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omyces Cerevisiae

검색결과 1,479건 처리시간 0.024초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분리한 L-Galactono-1, 4-lactone Oxid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Galactono-1, 4-lactone Oxidase Purified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승복;강사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2-59
    • /
    • 1988
  • A partially purified preparation of L-galactonolactone oxidase which catalyzes the last step of L-ascorbic acid biosynthesis was obtained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26787. The purification procedures included Triton X-100 treatment, protamine sulfate precipitation,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Sepharose CL-6B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ephadex G-1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and Phenyl-Sepharose CL-4B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enzyme activity was about $34^{\circ}C$ and the optimum pH was 6.8-7.0. The substrate specificity was confined to L-aldonolactones, L-galactono-1,4-lactone and L-gulono-1,4-lactone. An apparent Km value of 0.294mM with L-galactono-1,4-lactone as a substrate was found. By comparing the substrate specificities of this enzyme with those of isofunctional enzymes of higher plants and animals, it becomes evident that the enzyme of S. cerevisiae ATCC 26787 is rather similar to the L-gulonolactone oxidase of animals than the galactonolactone dehydrogenase of higher plants.

  • PDF

감 과실로부터 알코올 발효 효모의 분리 및 특성

  • 이창호;박희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6-270
    • /
    • 1997
  • From persimmon fruits, about 4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and tested for their ability of alcohol fermentation were tested. Among them, two strains, RCY14 and RCY15, showing the highest alcohol fermentibility were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They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accharomyces kluyveri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ultur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Their optimum condition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in YPD-15% glucose was pH 6.0, 30$circ$C and 120 rpm of shaking speed. The alcohol yields of S. cerevisiae RCY14 and S. kluyveri RCY15 in a persimmon juice were 94.54 and 96.81%, respectively. Although the alcohol yields of both strains were not very high in YPD-15% glucose, they were much higher in a persimmon juice as compared to those of S. cerevisiae Balyon-1, S. cerevisiae 701 and S. cerevisiaein W3 which are being used in the industrial alcohol fermentation.

  • PDF

전통 누룩으로부터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 HA3을 이용한 하향주의 제조 및 특성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 정희경;박치덕;박환희;이기동;이인선;홍주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59-667
    • /
    • 2006
  • 대구 무형문화재인 하향주 생산의 표준화를 위하여 전통 누룩으로부터 29균주의 효모를 분리하다. 이들을 대상으로 산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효모들은 산 생성능이 비교적 양호 하였고 분리된 효모들을 50% glucose가 첨가된 YM broth에서도 생육이 우수하였다. 10% 에탄올 농도에서도 내성을 나타내는 HA2 HA3, HA4 균주를 대상으로 주정계를 이용하여 에탄올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8%, 10.45%, 10%로 단 시간에 고농도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분리된 효모 중 내당성, 산생성능, 에탄올 생성능, 에탄올 내성이 우수한 효모 HA3을 하향주 주조를 위한 산업적 이용 균주로 최종 선발하였고 ITS 영역 증폭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HA3은 Saccharomyces cerevisiae와 97% 상동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HA3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HA3를 주모로 첨가하여 하향주를 제조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되는 하향주 발효와 비교한 결과, 환원당의 함량, 아미노산함량 pH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주모 첨가는 밑술 발효시 효모의 생육이 빠르게 유도되어 상대적으로 젖산균의 증식이 억제시킴으로써 유기산 중 lactic acid의 함량 및 높은 산도를 낮출 수 있었으며, 22%로 높은 알콜 발효력을 보였다. 또한 주모를 첨가하여 제조한 하향주는 관능적 기호도 평가에서 전반적 기호도가 전통적 제조법으로 주조한 하향주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accharomyces cerevisia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 A. W. Zhang;Lee, B. D.;H. R. Oh;Lee, S. K.;G. H. An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04
  •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몇 가지 육질요인들의 개선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갓 부화한 160수의 수컷 병아리 (Ross strain)를 두 처리로 나눈 후, 각각 0%와 3.0%의 S. cerevisiae를 함유한 사료를 5주간 급여하였다. S. cerevisiae 급여구는 무급여구에 비하여 체중이 무거운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S. cerevisiae 첨가는 신선한 다리근육 (drumstick meat)의 전단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P<0.05), 삶은 다리근육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흉근과 다리근육 및 피부조직의 산화 안정성은 S. cerevisiae 첨가에 의하여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0.05). 결론적으로 사료에 3% 수준의 S. cerevisiae 첨가는 계육의 연도와 산화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Aureobasidium pullulans의 수은제거 모델 (Biosorption Model of Mercury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ureobasidium Pullulans)

  • 서정호;서명교;강신묵;이국의;최윤찬;조정구;김의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5
    • /
    • 1997
  • A study on the removal of mercury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ureobasidium pullulans was done, in which the model of adsorption isotherm and adsorption rate was proposed. The adsorption isotherm of mercury by S. cerevisiae was accorded with Langmuir model but A. pullulans was followed to Freundlich model. The amount of mercury removed by A. pullulans was higher than that of S. cerevisiae, but the adsorption rate of mercury by A. pullulans was slower than that of S. cerevisiae. In a rapid adsorption process, therefore, it is more useful to use S. cerevisiae as a biosobent.

  • PDF

Isolation of Alcohol-tolerant Amylolytic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Its Application to Alcohol Fermentation

  • Jung, He-Kyoung;Park, Chi-Duck;Bae, Dong-Ho;Hong, Joo-He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160-1164
    • /
    • 2008
  • An novel amylolytic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HA 27, isolated from nuruk, displayed resistance against high sugar (50% glucose) and alcohol (15%). Maximal production of amylolytic enzyme by S. cerevisiae HA 27 was achieved on 9 days of cultivation at the optimal temperature $20^{\circ}C$ and pH 6.0. The activity of amylolytic enzyme produced by S. cerevisiae HA 27 was stable, even at $70^{\circ}C$, and over a broad pH range (4.0-11.0). Also, the amylolytic enzyme of S. cerevisiae HA 27 showed optimal activity in pH 5.0 at $50^{\circ}C$. S. cerevisiae HA 27 exhibited 6.2%(v/v) alcohol fermentation ability using starch as a carbon source.

Elderberry Wine 제조(製造)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lderberry Wine)

  • 노홍균;김동석;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2-253
    • /
    • 1980
  • 본(本) 연구(硏究)는 현재(現在)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Elderberry를 이용(利用)한 양조학적(釀造學的) 가능성(可能性)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균주별(菌株別), 저장(貯藏) 장태별(狀態別), 착즙(搾汁) 시기별(時期別)로 시험(試驗) 발효(醱酵)를 행(行)하였으며, 시험(試驗) 발효(醱酵)로 얻은 wine의 분석(分析) 및 관능(官能) 검사(檢査) 통(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Elderberry 열매의 일반(一般) 성분(成分)은 수분(水分) 82. 8%, 조지방(粗脂肪) 0. 82%, 조단백질(粗蛋白質) 3.73%, 조회분(粗灰分)은 0.83%이었다. 2. 과즙(果汁) 비율(比率)은 61.4%이었으며 과즙(果汁)은 당도(糖度) 9. 2%, 초산(醋酸) 0.62%, pH 4.46%이었다. 3.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를 사용(使用)한 균주별(菌株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알콜 생성능(生成能)이 높고 휘발산(揮發酸) 생성(生成)이 낮은 균주(菌株)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가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4.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저장(貯藏) 상태별(狀態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건과(乾果)가 냉과(冷果)보다 발효(醱酵) 시기(時期)에는 알콜생성(生成) 및 당(糖)의 분해(分解)가 다소 빠른 편이었으나 발효(醱酵) 2일(日)부터는 냉과(冷果)가 건과(乾果)보다 훨씬 빨랐다. 시료(試料)의 전처리(前處理) 및 색깔 등을 고려할 때에 건과(乾果)보다 냉과(冷果)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양조상(釀造上) 유리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5. Saccharomyces cerevisiae ellipsoideus를 사용(使用)한 착즙(窄汁) 시기별(時期別) 시험(試驗) 발효(醱酵)에 있어서는 성분(成分) 변화(變化) 및 색깔에 별차(別差)가 없었다. 6. 과실(果實) 및 wine의 유기산(有機酸)은 냉과(冷果)에 있어서는 citric acid가, 건과(乾果)에 있어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wine 제조시(製造時)에는 모두 lactic acid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7. 관능(官能) 검사(檢査) 결과(結果) 3일(日)째 착즙(窄汁)한 wine이 가장 좋았으며 건과(乾果)로 제조(製造)한 wine이 가장 나빴다.

  • PDF

탈지미강의 아임계수 가수분해 생성물을 배지로 이용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 (Cultiv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Defatted Rice Bran Hydrolyzed in Near-critical Water as a Culture Medium)

  • 이홍식;이선옥;류제빈;김화용;이윤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211-215
    • /
    • 2015
  • 아임계수를 이용하여 탈지미강의 가수분해를 실시하고, 결과로 얻어진 가수분해물이 배지로써 이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을 시도해보았다. 아임계수 가수분해 반응은 회분식 반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생성물에 포함된 전당, 이당류, 단당류의 함량, 총유기탄소 (TOC), 총질소 (TN), pH를 측정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탁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당 수율, TOC, TN은 $240^{\circ}C$까지 온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240^{\circ}C$ 이상에서의 수율 감소는 유기산 생성에 기인한 것이고 이는 pH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당의 수율은 $200^{\circ}C$에서 최대였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탈지미강 가수분해물에서 배양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 속도는 일부 조건에서 상용 배지와 근접한 수준을 보였고, 성장 속도는 포도당의 함량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생물시계와 초단기 대사진동 (Biological Clock and Ultradian Metabolic Oscilla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권정숙;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85-991
    • /
    • 2018
  • 생물시계(Biological clock)는 생명체에서 나타나는 반복되는 자율적인 리듬을 말하며, 단일세포는 물론 다세포 생명체의 기본적인 대사와 이에 따른 표현형과 행동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고 있다. 이러한 생물시계는 동면 리듬, 수면 리듬, 심장박동 리듬 및 짝짓기 노래 리듬 등 매우 다양하며, 24시간 이상의 주기를 infradian rhythm, 24시간 주기를 circadian rhythm, 24시간 이내의 짧은 주기를 ultradian rhythm으로 구분한다.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최소 5종 이상의 반복되는 자율적인 리듬이 알려져 있으며, 이중 일부는 생체시계로 인식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의 glycolytic oscillation (T= 1~30분), cell cycle-dependent oscillation (T= 2~16 시간), ultradian metabolic oscillation (T= 15~50분), yeast colony oscillation (T= 수 시간) 및 circadian oscillation (T= 24시간)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특히 ultradian metabolic oscillation의 특징, 집단 동조인자(population synchronizer), 동조인자의 조절 기작 및 효모 생물시계의 대사공학 분야의 이용성을 제시하여 효모를 이용한 동적 대사조절 및 생물시계 연구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Kluyveromyces fragil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발효로 제조한 배 유과 발효제품의 생리기능성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Fermented Pear Fruitlet Product Made by Mixed Fermen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Kluyveromyces frag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장인택;김영헌;나광출;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37
    • /
    • 2013
  • 배 유과를 이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생리기능성 배 유과 시제품을 개발하고자 냉동배 유과를 해동하여 건조시킨 후 Saccharomyces cerevisiae, Kluyveromyces fragilis 및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혼합발효시켜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을 제조한 다음 이들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은 87.4%의 높은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보였고 항산화 활성도 69.6%로 높았다. 또한, 냉동 배 유과를 $20^{\circ}C$에서 해동시키고 효모와 젖산균으로 혼합발효 시켜 제조한 배 유과 발효 시제품이 $40^{\circ}C$ 해동 후 S. cerevisiae나 Bacillus subtilis로 단독발효 시킨 시제품보다 항고혈압활성과 항산화활성 등이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