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DE threat modeling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STRIDE 위협 모델링 기반 가상 사설망 취약점 분석 및 보안 요구사항 도출 (Analyze Virtual Private Network Vulnerabilities and Derive Security Guidelines Based on STRIDE Threat Modeling)

  • 김다현;민지영;안준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27-37
    • /
    • 2022
  • 디지털 통신 환경 기술이 다양화되고 네트워크 이용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보안이 중요한 방산업체, 국방 관련 기관 등 국가의 안보에 관련된 다양한 환경에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사용한다. 하지만 기술에 발전에 따라 매년 가상 사설망의 취약점을 통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 사설망에서 발생 가능한 잠재적 취약점 및 신규 취약점에 대해 대비하기 위해 STRIDE 위협 모델링을 통해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STRIDE 위협 모델링은 위협을 총 6가지 범주로 그룹화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한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 가상 사설망의 기능을 분석하고 가상 사설망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안의 자료 흐름도를 생성하였다. 그 후, 가상 사설망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STRIDE 위협 모델링을 분석했다. 생성한 가상 사설망의 자료 흐름도는 총 96개의 STRIDE 위협으로 분류되며, 실제 취약점 리스트와 비교 분석하여 분류 결과를 구체화했다. 그 후 위협들의 공격 루트를 파악하기 위해 위협 시나리오를 작성했다. 본 논문은 작성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상 사설망의 구성요소에 따른 총 30개의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했다. 본 논문을 통해 국방부와 같이 보안이 중요한 시설에서 사용하는 가상 사설망의 보안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보안요구사항을 제시한다.

STRIDE-based threat modeling and DREAD evaluation for the distributed control system in the oil refinery

  • Kyoung Ho Kim;Kyounggon Kim;Huy Kang Kim
    • ETRI Journal
    • /
    • 제44권6호
    • /
    • pp.991-1003
    • /
    • 2022
  • Industrial control systems (ICSs) used to be operated in closed networks, that is, separated physically from the Internet and corporate networks, and independent protocols were used for each manufacturer. Thus, their operation was relatively safe from cyberattacks. However, with advances in recent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use data generated from the ICS environment to improve production yield and minimize process downtime. Thus, ICSs ar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net or corporate networks. These changes have increased the frequency of attacks on ICSs. Despite this increased cybersecurity risk, research on ICS security remain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analyze threats in detail using STRIDE threat analysis modeling and DREAD evaluation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a type of ICSs, based on our work experience as cybersecurity specialists at a refinery. Furthermore, we verify the validity of threats identified using STRIDE through case studies of major ICS cybersecurity incidents: Stuxnet, BlackEnergy 3, and Triton. Finally, we present countermeasures and strategies to improve risk assessment of identified threats.

STRIDE 위협 모델링에 기반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보안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Kubernetes of cloud computing based on STRIDE threat modeling)

  • 이승욱;이재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047-1059
    • /
    • 2022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 환경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며, 대규모로 구성된 컨테이너를 빌드, 배포, 테스트하는데 자동화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핵심 기술이 되었다. 최초 구글에 의해 설계되었고, 현재 리눅스 재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중에 하나이며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하지만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중 쿠버네티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안 취약점에 의한 사고사례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쿠버네티스의 취약점을 연구하고, 위협 분석을 통해 개발 초기 또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보안을 고려할 수 있는 보안 정책을 제안한다. 특히, STRIDE 위협 모델링을 적용하여 보안 위협을 분류함으로써 구체적인 보안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협 모델링을 이용한 선박 사이버보안 요구사항 연구 (A Study on Cyber Security Requirements of Ship Using Threat Modeling)

  • 조용현;차영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657-673
    • /
    • 2019
  • 최근 운항되고 있는 선박은 전자해도시스템 및 자동위치식별장치 등 다양한 IT, OT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어 선박건조와 항해 환경까지 고려한 보안 요소가 요구된다. 하지만, 선박과 조선 ICT 기자재 산업에 관한 사이버보안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현실이며, 위협 모델링을 통한 체계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시스템에 접근하는 이해관계자를 고려하여 Data Flow Diagram을 수립하였다. 선박 시스템들의 보안 취약점과 사례들을 수집한 Attack Library를 기반으로 STRIDE 방법론과 Attack Tree를 활용한 위협 모델링을 통해 선박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을 식별하고 선박 사이버보안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STRIDE 위협 모델링에 기반한 스마트 TV 보안 요구사항 도출 (Derivation of Security Requirements of Smart TV Based on STRIDE Threat Modeling)

  • 오인경;서재완;이민규;이태훈;한유나;박의성;지한별;이종호;조규형;김경곤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213-230
    • /
    • 2020
  • 스마트 TV가 최근 IoT 생태계의 중심으로 떠오름에 따라 그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TV 내 취약점이 발생하는 경우 도청, 도촬로 인한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의 측면 뿐만 아니라 금전적 피해까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TV 취약점 분석의 완전성을 높이기 위해 STRIDE 위협 모델링을 통해 위협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공격 대상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Attack Tree와 취약점 점검리스트를 제작하고 실제 취약점 분석을 통하여 점검리스트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안전한 스마트 TV 사용 환경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위협모델링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보안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ecurity Requirements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Using Threat Modeling)

  • 차예슬;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441-1455
    • /
    • 2017
  • 전기차 충전 인프라에서는 충전 및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여 다양한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에 안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보안 연구가 요구된다. 그렇지만 기존에 진행된 연구들은 전기차 충전을 위한 충전 인프라 보다는 전력 계통 인프라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관련 보안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충전 인프라 관련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현실이며, 위협모델링과 같은 체계적인 방법론을 이용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안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구축을 위해 위협모델링을 적용하여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보안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ata Flow Diagram, STRIDE, Attack Tree를 활용한 위협모델링을 이용하여 충전 인프라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을 정확히 식별하고 객관적인 보안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분석한다.

STRIDE 위협 모델링에 기반한 스마트팩토리 보안 요구사항 도출 (Derivation of Security Requirements of Smart Factory Based on STRIDE Threat Modeling)

  • 박은주;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467-1482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제조업 분야에서는 사이버 물리 시스템(CPS) 기술을 기반으로 제조의 모든 단계를 자동화, 지능화 시킨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팩토리는 그 복잡도(Complexity)와 불확실성(Uncertainty)이 크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제조 공정 중단이나 오작동, 기업의 중요 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위협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전반적인 생산 공정 절차를 대상으로 Data Flow Diagram, STRIDE 위협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위협을 식별한다. 그리고 Attack Tree를 이용해 위험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도출된 체크리스트는 향후 스마트팩토리의 안전성 검사 및 보안 가이드라인 제작에 활용 가능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시한다.

AHP를 활용한 IP-CCTV 위험 결정 모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IP-CCTV Risk Decision Model Using AHP (Cloud Computing Based))

  • 정성후;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29-239
    • /
    • 2018
  • 본 논문은 기존의 CCTV가 가진 문제점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IP-CCTV를 사용할 때, 보안문제점에 대하여 논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보안 위험을 단순히 위험 현상만 제거하는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 분석과 조치에 대한 효과적인 수행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Threat Risk Modeling의 STRIDE 모델을 통하여 위협 분석을 하고, 위협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방법론을 사용하여 위험 우선순위를 측정하였으며, 우선순위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COVID-19 동선 추적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Exposure Notification 기술에 대한 보안성 평가 및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Evaluations and Countermeasure of Exposure Notification Technology for Privacy-Preserving COVID-19 Contact Tracing)

  • 이호준;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929-943
    • /
    • 2020
  • COVID-19 감염자의 동선을 파악함과 동시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애플과 구글에서 발표한 'Exposure Notification'은 블루투스를 사용한 탈중앙화 방식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을 사용하려면 항상 블루투스 기능을 켜 놓아야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위협 모델링 기법 중 'STRIDE'와 'LINDDUN'을 적용하여 Exposure Notification 기술의 보안성을 평가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위협을 도출하였다. 또한 보안성 평가 결과를 가지고 대응 방안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안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스마트홈 서비스 환경에서의 보안 위험 분석을 위한 위협 모델링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Threat Modeling for Security Risk Analysis in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 이윤환;박상건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2호
    • /
    • pp.76-81
    • /
    • 2017
  • In this paper, the risk analysis of smart home service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reat modeling. Identified possible threats for safe deployment of smart home services and identified threats through the STRIDE model. Through the creation of the Attack Tree, the attackable risk was analyzed and the risk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DREAD model.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otect assets and mitigate risk by preventing security vulnerabilities from compromising and identifying threats from adversely affecting services. In addition, the modeled result of the derived threat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erforming the security check of the smart home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