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Presenc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기업 내 SNS가 지식공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ra-SNS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

  • 이서한;이호;김경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4호
    • /
    • pp.189-206
    • /
    • 2014
  • Knowledge management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sustainability for firms. As many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ail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enterprise social media (ESM)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knowledge sharing within a firm.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arious aspects of ESM on knowledge sharing. While previous literature mainly focused on structural aspects of ESM,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social connectedness, social awareness, and social presence, along with reputational aspects (such as self-presentation). Further, in order to clarify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is study classifies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to two categories, knowledge contribu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179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 in their own ESM. The results show that both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presenta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two type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i.e., acquisition and contribution. Meanwhile, social awareness turns out to be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knowledge contribution only.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however, social presenc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knowledge sharing behavior.

The Effect of Cross-Model's Product Demonstration and Product Involvement on Attitudes toward the Ad

  • Taemi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254-260
    • /
    • 2023
  • Recently, the cross-model strategy of using male models in advertisements for women's cosmetics has been increasingly utilized. Academics have begun to discuss and study cross-model advertisements, but most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a cross model.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rossmodel's product demonstration as an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ad.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ale model demonstrating the advertised products for women's cosmetics on female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ad. As a result, we found that when a male model demonstrated a product in a women's product advertisement,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ad were more positive the higher their product involvement. Therefore, product involvement was found to be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effect of cross-model product demonstration on attitudes toward the a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ne of research on the effect of cross-model and product demonstration advertising,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practitioners.

SNS를 이용한 작업치료사와 일반인의 장애에 대한 인식 연구 (An Investig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None Therapists using SNS)

  • 홍덕기;박인혜;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125-11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와 일반인 사이의 장애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장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설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설문을 통하여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온라인 배포되었으며, 일반인의 응답 62건, 작업치료사의 응답 60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식은 작업치료사와 일반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그러나 장애인의 하위항목 4번과 7번에서 작업치료사가 일반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모든 응답자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장애인식이 긍정적이었다(p<.05). 가족 또는 친척 중 장애인의 유무에 따른 장애인식은 차이가 없었다(p>.05). 그러나 가족 또는 친척 중 장애인이 '있다'라고 응답한 자가 '없다'라고 응답한 자보다 항목 4번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5). 나이와 장애인식에서는 상관이 없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하여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Are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Mutually Exclusive? Blurred Boundaries between Cyber Space and the Real-World

  • Ko, Nayoung;Hong, Myeonggi;Hwang, Jeeseon;Chang, Jeonghyeon;Hwang, EuiGab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8호
    • /
    • pp.3048-3067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in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s and i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2014 Survey on Juvenile Victimization in Korea'. The population of this survey is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While this paper is based on the Self-Control theory, opportunity factors based on the Routine Activity theory and the Situational Action theory are also applied. Results show that the causes of offline delinquency are low self-control, routine activity and frequent gaming and SNS use. The causes of online delinquency are high self-control, existence of communication with unknown persons and the spectrum of personal information online. The common element of offline and online delinquency was the presence of delinquent peers. These results show that while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cannot be explained with the same methodology, at the same time they are not mutually exclusive.

SNS를 이용한 상지 재활도구 보유현황과 사용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예비연구 (A Pilot Investigation for usage Problems, Improvement Needs and Current Status of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quipment using SNS)

  • 문종훈;나창호;박경영;허성진;이창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63-472
    • /
    • 2018
  •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상 문제, 그리고 개선 필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병원환경 작업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임상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1차와 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은 72개를 분석하였으며, 2차 설문은 47개를 분석하였다. 1차 설문에서 16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율은 29.2~97.2%로 확인되었으며, 2차 설문에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경험은 36.2~97.9%로 확인되었다. 또한 2차 설문에서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상 문제는 47명 중 15명(31.9%)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개선 필요성은 23명(49%)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개방형 설문형태로 취합한 9개의 상지 재활도구의 사용문제는 흥미, 내구성, 난이도, 다양한 방향에 대한 조절기능, 설치 및 편리성 부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선사항은 디지털화, 내구성, 난이도, 조절기능, 편리성 증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예비 연구는 국내 병원 작업치료실의 상지 재활도구의 보유현황과 사용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상지 재활도구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에 대한 폐쇄형 설문지의 개발에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스마트 폰 SNS의 설문을 통한 조루증 및 발기능에 관한 헬스케어 연구 (Healthcare Research for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Function Using Questionnaire of Smartphone SNS)

  • 윤중대;허성진;나창호;김성현;문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97-1210
    • /
    • 2017
  • 본 연구는 음경의 특성에 따른 조루증 및 발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99명의 성인 남성은 음경의 특성, 조루증, 발기능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설문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누락이 있거나 불완전한 응답을 제외한 69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수집한 모든 데이터는 SPSS 22를 이용하여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귀두가 음경보다 더 굵은 유형은 비슷한 유형과 비교하여 주관적 조루, 객관적 조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주관적 조루인 자는 없는 자와 비교하여 객관적 조루, 치료의향, 성교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객관적 조루의 유무, 조루증 치료의향의 유무, 결혼 유무는 성교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경제 수준이 높은 자는 보통 또는 낮은 자와 비교하여 발기능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조사연구의 결과는 음경의 특성에 따른 조루 및 발기능은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조루증과 발기능 장애가 있는 남성의 성기능 재활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페이스북 포스트의 여행지 사진유형과 사용자의 공적자기의식(public self-consciousness)에 따른 광고효과 (Advertising effects depending on picture types of the sights and Facebook user's public self-consciousness)

  • 박은아;우연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33-139
    • /
    • 2019
  • 본 연구는 Facebook에 게시된 여행지 사진 중 어떤 유형의 사진이 더 여행지에 호감을 느끼도록 만들고 떠나고 싶은 의향을 불러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사용자의 개인차 특성인 공적 자기의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어 여행지 사진유형(여행자 존재 여부)과 공적 자기의식 정도(고/저)에 따라 여행지 태도와 여행지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여행자의 모습이 여행지 풍경 속에 존재하는 경우, 여행지에 대한 호감이 인물이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여행자 모습이 존재하는 경우에 공적 자기의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행지에 대한 호감도, 방문의도 및 추천의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적 자기의식이 낮은 집단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에 게시되는 여행지 사진에서 인물 존재 여부와 사용자의 공적 자기의식 수준이 여행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여행지 홍보에 있어서 사진제시 방식과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

친환경 식품 전문점의 점포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배송 서비스의 조절효과 (Effect of Eco-Friendly Food Store Attributes 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Moderating Effect of Delivery Service)

  • KIM, Jin-Kyu;PARK, Jong-Hyun;YANG, Jae-Jang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51
    • /
    • 2022
  • Purpose: The online market is growing the most in history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commerce. In addition, as consumers' interest in health, food safety, and environment increases, interest in and consum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in the case of a specialty store that sells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 marketing strategy that can increase customer loyalty by reflecting these consumer needs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store attributes of eco-friendly food stores are classified into location, assortment, price, quality, and employee service, and the effect of each store attribute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is investiga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ustomers who visited an eco-friendly food store. Of the 511 survey responses, 311 were used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excluding 200 who had not visited within the last 3 months. For statistical analysis, Smart PLS 3.0 was used, and after check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ssortment, quality, and employee service among store attributes had a positive (+) effect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Second, loc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hird, price did not appear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utilitarian value,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hedonic value. Fourth,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livery service had an effect on store attributes betwee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employee service and hedonic value. Conclusions: Among eco-friendly food store environment management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food that meets the tastes and needs of consumers by diversifying the taste, standard, and quality grade of food, and to maintain or improve the quality. In order to unlike other stores, eco-friendly food stores have high price resist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so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promotional media such as YouTube and SNS to raise awareness of eco-friendly organic food.