL-6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Hexane and ethylacetate (EtOAc) fraction of sage inhibit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6 in LPS stimulated RAW 264.7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m\ell$. Also, incubation of RAW 264.7 cells with the fraction of hexane or EtOAc (50 $\mu\textrm{g}$/$m\ell$) inhibited the LPS induced nitrite accumulation and the LPS/IFN-${\gamma}$ induced iNOS protein. And this inhibition of iNOS protein is concordant with the inhibition of iNOS mRNA expression. Abov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 of sage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IL-1$\beta$, IL-6), iNOS and NO.

수종(數種) 초본류(草本類)의 $SO_2$ 가스에 의한 가시피해특징(可視被害特徵)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isible Injury of some Herbaceous Plants by $SO_2$ gas)

  • 김정규;임수길;김재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1
    • /
    • 1988
  • 10종(種) 19품종(品種)의 식물체(植物體)에 $SO_2$를 0, 0.2, 0.4, 0.7 및 1.5ppm으로 09 : 00∼17 : 00의 8시간(時間)씩식물환경조절실(植物環境調節室)에서 접촉(接觸)시키고 가시피해(可視被害)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만춘, 조생미호, 서울, 전승), 무우(춘추알타리, 태백, 진주대평)와 고추(새로나, 홍산호, 홍일품)는 담갈색반점 ; 들깨, 금잔화, 국화와 사루비아는 흑갈색반점 ; 참깨(풍년, 광산)는 갈색반점(褐色斑點) ; 맨드라미는 적갈색(赤褐色), 변색(變色)으로 피해(被害)가 나타났다. 2) 무우, 배추, 고추, 들깨, 참깨, 금잔화, 사루비아는 엽맥간(葉脈間)에 반점(斑點)으로, 국화는 엽록(葉綠) 주위에 반점(斑點)으로, 맨드라미는 엽전면(葉全面)에 적갈변(赤褐變)으로 피해형태(被害形態)를 보였다. 3) 춘추알타리무우, 들깨, 참깨(풍년, 광산)와 사루비아는 0.4ppm에서도 피해(被害)를 보였고, 전승배추, 고추(홍일품, 새로나), 맨드라미는 1.5ppm에서만 피해(被害)를 나타냈다. 4)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것은 들깨, 참깨, 사루비아, 춘추알타리무우였고, 내성종(은 국화, 배추, 맨드라미와 금잔화이었다.19품종(品種)의 식물체(植物體)에 $SO_2$를 0, 0.2, 0.4, 0.7 및 1.5ppm으로 $09\;:\;00{\sim}17\;:\;00$의 8시간(時間)씩 식물환경조절실(植物環境調節室)에서 접촉(接觸)시키고 가시피해(可視被害)를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만춘, 조생미호, 서울, 전승), 무우(춘추알타리, 태백, 진주대평)와 고추(새로나, 홍산호, 홍일품)는 담갈색반점 ; 들깨, 금잔화, 국화와 사루비아는 흑갈색반점 ; 참깨(풍년, 광산)는 갈색반점(褐色斑點) ; 맨드라미는 적갈색(赤褐色), 변색(變色)으로 피해(被害)가 나타났다. 2) 무우, 배추, 고추, 들깨, 참깨, 금잔화, 사루비아는 엽맥간(葉脈間)에 반점(斑點)으로, 국화는 엽록(葉綠) 주위에 반점(斑點)으로, 맨드라미는 엽전면(葉全面)에 적갈변(赤褐變)으로 피해형태(被害形態)를 보였다. 3) 춘추알타리무우, 들깨, 참깨(풍년, 광산)와 사루비아는 0.4ppm에서도 피해(被害)를 보였고, 전승배추, 고추(홍일품, 새로나), 맨드라미는 1.5ppm에서만 피해(被害)를 나타냈다. 4)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것은 들깨, 참깨, 사루비아, 춘추알타리무우였고, 내성종(耐性種)은 국화, 배추, 맨드라미와 금잔화이었다.

  • PDF

Antigly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our Iranian medical plant extracts

  • Safari, Mohammad Reza;Azizi, Omid;Heidary, Somayeh Sadat;Kheiripour, Nejat;Ravan, Alireza Pouyandeh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2-89
    • /
    • 2018
  • Objective: Diabetes mellitus (DM) is the most common metabolic disorder that defined by chronic hyperglycemia for the deficiency in insulin secretion or resistance. Hyperglycemia could induce non-enzymatic glycation of proteins.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me traditional plants can improve blood glucose and inhibit glycation process. This work evaluates and compares the anti-glycation activities of four Iranian plant extracts in vitro. Methods: The methanolic extract of "Fumaria officinalis, Stachys lavandulifolia, Salvia hydrangea and Rosa Damascene" was prepared in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Phenolic, flavonoids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evaluated. The multistage glycation markers- fructosamines (early stage), protein carbonyls (intermediate stage) and ${\beta}$ aggregation of albumin were investigated in the bovine serum albumin (BSA)/ glucose systemt. Results: All plants showed the high potency of scavenging free radicals and glycation inhibition in the following order: Fumaria officinalis> Rosa Damascene> Stachys lavandulifolia > Salvia hydrangea.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activity. Also, the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capacity of extracts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 Conclusion: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studied plants are good sources of anti-glycation and antioxidant compounds and, these properties can primarily attributable to phenolics, particularly flavonoids.

In Vitro Effects of Some Herbs Used in Egyptian Traditional Medicine on Viability of Protoscolices of Hydatid Cysts

  • Yones, Doaa A.;Taher, Gamal A.;Ibraheim, Zedan Z.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3호
    • /
    • pp.255-263
    • /
    • 2011
  • The present work evaluated the effects of alcoholic extracts of salvia (Salvia officinalis), thyme (Thymus vulgaris), and 2 pure compounds (thymol and menthol) on the viability of Echinococcus granulosus protoscolices in vitro.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ach extract (2,500, 1,500, 1,000, and 500 ${\mu}g$/ml) and 3 different concentrations each of thymol and menthol (50, 10, and 1 ${\mu}g$/ml) were used. Concentration of 2500 ${\mu}g$/ml of both extracts showed a significant protoscolicidal activity on the 6th day. Complete loss of viability of protoscolices occurred with 500 ${\mu}g$/ml concentration of both extracts at day 6 and day 7 post-treatment (PT), respectively. Pure compounds, i.e., menthol and thymol, showed potent effects with 50 ${\mu}g$/ml concentration at day 2 and day 5 PT, respectively. These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lbendazole sulfoxide (800 ${\mu}g$/ml), a commonly used treatment drug for hydatidosis. Krebs-Ringer solution and the hydatid cystic fluid at a ratio of 4:1 was a good preservative solution which kept the protoscolices viable for 15 days.

팔마로사 정유의 살초활성 (Herbicid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almarosa (Cymbopogon martini))

  • 홍수영;최정섭;김성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6-102
    • /
    • 2011
  • 식물 정유로부터 신규 제초제 개발을 위한 살초활성물질을 탐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0종의 식물정유는[basil(Ocimum basilicum), blackpepper(Piper nigrum), clary sage(Salvia sclarea), ginger(Zingiber pfficinale), hyssop(Hyssopus officinalis), nutmag (Myristica fragrance), palmarosa(Cymbopogon martini), fennel(Foeniculum vulgare), sage(Salvia leucantha), spearmint(Mentha spicta)] 등이었으며, 이중 palmarosa 정유가 유채에 대한 살초력이 가장 높았다($GR_{50}$값, $201{\mu}g\;mL^{-1}$). Palmarosa 정유에 함유된 휘발성 유기화합물로는 alpha-humulene, betacaryophyllen, cis-ocimene, citral, dipentene, geraniol, geranyl acetate, myrcene, nerol, terpinolene, transocimene이었다. Palmarosa 정유에는 geraniol(40.23%), geraniol acetate(15.57%), cis-ocimene(10.79%), beta-caryophyllene(8.72%)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geraniol과 citral의 $GR_{50}$값은 각각 151과 $224{\mu}g\;mL^{-1}$로 매우 낮았으며 이들 2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palmarosa 정유의 살초력에 크게 기여했다고 추론된다. 온실조건에서 palmarosa 정유 $80kg\;ha^{-1}$ 경엽처리는 수수, 돌피, 개밀, 바랭이,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메꽃을 완전 방제하였다. 포장조건에서 민들레, 망초, 쇠비름은 $40kg\;ha^{-1}$ 경엽처리에도 모두 100% 방제가 이루어졌으나 질경이의 방제가는 50% 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palmarosa 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geraniol과 citral이 살초활성에 크게 기여했다는 것을 시사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